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성 ~ 권엽

관리자이메일
■ 권성(權 省)1653∼1730 (효종 4∼영조 6) 조선 숙종 때의 문신.

자는 경중(警仲), 호는 제월재(霽月齋), 시호는 정간(貞簡). 1687년(숙종 13)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지평(持平)·장령(掌令)·집의(執義)·헌납(獻納)·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그뒤 평안도·황해도·강원도·함경도·경상도·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하는 동안 선정을 베풀어 명관으로 이름이 났다. 1721년(경종 1)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으로 있을 때 신임사화(辛壬士禍)가 일어나 삭직(削職)되었다가, 25년(영조 1) 노론(老論)이 집권하자 부총관(副摠管)을 거쳐 한성부판윤·공조판서를 지냈다. 27년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다시 삭직당했다. 후에 여러 차례 기용되었으나 사퇴하고 전원생활로 여생을 보냈다.
----------------------------------------------------------------------------------------------------------------------------------------------------------------------------------
■ 권성구(權聖矩) 1642∼1709(인조 20∼숙종 35) 조선 숙종 때 문신.

자는 서여(恕余), 호는 구소(鳩巢). 1678년(숙종 4) 증광문과(增廣文科) 병과(丙科) 급제하고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전적(典籍)·병조좌랑(兵曹佐郎)을 지냈다. 88년 진산현감(珍山縣監)으로 나가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었으나, 한때 모함을 당하여 귀향하였다가 92년에 직강(直講)으로 복직하었다. 이듬해 병조좌랑에 재임(再任)된 후, 99년 강진현감(康津縣監)에 임명되었다. 저서로 《구소선생문집》이 전한다.
----------------------------------------------------------------------------------------------------------------------------------------------------------------------------------
■ 권세숙(權世 )1707∼1758 (숙종 33∼영조 34) 조선시대 문신.

자는 무숙(茂叔), 호는 도계(道溪). 1725년 (영조 1) 진사가 되었고, 40년 증광문과(增廣文科) 을과(乙科)에 급제하고, 이듬해 승문원(承文院)에 들어갔다. 전적(典籍)·병조좌랑(兵曹佐郎)·연일현감(延日縣監)·지평(持平)·정언(正言) 등을 차례로 지내고, 57년 홍문록(弘文錄)에 올랐으나 송시열(宋時烈) 추종자들의 반대로 말미암아 홍문관직에 오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영조의 탕평(蕩平)으로 교리(校理)에 임명되었다. 저서에는 《근사록차의(近思錄箚疑)》 《도계집(道溪集)》 등이 전한다.
----------------------------------------------------------------------------------------------------------------------------------------------------------------------------------
■ 권수(權燧) 1656∼? (효종 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성(子誠). 1679년 (숙종 5) 진사가 되고 92년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 을과(乙科) 급제,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형조좌랑(刑曹佐郞)·헌납(獻納) 등을 차례로 거쳤다. 1701년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국가재정과 군비 강화를 충실히 할 것을 건의하였다. 1703년 장령(掌令)이 된 뒤, 사간(司諫)·동래부사(東萊府使) 등을 역임하고, 1708년 홍문록(弘文錄)에 등록되었다. 12년 향리로 물러나 있을 때 세종의 선정(善政)과 학문적 열의를 본받아 선정을 베풀 것을 상소하였다.
----------------------------------------------------------------------------------------------------------------------------------------------------------------------------------
■ 권수평(權守平) ?∼1250 (?∼고종 37) 고려시대 문신.

일찍이 대정(隊正)벼슬로 가난하게 살 때 낭중(郎中) 복장한(卜章漢)이 억울하게 유배된 뒤 그 토지를 경작하여 살다가, 그가 돌아오자 토지와 함께 임대료까지 주어 재산 점탈이 흔히 행해지던 때 하나의 미풍(美風)을 남겼다. 또한 당시 권문자제(權門子弟)들의 선망의 대상이던 견룡(牽龍)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가난함을 이유로 이를 사양하여 역시 세인의 칭송을 받았다. 뒤에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이르렀다.
----------------------------------------------------------------------------------------------------------------------------------------------------------------------------------
■ 권순(權恂) ?∼1606 (?∼선조 3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언침, 호는 쌍천(雙泉). 42세 때 음보(蔭補)로 사산감역(四山監役)이 되었고, 양주목사(楊州牧使)가 되었으나, 1593년 (선조 26) 사헌부의 탄핵으로 파직당하였다. 그 뒤 98년 명(明)나라 사신의 접반사(接伴使)가 되었고, 이듬해 그 공로로 1품계를 올려 받았다. 1601년 파주목사(坡州牧使), 이듬해 여주목사(驪州牧使)를 지냈으나, 나이가 많아 일을 해낼 수 없다는 이유로 체직(遞職)되었다. 뒤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으며 사후에 우참찬(右參贊)에 추증(追贈)되었다.

