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응생 ~ 권종

관리자이메일
■ 권응생(權應生) 1571∼1647 (선조 4∼인조 35) 조선시대의 학자.

자는 명세(命世), 호는 노헌(魯軒).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약관의 나이로 의병을 규합하여 곽재우(郭再祐)장군 휘하에 들어가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 1605년 (선조 38) 진사과에 합격, 12년 (광해군 4) 음보(蔭補)로 참봉(參奉)에 제수(除授)되었다. 그 뒤 봉사(奉事)·직장(直長)·평구도찰방(平丘道察訪)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의 폭정이 심해지자 사직하고 고향 밀양(密陽)으로 돌아가 학문을 닦았다. 23년 (인조 1) 인조반정으로 다시 등용되어 북부주부(北部主簿)·진천현감(鎭川縣監)을 지냈으나 관직에 뜻이 없어 다시 귀향, 지방선비들로부터 종장(宗匠)으로 추앙받으면서 오로지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만 심혈을 기울였다. 저서에는 아들 임(恁), 증손 경명(慶命)과의 시문을 합편하여, 후손 치복(致福)이 편찬한 《두고세고(杜皐世稿)》가 전한다.
--------------------------------------------------------------------------------------------------------------------------------------------------------------------------------
■ 권응수(權應銖) 1546∼1608 (명종 1∼선조 41) 조선시대의 무신.

자는 중평(仲平), 호는 백운재(白雲齋), 시호는 충의공(忠毅公). 1584년 (선조 1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훈련원봉사(訓練院奉事)로 북변을 수비하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남도 수군절도사 박홍(朴泓) 밑에 있다가 고향에 내려가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永川城)을 탈환하고 병마우후(兵馬虞侯)가 되었다. 그 후 문경(聞慶)의 당교(唐橋)싸움에서 또다시 적을 격파, 경상도 병마절도사 겸 방어사에 특진되었다. 99년 밀양부사가 되었으며 1604년 선무2등공신(宣武二等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진 뒤 도총관(都摠管)을 겸했다. 저서로 《백운재일기(白雲齋日記)》가 있다.

--------------------------------------------------------------------------------------------------------------------------------------------------------------------------------
■ 권응인(權應仁) ?∼? 조선시대의 문인.

자는 사원(士元), 호는 송계(松溪). 한리학관(漢吏學官)을 지냈다. 1562년 (명종 17) 시재가 뛰어나 문장에 능한 일본 사신이 왔을 때, 특명으로 선위사(宣慰使) 일행의 한 사람이 되어 이를 맞았다. 당시 송대(宋代)의 시풍(詩風)이 유행하던 문단에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으며, 시평(詩評)에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저서에 《송계집(松溪集)》이 있다.
--------------------------------------------------------------------------------------------------------------------------------------------------------------------------------
■ 권응정(權應挺) 1498∼1564 (연산군 4∼명종 19)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사우(士遇), 호는 묵암(默菴). 1522년 (중종 17)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 들어가 계속 학문을 닦고, 28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 권지정자(權知正字)에 등용된 후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등 여러 청요직(淸要職)을 거쳐 황해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다. 47년 (명종 2) 우윤(右尹)으로 재직중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壁書事件)과 관련, 봉성군(鳳城君)·송인수(宋麟壽) 등의 일파로 몰려 강진(康津)에 유배되고 단천(端川)·문의(文義) 등지에 이배(移配)되었다가 53년 유배가 풀린 후 고향에 돌아갔다. 57년 경주부윤(慶州府尹)·안동부사(安東府使)를 지내고 다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
■ 권응창(權應昌) 1505∼1568(연산군 11∼선조 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경우(景遇), 호는 지족당(知足堂). 1519년(중종 14) 생원이 되고, 28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시강관(侍講官)·사인(舍人)·승지(承旨)등을 거쳐 43년(중종 38) 형조참판, 이듬해 병조참판·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고, 46년(명종 1) 이조참판이 되었다. 47년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壁書事件) 때 형 응정(應挺)과 함께 봉성군(鳳城君)·송인수(宋麟壽) 등의 일파로 몰려 맹산(孟山)에 유배되었다. 53년 풀려나와 61년(현종 2) 남양부사(南陽府使)를 지내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올랐다. 질정관(質正官)·천추사(千秋使)·사은사(謝恩使) 등으로 여러 번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
■ 권의(權宜) ?∼? 고려 충렬왕 때의 폐신(嬖臣).

