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영 ~ 권율

관리자이메일
■ 권영(權 )1604∼1675 (선조 37∼숙종 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자고(子高), 호는 우곡(愚谷). 1628년(인조 6) 별시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고, 전적(典籍)·이조좌랑(吏曹佐郎)·정언(正言)·지평(持平)을 지냈다. 41년 장령(掌令), 51년(효종 2) 종부시정(宗簿寺正)을 거쳐, 이듬해에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귀국후 3년설을 주장하는 윤선도(尹善道)를 규탄하다가 파면되었으나 다시 복직되어 사예(司藝)·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냈다. 54년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나가 선정(善政)을 베풀었고, 61년 간성(杆城) 군수, 63년 동지부사(冬至副使)로서 2번째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병조참의·좌승지·우승지·공조참판(工曹參判)을 거쳐 한성부좌윤·우윤을 역임하였다.
----------------------------------------------------------------------------------------------------------------------------------------------------------------------------------
■ 권영대(權寧大) 1908∼1985 물리학자.

호는 성봉(性峰). 경기도 개풍(開豊) 출생. 한국 물리학의 선구자이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및 일본의 세이조〔成城〕고등학교를 거쳐 1933년 홋카이도〔北海道〕제국대학 물리과를 졸업하였다. 34년 귀국, 개성(開城)에 구원광학연구소(久遠光學硏究所)를 설립하여 광학을 연구하였고, 38년 송도(松都)중학교, 39년 개성중학교에서 근무하였다. 46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부교수로 부임하여 후진양성과 광학연구에 진력하였다. 6·25동란 뒤 한국 최초로 우주선 측정장치를 조립하였고, 57년 영국 브리스틀대학에서 우주선을 연구, 귀국 뒤 우주선을 쪼인 핵건판(核乾板)에 대한 연구로 서울대학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레이저분광학연구 및 입자가속기(사이클로트론) 제작에도 공이 컸으며, 52년 한국물리학회 창립발기인으로서도 공헌을 하였다. 그 해 학술원회원이 된 이래, 한국과학협회장·아이유지지(IUGG) 한국위원회위원장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연구논문으로는 《간섭필터의 비교연구》 《서울 및 제주지방에서의 지자기 및 우주선의 일변화》 《1Me V 사이클로트론의 빔(beam) 집중》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자연과학개론》 《현대물리학》 외 여러 편이 있다. 67년 과학기술상, 73년 국민훈장모란장, 82년 국민훈장무궁화장을 받았다.

----------------------------------------------------------------------------------------------------------------------------------------------------------------------------------
■ 권영만(權寧萬) 1890∼1964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영양(英陽) 출신. 1907년 아버지 인환(寅煥)을 따라 일찍이 의병활동을 했다. 15년 박상진(朴尙鎭)·우재룡(禹在龍)·김한종(金漢鍾)·정운일(鄭雲馹)·양제안(梁濟安) 등과 대구(大邱) 달성공원(達城公園)에서 비밀결사 광복회(光復會)를 조직하여 참모장에 취임하였다. 17년 봄, 우재룡과 함께 세금수송차량을 탈취하여 군자금에 충당하는 등 많은 활약을 했다. 이어 20년 2월에는 우재룡·심영택(沈永澤) 등과 주비단(疇備團)을 조직,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해임시정부에 보내어 해외 독립운동을 도왔다. 재만서로군정서(在滿西路軍政署)의 밀령(密令)을 받고 총독부 수뇌부의 암살을 꾀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8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한 뒤 대종교에 입교하여 참교(參敎)·지교(知敎) 등 교직을 맡아 종교활동을 하였다. 63년 건국훈장국민장이 수여되었다.

  [ 권영만의 묘소 ]

----------------------------------------------------------------------------------------------------------------------------------------------------------------------------------
■ 권영우(權寧禹) 1932?∼ 한국화가.

함경남도 출생.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1958년에서 60년까지 국전(國展)에 출품하여 연3회 특선을 수상하였고 국전 추천작가 및 초대작가가 되었으며 비구상부문 심사위원도 지냈다. 묵림회(墨林會) 창립회원으로 활동하였고 65년 추상작품으로 첫 개인전을 가졌다. 75년 일본에서 <한국 5인의 작가전>, 80년 뉴욕에서 <재(在)파리화가 5인전>, 82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재외작가초대전> 등을 가졌다. 그의 화풍은 전통적 동양화에 세련된 화면구성과 현대적 감각을 부여하려는 경향에서, 화선지의 중복으로 이루어지는 재질감과 백색(白色)의 해조(諧調)만으로 공간구성과 맞서려는 전위적 시도로 옮겨가고 있다. 대표작으로 《바닷가의 환상(1958)》 등이 있다.


