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종해 ~ 권진

관리자이메일
■ 권종해(權鍾海) 1869∼1922 독립운동가.

자는 선명(宣明), 호는 성파(惺波). 1907년 강원도에서 의병을 규합, 이듬해 민긍호(閔肯鎬)·이중희(李重熙) 등과 함께 수천 명의 의병을 이끌고 인제(麟蹄)의 벡담사(白潭寺)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그해 5월 정선(旌善)에서 또다시 일본군 800여 명을 사살한 뒤 양양(襄陽)에 갔다가 밀정(密偵) 김성서(金聖瑞)의 밀고로 일본군의 급격을 받아 의병을 해산하고 만주로 건너가 의군부(義軍府)에 가입했다. 유격장(遊擊將)이 되어 18년 정만교(鄭萬敎)와 함께 귀국하였고 이듬해 3·1운동 때 체포되어 무기형을 언도받고 4년 만에 옥사하였다. 77년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 권주(權鑄) ?∼1394 (?∼태조 3) 고려시대의 문신·서예가.

자는 희안(希顔), 호는 계헌. 일찍이 등제하여 충주(忠州)·황주(黃州)목사를 역임하였으며 백성을 잘 다스려 칭송을 받았다. 1363년 (공민왕 12) 신축호종이등공신(辛丑扈從二等功臣)에 서훈(敍勳)된 이래 전공판서(典工判書)·지신사(知申事)·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다. 글씨에 뛰어나 여주(驪州) 신륵사의 《신륵사대장각기(神勒寺大藏閣記)》, 묘향산 안심사(安心寺)의 《지공나옹사리석종비(指空懶翁舍利石鐘碑, 1384)》, 태고사(太古寺)의 《원증국사탑비(圓證國師塔碑, 1385)》 등이 전한다. 필획의 운용(運用)에서는 한수(韓修)의 맥을 그대로 잇고 있으나, 결구(結構)와 배치에 이어서 공간을 펼쳐쓰려는 변화를 꾀하였다.

[ 권주의 필적 ]
--------------------------------------------------------------------------------------------------------------------------------------------------------------------------------
■ 권주(權柱) 1457∼1505 (세조 3∼연산군 11) 조선 성종 때의 문신.

자는 지경(支卿), 호는 화산(花山). 1474년 (성종 5) 진사(進士)가 되고 80년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했다. 중국어에 능하여 89년 공조정랑(工曹正郎)으로 있을 때 질정관(質正官)으로 랴오둥〔遼東〕에 다녀왔다. 93년 부응교(副應敎)로 있으면서 경차관(敬差官)이 되어 쓰시마섬〔對馬島〕에 다녀왔고, 97년(연산군 3) 도승지(都承旨)에서 충청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거쳐 1502년 정조사(正朝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온 뒤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때, 앞서 성종이 윤비(尹妃)를 폐위시키고 사사(賜死)할 당시 사약(賜藥)을 가지고 갔다 하여 장형(杖刑)을 받고 평해(平海)로 귀양갔다가 교살 당하였다. 중종 때 우참찬(右參贊)에 추증되었다.

   [ 權柱의 신도비각. ]

--------------------------------------------------------------------------------------------------------------------------------------------------------------------------------
■ 권준(權準) 1280∼1352 (충렬왕 6∼공민왕 1) 고려시대의 문신.

자는 평중(平仲), 호는 추재(秋齋), 시호는 창화(昌和). 문과(文科)에 급제, 충선왕이 원(元)나라에 머물 때 시종한 공으로 대언(代言)이 된 뒤 왕의 신임을 받아 무위장군(武衛將軍)·합포만호(合浦萬戶)를 거쳐 1310년(충선왕 2)에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다. 12년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지고 정조사(正朝使)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심양왕(瀋陽王) 고(暠)가 왕위를 노리고 국내에 당파를 만들었으나 끝까지 동조하지 않아 심양왕의 변이 끝난 후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가 되었다. 39년(충숙왕 복위 8) 조적의 난이 일어나자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난이 가라앉은 후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봉해졌다. 충목왕(忠穆王)이 죽자 기로대신(耆老大臣)들과 함께 공민왕을 세울 것을 원나라에 청하기도 하었다. 그의 외손녀는 충혜왕의 비(妃)가 되었다.