내직(內職)으로 있다가 승지(承旨) 염승익(廉承益)의 천거로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가 되었으나 재물을 빼앗는 등 포악한 짓을 많이 하여 파면되었다. 한때 정랑(正郞)이 되었으나 안렴사 시절 기생(妓生) 문제로 정연(鄭延)을 살해한 사건이 발각되어 해도(海島)로 유배되었다. 뒤에 감찰시사(監察侍史)를 지내고, 1287년(충렬왕 13) 전라도왕지별감(全羅道王旨別監)으로 있을 때에는 공물(貢物)을 진상하여 판도총랑(版圖摠郎)이 되기도 했다.
--------------------------------------------------------------------------------------------------------------------------------------------------------------------------------
■ 권이중(權履中) 1581∼1660 (선조 14∼현종 1) 조선시대의 문신.

초명은 유중(有中), 자는 자정(子正), 호는 남애(南厓). 1618년 (광해군 10) 문과(文科)에 장원했으나 문란한 과거제도로 인해 합격증서를 교부받지 못하자 시국을 개탄하고 고향 황산(黃山)에 돌아가 두문불출, 책을 읽으며 지냈다. 23년(인조 1)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여러 지방의 찰방(察訪)과 종묘서직장(宗廟署直長)·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감찰(監察)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거나 잠시 부임했다가 곧 그만두었다.
--------------------------------------------------------------------------------------------------------------------------------------------------------------------------------
■ 권이진(權以鎭) 1668∼1734 (현종 9∼영조 10)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자정(子定), 호는 유회당(有懷堂)·만수헌(漫收軒), 시호는 공민(恭敏).  윤증(尹拯)의 문인으로 글씨에 능했다. 1693년 (숙종 19) 사마시 (司馬試)를 거쳐 이듬해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사서(司書)·동래부사(東萊府使)를 지냈다. 1722년 (경종 2)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왔고 28년 (영조 4) 호조판서를 지냈으며, 32년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했으나 잘 다스리지 못하여 43년 파면당했다. 글씨에 능했으며, 저서로 《유회당집(有懷堂集)》이 있다.

   [ 권이진이 세운 유희당. ]
--------------------------------------------------------------------------------------------------------------------------------------------------------------------------------
■ 권익관(權益寬)  1676∼1730 (숙종 2∼영조 6)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흥보(弘甫). 1711 년(죽종 37)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소론(少論)으로 사서(司書)·수찬(修撰)·헌납(獻納)·충청도관찰사·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23년 (경종 3) 충청감사가 되었다가 24년 영조가 즉위하여 소론이 제거될 때 함경북도 최북단인 경원(慶源)에 유배되었다. 27년 (영조 3)에 풀려나와 공조참의·함경감사에 올랐으나 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으로 다시 거제(巨濟)에 안치(安置)되었다.
--------------------------------------------------------------------------------------------------------------------------------------------------------------------------------
■ 권익륭(權益隆) ?∼? 조선시대의 시조작가.

자는 대숙(大叔), 호는 하처산인(何處散人). 음사(蔭士)로 벼슬이 목사(牧使)에 이르렀다. 작품으로는 《고금가곡(古今歌曲)》에 <풍아별곡(風雅別曲)> 6수를 비롯하여 모두 8수의 시조가 전해지고 있다.
--------------------------------------------------------------------------------------------------------------------------------------------------------------------------------
■ 권일신(權日身) 1751∼1791 (영조 27∼정조 15) 한국 가톨릭교 창설을 주도한 3대 인물의 하나.