[ 권순의 묘(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석현리) ]
----------------------------------------------------------------------------------------------------------------------------------------------------------------------------------
■ 권순창(權順昌) 1609∼1687 (광해군 1∼숙종 13) 조선 시대 문신.

자는 성지(聖之).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1627년 (인조 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뒤 45년 빙고별좌(氷庫別坐)에 제수되었다. 심기원(沈器遠)의 역모사건 평정에 참가한 공로로 46년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이 되었고, 여러 내·외직을 거쳐 원주목사(原州牧使)를 지냈다. 철원부사(鐵原府使) 때 도둑을 잡은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고, 첨지중추부사·돈령부도정을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 권순철(權純哲) 1944∼ 서양화가.

경상남도 의창(義昌) 출생. 1984년 서울대 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다. 10여회의 개인전과 한국미협정기전(1977∼88)·파리 그랑팔레 비평구상전(1986) 등에 참가하였다. 그는 주로 노인의 얼굴을 주된 소재로 한 인물화를 그렸는데, 두텁게 물감을 덧칠한 투박함과 거칠은 터치를 특징으로 하는 개성적 조형양식을 통해 존재의 영혼을 표현하고 있다. 대표작에 《할머니(1985)》 《얼굴(1990)》 등이 있다.

----------------------------------------------------------------------------------------------------------------------------------------------------------------------------------
■ 권순형(權純亨) 1929∼ 공예가.

강원도 강릉(江陵) 출생.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미대 조교수·부교수를 거쳐 76년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및 84년 동(同)대학 공예과 교수, 89년 동대 미술대 학장이 되었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현대도예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92년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60∼87년까지 14회의 도예개인전을 열었다. 3·1문화상·서울시문화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대표작품으로는 <국립극장> <중앙청대회의장> <국회의사당> <KBS 공개홀> <한국전력공사> <서울프레스센타>의 도자벽부조(陶磁壁浮彫) 등이 있다.

----------------------------------------------------------------------------------------------------------------------------------------------------------------------------------
■ 권시(權 )1604∼1672 (선조 37∼현종 13) 조선시대 학자·문신.

자는 사성(思誠), 호는 탄옹(炭翁). 1636년 (인조 14) 대군사부(大君師傅)에 임명된 것을 비롯, 선릉참봉(宣陵參奉)·세자시강원자의(世子侍講院諮議) 등 여러 차례 벼슬이 주어졌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49년 효종 즉위 후 공조좌랑(工曹佐郎)에 임명되었으며, 경상도사·집의(執義)·진선(進善) 등을 거쳐 58년 (효종 9) 승지(承旨)가 되었다. 이어 찬선(贊善)에 오르고 59년 현종 즉위 후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예송문제(禮訟問題)가 있을 때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과 대립하여 윤선도(尹善道)를 지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되어 낙향하던 중 광주(廣州)의 선영(先瑩)에서 살았다. 도산서원(道山書院)에 제향(祭享)되었으며, 저서에 《탄옹집(炭翁集)》이 있다.

[ 권시의 필적 ]
----------------------------------------------------------------------------------------------------------------------------------------------------------------------------------
■ 권시경(權是經) 1625∼1708 (인조 3∼숙종 34)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계상(季常), 호는 칠휴(七休). 음보(蔭補)로 함흥판관(咸興判官)이 되었고 1675년 (숙종 1) 증광문과(增廣文科) 병과(丙科)에 급제, 장령(掌令)·집의(執義)를 거쳐 82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89년 승지(承旨)로 재직 중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삭직(削職)되었다가 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복직되어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뒤에 형조·예조판서를 거쳐 판돈령부사(判敦寧府使)에 이르렀으며,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시호는 정간(靖簡).

             [ 權是經(정간공)의 묘 ]
----------------------------------------------------------------------------------------------------------------------------------------------------------------------------------
■ 권양성(權養性) 1675∼1746 (숙종 1∼영조 22) 조선 후기 문신.