----------------------------------------------------------------------------------------------------------------------------------------------------------------------------------
■ 권예(權 )1495∼1549 (연산군 1∼명종 4)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자는 경신(景信), 호는 마애(磨厓). 1516년(중종 11)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에 이어서 봉교(奉敎)가 되었고, 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예문관대교로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탄압을 반대하는 데 앞장섰다. 홍문관교리·사간원사간·홍문관직제학 등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였고, 30년 대사간으로서 당상관에 올랐다. 그 뒤 부제학(副提學)·대사헌·경상도관찰사·호조판서를 거쳐 우참찬(右參贊)으로 있다가 37년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되고 그 일파가 축출되면서 파직, 안동에서 10여 년 은거하다가 죽었다. 저서로 《마애집(磨厓集)》이 전한다.

----------------------------------------------------------------------------------------------------------------------------------------------------------------------------------
■ 권오설(權五卨) 1899∼1930 한국 초기 공산주의운동가.

경상북도 안동(安東) 출생. 일본유학생으로 1923년 7월 서울에서 결성된  신사상연구회(新思想硏究會;뒤에 화요회로 개칭)에 참여하였고, 24년 4월 창립된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에서 화요회를 대표하여 중앙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또 23년 6월 조선공산당의 사전(事前)조직인 코르뷰로 국내부에 참여하여 조선노농총동맹의 책임자로 활약하였다. 25년 4월 17일 국내에서 결성된 조선공산당에 가담하였으며, 그 이튿날 결성된 고려공산청년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 해 11월 신의주사건으로 중심인물들이 거의 체포되거나 해외로 망명하자, 혼자 국내에 남아 고려공산청년회의 재건에 착수하여 임시중앙간부를 구성한 뒤 제2대 책임비서에 취임하였다. 그 뒤 조선공산당의 간부로서 26년 6월 10일 순종의 국장일에 민족적 규모의 거사를 계획하다가 일본경찰에 붙잡혀 징역 7년형을 언도받고 복역 중 옥사하였다.

----------------------------------------------------------------------------------------------------------------------------------------------------------------------------------
■ 권오순(權五順) 1919∼? 아동문학가.

아호는 맹물·설봉(雪峰 ). 황해도 해주(海州) 출생. 1933년 동시 《하늘과 바다》가 《어린이》에 추천된 후 신문·잡지에 소년소설·동시 등을 계속 발표했다. 48년 월남한 뒤 작품활동이 소극적이고 작품집으로 정리되지 못하여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다가, 70년대부터 문단활동을 활발하게 재개, 76년 동시 《구슬비》로 새싹문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 특색은 자연의 무한한 신비와 아름다움을 여성 특유의 감성으로 표현하려는 데에 있다. 저서에는 동요선집 《구슬비(1983)》, 동시선집 《새벽숲 멧새 소리(1984)》, 동시이야기 《꽃숲 속의 오두막집(1987)》 《무지개 꿈밭(1987)》이 있으며, 대표작에 동요 《구슬비(1937)》, 동시 《엄마의 선물(1965)》 등이 있다.

----------------------------------------------------------------------------------------------------------------------------------------------------------------------------------
■ 권오직(權五稷) 1906∼? 공산주의운동가·정치가.

경상북도 안동(安東) 출생. 1923년부터 청년운동에 참여하였고, 25년 고려공산청년회 사업의 일환으로 모스크바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공부했다. 그 뒤 29년 국제공산당으로부터 와해된 조선공산당및 고려공산청년회의 재건 임무를 부여받고 서울로 들어와 조선공산당 조직준비위원회를 개최했다. 30년 3·1운동 11주년 기념일을 맞이하여 광주학생운동으로 고조된 반일감정을 격화시키기 위한 유인물을 제작, 유포하려다 붙잡혀 복역했다. 광복 후 조선공산당의 기관지 《해방일보》의 주필을 담당했으며, 좌익의 집결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활약하다가 정판사위조지폐사건(精版社僞造紙幣事件)으로 체포령이 내려지자 월북했다. 48년 최고인민회의 제1기대의원, 53년 중국대사를 지냈으나 그 해 노동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서 축출되었다.

----------------------------------------------------------------------------------------------------------------------------------------------------------------------------------
■ 권옥연(權玉淵) 1923∼ 서양화가.