자는 성오(省吾), 호는 이암(移庵). 교명은 프란시스 자비에르(Francis Xavier). 양근(楊根;지금의 楊平)에서 출생. 남인에 속한 학자로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하다가 정약전(丁若銓)·정약용(丁若鏞)·권철신(權哲身)·이덕조(李德祚) 등과 함께 1777년 (정조 1)부터 한강가에 있는 어느 산가(山家)에 모여 가톨릭교 교리를 연구하며 신앙운동을 전개했다. 84년 베이징〔北京〕에서 영세를 받고 온 이승훈(李承薰)에게 영세를 받고 즉시 입교하였으며 열렬한 전파자가 되었다. 특히 제자 중 이존창(李存倉)·유항검(柳恒儉)을 입교시킴으로써 복음을 널리 전하였다. 85년 이승훈의 주재로 서울 명례동(明禮洞;지금의 明洞) 김범우(金範禹) 집에서 종교집회를 가졌을 때 수십 명의 신도가 모인 가운데 이덕조와 함께 신부로 뽑힌 뒤, 양근 지방 일대에 열심히 전도하여 서학(西學)의 요람지를 이루었다. 집회가 발각되어 김범우만 처형되고 그 외는 사대부집안의 자제라 하여 훈방되었다. 91년 (정조 15) 신해박해(辛亥迫害)의 여파로 잡혔을 때 고문에도 배교(背敎)치 않고 사형시킬 것을 상소하였지만 정조는 제주도로 유배시킬 것을 명하였다. 형조(刑曹)의 유혹에 굴복, 배교함으로써 감형(減刑)되어 예산(禮山)으로 가는 도중 장독으로 객사(客死)하였다.
--------------------------------------------------------------------------------------------------------------------------------------------------------------------------------
■ 권일형(權一衡) 1700∼? (숙종 26∼?) 조선 영조 때의 문신.

자는 신경(信卿). 1723년 (경종 3)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25년 (영조 1)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에 등용되고, 27년 김천도찰방(金泉道察訪)을 지낸 뒤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을 따라 난을 평정했다. 시강원설서(侍講院說書)·의주부윤(義州府尹) 등을 거쳐 51년에 승지(承旨)가 된 후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이르렀다.
--------------------------------------------------------------------------------------------------------------------------------------------------------------------------------
■ 권임(權恁) 1600∼1654 (선조 33∼효종 5) 조선시대의 학자.

자는 화숙(和叔), 호는 퇴암(退庵). 1645년 (인조 23) 음보(蔭補)로 참봉(參奉)이 되었다가 사직, 고향에서 저술과 성리학의 연구로 일생을 보냈다. 저서로 《두고세고(杜皐世稿)》가 있다.
--------------------------------------------------------------------------------------------------------------------------------------------------------------------------------
■ 권자신(權自愼) ?∼1456 (?∼세조 2) 조선 세조 때의 문신.

시호는 충민(忠愍). 문종비(文宗妃)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동생. 1453년 (단종 1) 동부승지(同副承旨)로 있다가 세조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이 되고, 56년 (세조 2) 예조판서에 올랐으나 이해 성삼문 (成三問)·박팽년(朴彭年)등과 함께 단종복위(端宗復位)를 도모했다가 김질의 고변(告變)으로 발각되어 가족 모두 심한 국문(鞠問)을 당한 끝에 거열형(車裂刑)을 받았다. 1513년 (중종 8) 관직이 복구되고 후에 강원도 영월(寧越)의 장릉(莊陵)에 배향(配享)되었다.
--------------------------------------------------------------------------------------------------------------------------------------------------------------------------------
■ 권장(權檣) 1489∼1519 (성종 20∼중종 14)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자는 제부(濟夫), 호는 우암(寓庵). 사빈(士彬)의 아들, 발(撥)의 동생. 진사(進士)로 1519년(중종 14)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검열(檢閱)·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내며 촉망을 받았으나 이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말미암아 금산군수(錦山郡守)로 좌천되어 가다가 중도에서 병으로 죽었다. 부제학(副提學)에 추증, 예천(醴泉)의 봉산서원(鳳山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
--------------------------------------------------------------------------------------------------------------------------------------------------------------------------------
■ 권적(權適) 1094∼1147 (선종 11∼의종 1) 고려시대의 문신·학자.