[ 권준의 필적 ]   [ 權準(秋齋)의 제실  秋陽齋 ]
--------------------------------------------------------------------------------------------------------------------------------------------------------------------------------
■ 권준(權晙)1895∼1959 독립운동가.

본명은 중환(重煥). 호는 백인(百忍)·양무(揚武). 경상북도 상주(尙州) 출생. 3·1운동 후 만주로 망명,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하고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였다. 그후 국내에서 활동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출옥 후 다시 중국에 망명하였다. 1924년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자대회에 참석, 이어 황푸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북벌전(北伐戰)에 참가했다. 중국국민당의 원조로 한국인 군사학교를 설립, 독립군 간부를 양성했고 한국인 의용군의 비서장으로 일본군과 싸웠으며, 44년 임시정부의 내무부차장을 지냈다. 45년 광복 후 무한지구(武漢地區)의 교포선무단장(僑胞宣撫團長)과 광복군(光復軍)5지대장을 지냈다. 46년 귀국, 48년 정부수립 후에 육군대령으로 특채되면서 제106여단장·초대수도경비사령관·서부지구경비사령관 등을 지냈다. 68년 건국훈장국민장을 받았다.

--------------------------------------------------------------------------------------------------------------------------------------------------------------------------------
■ 권중경(權重經) 1658∼1728 (효종 9∼영조 4)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도일(道一), 호는 정묵당(靜默堂)·손재(巽齋). 본관은 안동(安東). 1689년 (숙종 15)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이듬해 사서(司書)에 임명되고, 교리(校理)·헌납(獻納)·이조좌랑(吏曹佐郞)을 거쳐 수찬(修撰)·이조정랑(吏曹正郎)·사간(司諫)·승지(承旨)·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으며 94년 이조참의(吏曹參議)가 되었다. 이해 갑술옥사(甲戌獄事)가 일어나 관직을 빼앗기고 고군산도(古群山島)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1721년(경종 1) 풀려나와 이듬해 전라도관찰사에 올랐고 23년 함경도관찰사를 거쳐 24년 형조참의·호조참의를 역임하였다. 28년(영조 4) 그의 조카 이인좌(李麟佐)가 난을 일으키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저서로 《정묵당집(靜默堂集)》이 있다.

--------------------------------------------------------------------------------------------------------------------------------------------------------------------------------
■ 권중도(權重道) 1680∼1722 (숙종 6∼경종 2) 조선 숙종 때의 성리학자.

자는 여행(汝行), 호는 퇴암(退菴). 16세에 《경사자집(經史子集)》을 모두 읽었고, 이미 문장이 완숙하였으나 세상에 발표하기를 싫어하였다. 1697년 (숙종 23) 이래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연구하면서 관직에 뜻을 두지 않은 채 오직 학문연마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저서로 《낙민언경록(洛閔言敬錄)》 《금양기선록(錦陽記善錄)》이 있다.

--------------------------------------------------------------------------------------------------------------------------------------------------------------------------------
■ 권중현(權重顯) 1854∼1934 조선 고종 때의 문신.

초명은 재형(在衡), 호는 경농(經農). 충청북도 영동(永同) 태생으로 1884년(고종 21) 부산감리서서기관(釜山監理署書記官)에 이어 주일공사(駐日公使)·한성부윤(漢城府尹)·참찬(參贊)등을 거쳐 법부·군부·농상공부의 대신을 지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에 찬성하여 을사오적 (乙巳五賊)의 한 사람으로 규탄받았으며 국권피탈 이후 일본 자작(子爵)이 되고,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과 조선사편수회의 고문을 지냈다.

             [ 권중현의 필적 ]

--------------------------------------------------------------------------------------------------------------------------------------------------------------------------------
■ 권중화(權仲和) 1322∼1408 (고려 충숙왕 9∼조선 태종 8) 고려말·조선초의 문신·서예가.