함흥(咸興) 출생. 1942년 일본 도쿄데이코쿠〔東京帝國〕미술학교를 졸업했다. 선전(鮮展)에서 3회 입선했으며 55년 백우회(白友會) 창립회원이 되었다. 57년 프랑스로 유학하여 4년간 미술공부를 한 뒤 귀국, 개인전을 비롯한 마닐라 한국현대작가전(1962), 파리 랑베르화랑 초청 한국청년화가 4인전(1963) 등 수많은 전시회에 작품을 선보였다. 국전의 초대작가·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중후하면서도 신선한 색채와 마티에르를 사용하여 조선시대 공예품에서 볼 수 있는 의장문양(意匠紋樣) 형태를 공간 속에 활용시킴으로써 동양적 환상과 여운을 서구적인 감각으로 요약,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하였다. 도쿄 국립근대미술관, 뉴욕 체이스맨해튼은행, 파리 국립현대미술관, 덴마크 현대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신화(神話, 1958)》 《양지(陽地, 1965)》 등이 있다.

----------------------------------------------------------------------------------------------------------------------------------------------------------------------------------
■ 권완(權完) ?∼1457 (?∼세조 3) 조선시대의 문신.

음보(蔭補)로 사정(司正)이 된 뒤 행돈령부판관(行敦寧府判官)을 지냈으며 딸은 단종 비(妃)의 시녀로서 궁중에 들어갔다가 숙의(淑儀)가 되었다. 57년(세조 3) 단종의 복위를 꾀했다는 죄로 의금부(義禁府)에 갇힌 후 능지처참(陵遲處斬)되었으며 연좌되어 전가족이 화를 입었다. 사육신과 함께 정단(正壇)에 배향되었다.
----------------------------------------------------------------------------------------------------------------------------------------------------------------------------------
■ 권완(權緩) ?∼1417 (?∼조선 태종 17) 고려말·조선초의 문신.

1390년 (고려 공양왕 2) 연복사조성도감별감(演福寺造成都監別監)이 되어 공사(工事)를 지휘하였다. 태종과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가까운 사이로서, 1407년 (조선 태종 7) 우대언(右代言), 이듬해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이 되었고, 10년 계품사(啓稟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11년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조세징수 성적이 나쁘고 조운(漕運)을 막히게 했다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고 영주(寧州)로 귀양가던 도중 특사로 풀려 공안부윤(恭安府尹)이 되었다. 그 후 판원주목사(判原州牧使)를 지냈으나 다시 대간의 탄핵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와 직첩(職牒)을 환급받았다.
----------------------------------------------------------------------------------------------------------------------------------------------------------------------------------
■ 권용(權鏞) ?∼? 고려 공민왕 때의 무신.

초명은 일(鎰). 일찍이 합포만호(合浦萬戶)가 되어 군리(軍吏)를 약탈하고 함부로 재물을 수송하는 등 횡포를 부리다가 공민왕에게 알려져 순위부(巡衛府)에 구금되었으나 그의 족당(族黨)이 세력을 쥐고 있어 처벌되지 않았다. 후에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으나, 아들 진(瑨)이 공민왕의 시역(弑役)사건으로 유배되자 우왕이 사람을 보내어 죽였다.
----------------------------------------------------------------------------------------------------------------------------------------------------------------------------------
■ 권용(權容) 1509∼1558 (중종 4∼명종 13)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공택(公擇), 호는 기재(奇齋). 1544년 (중종 3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갑과(甲科)로 장원급제, 45년 (명종즉위) 이래 부수찬(副修撰)·수찬(修撰)·부교리(副校理)를 지냈다. 52년 홍문관부교리로서 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을 겸직하며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56년 전적(典籍)·부교리·전한(典翰)·부응교(副應敎) 등을 거쳐 57년 직제학(直提學)에 올랐다.
----------------------------------------------------------------------------------------------------------------------------------------------------------------------------------
■ 권용일(權用佾)1884∼? (고종 21∼?) 조선말의 의병장.

충청북도 청풍(淸風) 출생. 1907년 한국군이 일본에 의해 강제해산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의병창의창(義兵倡義將)인 이강년의 의진(義陣)에 입대, 우군선봉장이되었다. 제천(堤川)·죽령(竹嶺)·증평(曾坪)·연풍(延豊)·유치산(柚峙山)·안동(安東)·서벽(西壁) 등지에서 활약하였으며, 특히 1908년 안동의 호령서벽전투와 재산(才山)전투에서 적을 크게 물리쳤다. 이강년이 붙잡혀 의진이 해산된 뒤 서울로 올라와 승지(承旨) 김규흥(金奎興)·이범구(李範九)·김규철(金奎澈) 등과 모의하여 고종의 청병조서(請兵詔書)를 받아 출국하던 중, 동지들이 체포되자 중국에 망명하여 광복 후에 귀국하였다. 63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
■ 권용정(權用正) 1801∼? (순조 1∼?)조선후기의 문신·화가.