자는 득정(得正).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 덕여(德輿)의 손자. 16세에 청평산(淸平山) 문수사(文殊寺)에서 이자현(李資玄)과 사귀며, 학문을 닦았다. 예종 때 유학생으로 송(宋)나라 태학(太學)에서 수학하여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1117년 (예종 12) 귀국했다. 벼슬은 국자좨주(國子祭酒)·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검교태자태보(檢校太子太保)에 이르렀다.
--------------------------------------------------------------------------------------------------------------------------------------------------------------------------------
■ 권적(權適) ?∼? 고려시대의 문신.

시호는 원정(原靖). 충혜왕의 총애를 받아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에 이르렀으나 1332년 (충혜왕 2)원(元)나라가 충혜왕을 폐하고 충숙왕을 복위시키자 순군옥(巡軍獄)에 갇혔다가 섬으로 유배되었다. 40년 충혜왕이 복위하자 밀직대언(密直代言)에 추성경절공신(推誠勁節功臣)이 되었다. 이어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첨의참리(僉議參理)·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고 공민왕 때 길창군(吉昌君)에 개봉(改封)되었다. 찬성사(贊成事) 재임중 61년 (공민왕 10) 홍건적에 의해 서경(西京)이 함락당하자 승병(僧兵)을 거느리고 나가 싸워 공을 세워 단성보절익대공신(端誠保節翊戴功臣)이 되었다. 공민왕이 죽은 뒤 벼슬에서 쫓겨났다.
--------------------------------------------------------------------------------------------------------------------------------------------------------------------------------
■ 권적1675∼1755 (숙종 1∼영조 31) 조선 숙종·영조 때의 문신.

자는 경하(景賀), 호는 창백헌(蒼白軒)·남애(南厓)·계형(繼亨), 시호는 효정(孝貞). 1710년 (숙종 36) 생원(生員)이 되고, 13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한 뒤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가 되었다. 16년 검열(檢閱)·대교(待敎)·봉교(奉敎)·정언(正言) 등을 거쳐 25년 (영조 1) 사서(司書)·수찬(修撰)을 지냈다. 이듬해 교리(校理)·헌납(獻納)·이조좌랑(吏曹佐郎)을 지내고 27년 대사간에 올랐으며 승지(承旨)·이조참의(吏曹參議)·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를 거쳐 40년 대사헌·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이어 특진관(特進官), 45년 호조참판(戶曹參判)·경기도관찰사를 지냈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한성 부판윤·형조판서·좌참찬·예조판서·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우빈객(右賓客) 등 여러 요직을 지낸 뒤 54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저서로는 《창백헌집(蒼白軒集)》이 있다.

          [ 권적(창백헌)의묘 ]
--------------------------------------------------------------------------------------------------------------------------------------------------------------------------------
■ 권전(權 )1490∼1521 (성종 21∼중종 16)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군안(君安). 참판(參判) 주(柱)의 아들. 1519년 (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예문관수찬(藝文館修撰)이 되었다가 이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 21년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안처겸(安處謙)·정순붕(鄭順朋)·신광한(申光漢)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
■ 권절(權節) 1422∼1494 (세종 4∼성종 25)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단조(端操), 호는 율정(栗亭), 시호는 충숙(忠肅). 심(審)의 아들. 1447년 (세종 29)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한 뒤 집현전(集賢殿)에 들어갔으며 55년 (단종 3) 교리(校里)에 이르렀다. 수양대군(首陽大君;世祖)으로부터 계유정난(癸酉靖難)의 거사(擧事)에 가담할 것을 여러 번 권유 받았으나 거절하였다.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숙종 때 정문(旌門)이 세워지고 증직(贈職)되었다. 저서로 《율정난고(栗亭亂稿)》가 있다.

        [ 權節(충숙공)의 묘 ]
--------------------------------------------------------------------------------------------------------------------------------------------------------------------------------
■ 권정(權定) ?∼? 고려말·조선초의 문신.