자는 백함(伯涵). 1721년 (경종 1) 음보(蔭補)로 선공감역(繕工監役)이 되었고 이어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다. 25년 (영조 1) 주부(主簿), 뒤에 인제현감(麟蹄縣監)을 거쳐 27년 김제군수(金堤郡守)에 승진했으나 소론(少論)이 다시 권력을 잡자 관직을 단념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뒤에 한성부서윤(漢城府庶尹)을 거쳐, 44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가 되었다.
----------------------------------------------------------------------------------------------------------------------------------------------------------------------------------
■ 권엄(權 )1729∼1801 (영조 5∼순조 1)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공저(公著), 호는 섭서(葉西). 1765년 (영조 41) 식년문과(式年文科) 갑과(甲科)에 급제하였다. 73년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과거를 너무 자주 실시하지 말 것을 상소했다가 추자도(楸子島)로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왔다. 정조 때 헌납(獻納)·충청도관찰사·대사간·공조판서·형조판서를 지냈고, 한때 강계부사(江界府使)·전라도관찰사·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 등으로 좌천되었으나 다시 병조판서로 기용되었다. 1801년 (순조 1) 한직(閑職)인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전임됐을 때 이가환(李家煥)·이승훈(李承薰)·정약용(丁若鏞) 등 가톨릭교 신자에 대한 극형을 주장하였다.
----------------------------------------------------------------------------------------------------------------------------------------------------------------------------------
■ 권업(權 業)1669∼1738 (현종 10∼영조 1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긍(士兢), 호는 기오헌(寄傲軒). 1691년 (숙종 17) 증광문과(增廣文科) 병과(丙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가 되었으나 당시 인현왕후가 폐위되는 등 조정이 문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 낙향했다. 94년 왕후가 복위되자, 다시 등용되어 정자(正字)·정언(正言)을 지냈고, 96년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듬해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청(淸)나라에 다녀왔으며, 그 후 동부승지(同副承旨)·의주부윤(義州府尹) 등을 지냈다. 1717년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19년 충청도관찰사 겸 균전사(均田使)로 있을 때 전제(田制)를 공평히 했고, 동궁책봉주청부사(東宮冊封奏請副使)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이어 평안도관찰사가 되었으나 22년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유배되었다. 그 뒤 영조가 즉위하자 유배에서 풀려나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이 되었고, 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호서안무사(湖西按撫使)로 활약하였다. 34년 우참찬(右參贊)에 올랐고 38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
■ 권염(權廉) 1302∼1340 (충렬왕 28∼충혜왕 복위 1)고려시대의 문신.

자는 사렴(士廉), 호는 송재(松齋). 1311년(충선왕 3) 음보(蔭補)로 함경전녹사(含慶殿錄事)가 되고, 18년(충숙왕 5) 삼사부사(三司副使)에 임명되어 봉상대부(奉常大夫)에 올랐다. 23년 사복정(司僕正)이 되었고 25년 원(元)나라 황제로부터 선무장군합포진변만호부만호(宣武將軍合浦鎭邊萬戶府萬戶)를 받았다. 응양군대호군(鷹揚軍大護軍)을 거쳐 27년 선군별감(選軍別監)의 자리에 올라 토지를 법에 따라 지급하여 인심을 얻었고, 30년 좌상시(左常侍)가 되었다. 35년(충숙왕 4) 딸이 충숙왕의 비(妃)가 되자 현복군(玄福君)에 봉해지고, 뒤에 광정대부첨의찬성사(匡靖大夫僉議贊成事)에 이르렀다.

----------------------------------------------------------------------------------------------------------------------------------------------------------------------------------
■ 권엽(權曄) 1574∼1650 (선조 7∼효종 1) 조선시대의 문신.

초명은 계(啓). 자는 제중(霽仲), 호는 귀사(龜沙). 1615년(광해군 7)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 호군(護軍)으로 오위장(五衛將)을 겸임하였고 16년 분병조참의(分兵曹參議)가 되었다. 이듬해 평해군수(平海郡守)가 되었으나, 박정길(朴鼎吉)의 사주를 받은 사형수의 무고(誣告)로 면직되었다가, 23년에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이듬해 동지(冬至) 겸 성절사(聖節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충주(忠州)에서 의병장으로 나섰으나 강화가 이루어지자 거사를 중지하였다. 36년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갔고, 그 공로로 환도한 뒤 강릉부사(江陵府使)가 되었다. 39년 부총관(副摠管), 이어 고성군수(高城郡守)를 지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 高麗太師權公幸神道碑(고려태사권공신도비) 청남 11-09-24 3906
27 高麗太師權幸墓(고려태사권행 묘) 비문 청남 11-09-24 3585
26 權幸(권행) 공 (고려개국공신) 생애와 묘 청남 11-09-24 3999
25 뿌리깊은 안동권씨 청남 07-03-22 6379
24 제10장 안동권씨의 항렬(行列) 관리자 05-01-06 13053
23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6
22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4
21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4
20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79
19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7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7
1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4
1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2
1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20
14 4)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듬 관리자 05-01-06 6422
13 3) 호당(湖堂)에 가장 먼저 입소하였음. 관리자 05-01-06 5160
12 2) 권문(權門)에서 처음으로 대제학(大提學)에 오름. 관리자 05-01-06 5519
11 1) 기로소(耆老所)에 처음 입소(入所)함. 관리자 05-01-06 5278
10 제4장 능동재사(陵洞齋舍) 관리자 05-01-06 5611
9 제3장. 능동(陵洞)의 묘역(墓域) 관리자 05-01-06 56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