자는 의경(宜卿), 호는 소유(小游). 부사(府使)를 지냈으며, 산수화(山水畵)를 잘 그렸다. 화법(畵法)이 굳세고 힘차며 맑고 고운 기풍이 있다. 그의 유작으로는 풍속화 《보부상》 1점이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 권우(權遇) 1363∼1419 (고려 공민왕 12∼조선 세종 1) 고려말·조선초의 학자.

초명은 원(遠), 자는 중려(仲慮)·여보(慮甫), 호는 매헌(梅軒). 어려서는 형 근(近)에게 배웠고 자라서는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에 들어갔으며 글씨를 잘 썼다. 1377년(우왕 3)에 진사가 되고 85년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를 거쳐 공양왕말에 이조좌랑(吏曹佐郎)·군자감승(軍資監丞)을 지냈다.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광주판관(廣州判官)·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형조참의(刑曹參議) 등을 거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에 올랐다. 1418년 충녕대군(忠寧大君;세종)이 세자(世子)로 책봉되자 빈객(賓客)이 되어 경사(經史)를 강론했다. 작품으로는 글씨 《화산군권근신도비(花山君權近神道碑)》, 저서로 《매헌집(梅軒集)》이 있다.

                [ 權遇(매현공)의 묘 ]

----------------------------------------------------------------------------------------------------------------------------------------------------------------------------------
■ 권우(權宇) 1552∼1590 (명종 7∼선조 23)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자는 정보(定甫), 호는 송소(松巢).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소장학자로서 이름이 높았다. 1573년 (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뒤 성리학에 전심하여 학문으로 이름이 높았다. 89년 (선조 22) 왕자(王子;광해군)의 스승으로 등용되었으나 그 다음해에 죽었다. 저서로는 《송소집(松巢集)》이 있다.

----------------------------------------------------------------------------------------------------------------------------------------------------------------------------------
■ 권우(權 )1610∼1685 (광해군 2∼숙종 1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자명(子明), 호는 동곡(東谷). 1629년 (인조 7)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검열(檢閱)·주서(注書)·봉교(奉敎)를 거쳐 36년 부수찬(副修撰)이 되고, 지평(持平)·수찬(修撰)·교리(校理)·정언(正言) 등 청환직(淸宦職)을 지냈다. 50년 (효종 1)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집의(執義)·보덕(輔德)·사간(司諫)을 거쳐 51년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53년 사인(舍人)·승지(承旨), 57년 대사간·전라도관찰사, 59년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함경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62년(현종 3) 예조참판, 이듬해 도승지·강화유수(江華留守)가 되었으나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65년에 복직되어 부호군(副護軍)·판결사(判決事)·한성부좌윤 등을 지내고 74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85년 (숙종 11) 살인죄로 강진(康津)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 권우(東谷公)의 묘 ]
----------------------------------------------------------------------------------------------------------------------------------------------------------------------------------
■ 권유(權愈) 1633∼1704 (인조 11∼숙종 3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퇴보(退甫), 호는 하곡(霞谷). 1665년(현종 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쳤고, 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南人)이 집권하자 대사간·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을 지냈다. 그러나 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서인(西人)이 정권을 잡자 유배되었으며 97년 유배가 풀린 후에는 다시 벼슬에 오르지 못했다. 시문(詩文)에 능했고, 예문관대제학 때 《인경왕후지(仁敬王后誌)》를 저술하였으며, 현종까지 조선 역대 임금의 시문집인 《열성어제(列聖御製)》 편찬에 참여하였다.

       [ 권유의 필적 ]
----------------------------------------------------------------------------------------------------------------------------------------------------------------------------------
■ 권유(權裕) 1745∼1804 (영조 21∼순조 4) 조선 정조 때의 문신.

자는 성수(聖垂), 호는 국포(菊圃). 1769년(영조 45)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82년(정조 6) 정덕필(鄭德弼)의 죄를 탄핵하여 유배시켰다. 이어 90년에는 남인 윤선도(尹善道)의 자손 윤지눌(尹持訥)이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한 지 한달 만에 사관(史官)으로 뽑히자 이를 반대하다가 오히려 창원(昌原)에 유배되었으나, 후에 풀려나와 이조참판·공조판서·좌참판을 지냈다. 1800년(순조 즉위) 지실록청사(知實錄廳事) 1802년 제학(提學)에 올랐으나 효원전(孝元殿)의 공납(貢納)을 방해했다는 혐의로 희천(熙川)에 유배되었고, 1804년 의금부(義禁府)에서 문초 당하다가 혹심한 고문으로 죽었다. 저서로 《국포집(菊圃集)》이 있다.
----------------------------------------------------------------------------------------------------------------------------------------------------------------------------------
■ 권윤(權綸) 1415∼1493 (태종 15∼성종 24) 조선 성종 때의 문신.