자는 안지(安之), 호는 사복재(思復齋). 우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좌사간(左司諫)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러고 안동 옥산동(玉山洞)에 은거했다. 후에 조선 태조에 의해 승지(承旨)로 임명되었으나 사양했고 그후 태종이 대사간·대사헌 등에 임명했으나 역시 거절했다. 이로 인하여 당시 사람들은 옥산동을 기사리(棄仕里)라 불렀다
--------------------------------------------------------------------------------------------------------------------------------------------------------------------------------
■ 권정선(權靖善) 1848∼? (헌종 14∼?) 조선 후기의 국어학자.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고 만년에 국어학에 전념하여 《훈민종편(訓民宗篇)》 《음경(音經)》 등을 지었다. 특히 《음경》은 훈민정음이 본격적으로 연구되던 시기의 저작으로, 토의 용법에 관한 내용 등이 실려 있다. 영조 때의 운학자(韻學者)인 이사질(李思質)의 후계자로 주시경(周時經)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였다.
--------------------------------------------------------------------------------------------------------------------------------------------------------------------------------
■ 권정침(權正 ) 1710∼1767 (숙종 36∼영조 43)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자성(子誠), 호는 평암(平菴), 시호는 충헌(忠憲). 1757년 (영조 33)에 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세자시강원설서(世子寺講院說書)가 되었다. 62년 형조판서 윤급(尹汲)의 청지기인 나경언(羅景彦)이 사도세자의 비행을 임금에게 고하자 이때 사서(司書) 임성(任珹)·한림(翰林) 임덕제 등과 함께 세자의 무고함을 역설(力說)하였으나 영조가 드디어 세자를 폐하여 서인으로 하고 뒤주 속에 가두어 죽게 하자 통곡하며 귀향하여 문을 닫고 음식을 입에 대지 않고 죽었다.
--------------------------------------------------------------------------------------------------------------------------------------------------------------------------------
■ 권제(權嗇)1387∼1445 (고려 우왕 13∼조선 세종 27) 조선 태종 때의 문신.

초명은 도(蹈), 자는 중의 (仲義)·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시호는 문경(文景). 1414년 (태종 14)에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한 뒤 세종 초에 집현전부제학·대사헌·한성부윤이 되고, 29년 (세종 11) 명(明)나라에 다녀와 경기도관찰사가 된 후 35년 이조판서에 승진하였으며 이듬해 《동국연대(東國年代)》를 지어 임금에게 바쳤다. 고려사 편찬에도 참여했으며, 45년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다. 저서로 《지재집(止齋集)》 《역대세년가(歷代世年歌)》 《영가연괴집(永嘉連魁集)》 등이 있다.

          [ 문경공 권재의 묘(충북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
--------------------------------------------------------------------------------------------------------------------------------------------------------------------------------
■ 권종(權悰) ?∼1592 (?∼선조 25)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자는 희안(希顔), 시호 충민(忠愍). 효성이 지극하고 청렴결백하여 개령현감(開寧縣監)으로 천거되었다가 1592년 (선조 25) 금산군수(錦山郡守)로 부임했다. 그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光州牧使)로 있는 사촌동생인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과 연락, 군사를 이끌고 관찰사를 따라 전주(全州)에 도착했으나 관찰사가 그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군사를 빼앗고 군량관리의 임무를 맡기자 본군(本郡)에 돌아가 병졸 수백 명을 모집,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조헌(趙憲)에게 지원을 요청한 뒤 대거로 쳐들어온 적과 격전 끝에 순국(殉國)했다. 이조판서로 추증되고 금산(錦山)에 순의비(殉義碑)가 세워졌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 高麗太師權公幸神道碑(고려태사권공신도비) 청남 11-09-24 3906
27 高麗太師權幸墓(고려태사권행 묘) 비문 청남 11-09-24 3585
26 權幸(권행) 공 (고려개국공신) 생애와 묘 청남 11-09-24 3998
25 뿌리깊은 안동권씨 청남 07-03-22 6379
24 제10장 안동권씨의 항렬(行列) 관리자 05-01-06 13053
23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6
22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4
21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4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79
19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6
18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6
1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4
1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2
1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19
14 4)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듬 관리자 05-01-06 6421
13 3) 호당(湖堂)에 가장 먼저 입소하였음. 관리자 05-01-06 5160
12 2) 권문(權門)에서 처음으로 대제학(大提學)에 오름. 관리자 05-01-06 5518
11 1) 기로소(耆老所)에 처음 입소(入所)함. 관리자 05-01-06 5278
10 제4장 능동재사(陵洞齋舍) 관리자 05-01-06 5609
9 제3장. 능동(陵洞)의 묘역(墓域) 관리자 05-01-06 56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