호는 소요당(逍遙堂). 1447년 (세종 29) 녹사(錄事)로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한 뒤 대교(待敎)가 되고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여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54년 (단종 2) 주서(注書)에 이어 병조좌랑(兵曹佐郎)·사인(舍人)이 되고 문신월과(文臣月課)에서 시부(詩賦)로 장원을 하였다. 63년(세조 9) 좌익위(左翊衛)로서 제주경차관(濟州敬差官)으로 근무할 당시 왜구를 토벌하였다. 이후 대사성·예조참의(禮曹參議)를 지냈고 80년 (성종 11) 강원도관찰사로 있다가 곧 사직, 함경남도 덕원부(德源府)에서 만년을 보냈다.
----------------------------------------------------------------------------------------------------------------------------------------------------------------------------------
■ 권율(權慄) 1537∼1599 (중종 32∼선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명장.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모악(暮嶽), 시호는 충장(忠莊).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열중하다 46세가 되던 1582년 (선조 15)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전적(典籍)을 거쳐 87년 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가 되고 이듬해 예조정랑(禮曹正郎)·호조정랑(戶曹正郎)·경성판관(鏡城判官), 91년 의주목사(義州牧使)가 되었다. 92년 (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 서울이 함락되자 광주목사(光州牧使)로서 방어사(防禦使) 곽영의 휘하에서 중위장(中衛將)이 되어 용인(龍仁)에서 싸웠으나 패전했다. 그러나 광주(光州)로 되돌아가 남원(南原)에 주둔, 1000여 명의 의용군을 모집하여 다시 북진, 금산군(錦山郡) 이치(梨峙)에서 왜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의 정예부대를 대파하였고 이때의 전공으로 전라도순찰사에 승진했다. 정병 8000명을 인솔, 병마절도사 선거이(宣居怡)를 부사령관으로 삼아 서울로 진격하던 도중 수원(水原) 독왕산성(禿旺山城)에 주둔,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고 우키타 히데이에〔字喜多秀家〕부대의 공격을 격퇴했다. 93년 병력을 나누어 선거이에게 시흥(始興) 금주산(衿州山)에 진을 치게 한 후 28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한강을 건너 행주산성(幸州山城)에 주둔, 3만의 대군으로 공격해 오는 고바야카와의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이 싸움에서 일본군은 2만 4000여 명의 사상자를 내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그 전공으로 96년 충청도순찰사에 이어 도원수(都元帥)가 되었다. 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적군의 북상을 막기 위해 명(明)나라 제독 마귀(麻貴)와 함께 울산(蔚山)에서 대진했으나 전쟁의 확대를 꺼리던 명나라 장수들의 비협조로 공격하지 못했다. 99년 노환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 그해에 죽었다. 사후에 영의정·선무(宣武)·1등공신·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증되었고 1841년 행주에 기공사(紀功祠)를 건립, 그곳에 배향(配享)되었다. 임진왜란 7년간 우리의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으로 이순신(李舜臣)장군과 더불어 역사에 남을 전공을 세웠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 高麗太師權公幸神道碑(고려태사권공신도비) 청남 11-09-24 3906
27 高麗太師權幸墓(고려태사권행 묘) 비문 청남 11-09-24 3585
26 權幸(권행) 공 (고려개국공신) 생애와 묘 청남 11-09-24 3999
25 뿌리깊은 안동권씨 청남 07-03-22 6379
24 제10장 안동권씨의 항렬(行列) 관리자 05-01-06 13053
23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6
22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4
21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4
20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79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7
18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6
1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4
1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2
1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20
14 4)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듬 관리자 05-01-06 6422
13 3) 호당(湖堂)에 가장 먼저 입소하였음. 관리자 05-01-06 5160
12 2) 권문(權門)에서 처음으로 대제학(大提學)에 오름. 관리자 05-01-06 5518
11 1) 기로소(耆老所)에 처음 입소(入所)함. 관리자 05-01-06 5278
10 제4장 능동재사(陵洞齋舍) 관리자 05-01-06 5609
9 제3장. 능동(陵洞)의 묘역(墓域) 관리자 05-01-06 56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