자는 용부(容夫), 호는 동고(東皐), 시호는 문절(文節). 1353년 (공민왕 2)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우왕(禑王) 때 문하찬성사에 이르렀다. 90년 (공양왕 2) 이·초(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와 상의찬성사(商議贊成事)를 역임하였다. 92년 조선개국 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에 올랐으며, 1407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고사(故事)·의학·지리·복서(卜筮)에 통달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다. 작품은 1377년 (우왕 3)에 건립된 《회암사선각왕사나옹비(檜巖寺禪覺王師懶翁碑)》가 전하는데 고려시대에는 보기 드문 예서로 되어 있다. 자경(字徑)은 3촌 7분이며 왕희지·구양순류(類)가 휩쓸었던 신라와 고려시대 서예계의 흐름에서 볼 때 매우 특이한 예로 조형이나 필획에서 해서(楷書)의 요소가 엿보이나 획이 가지고 있는 순수하고 고졸(古拙)한 맛은 한(漢)대의 장천비(張遷碑)를 따르고 있다.

--------------------------------------------------------------------------------------------------------------------------------------------------------------------------------
■ 권중휘(權重輝) 1905∼ 영문학자·교육자.

경상북도 안동(安東) 출생. 1931년 도쿄〔東京〕대학 문학부를 졸업한 뒤 귀국하여 동래(東萊)고등보통학교 교사를 지냈다. 41∼45년 만주 신경(新京)공업대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광복 뒤 고려대학교·서울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강의하였고 62년 고려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 학장 및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72년 문교부 교육정책심의위원장, 74년 운정(雲庭)장학재단 감사를 역임하였다. 54년 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81년에는 원로회원이 되었다. 저서로는 《포켓영한사전》, 수필집 《무위(無爲)의 변(辯)》 《문학과 사상》 《낙엽》 등이 있다.

--------------------------------------------------------------------------------------------------------------------------------------------------------------------------------
■ 권진(權軫) 1357∼1435 (고려 공민왕 6∼조선 세종 17) 고려말·조선초의 문신.

호는 독수와(獨樹窩), 시호는 문경(文景). 1377년 (우왕 3) 문과(文科)에 급제, 자기 조카딸과 결혼하라는 권신(權臣) 염흥방(廉興邦)의 제의를 거절, 관직을 내놓았다. 몇 해 뒤 의창현(義昌縣)의 현령(縣令)이 되어 왜구의 침입을 막았으며 시중(侍中) 이성계(李成桂)의 천거로 전주판관(全州判官)이 되었다. 98년 (조선 태조7) 조전원수(助戰元帥) 성석린(成石璘)의 추천으로 경력(經歷)이 되고 태종 초 강원도와 경상도의 도관찰사(道觀察使)를 지냈으며, 1407년(태종 7) 형조판서에 올라 흠문기거사(欽問起居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온 후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22년 (세종 4) 중군도총제(中軍都摠制)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다시 명나라에 갔으며, 이듬해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26년 찬성(贊成)을 지내고 30년 이조판서를 거쳐 31년 우의정에 올랐으나 33년 파직 당했다.

     [ 權軫(문경공)의 묘 ]
--------------------------------------------------------------------------------------------------------------------------------------------------------------------------------
■ 권진(權縉) 1572∼1624 (선조 5∼인조 2)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운경(雲卿), 호는 수은(唾隱). 1597년 (선조 30)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한 뒤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1609년 (광해군 1) 경주부윤(慶州府尹)에 올랐다. 13년 승지(承旨)로서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동생 김선(金瑄)의 사형을 감형하라고 호소했다. 수원부사(水原府使)·함경도관찰사·한성판윤(漢城判尹)·좌참찬(左參贊)을 지내고 22년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권신(權臣)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번 탄핵을 받았다. 이듬해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 대신·고관들이 모두 도주했을 때 홀로 조정에 나아가 대궐을 호위, 많은 공을 세웠으나 그의 유능함을 질시하는 반정공신(反正功臣)들의 무고(誣告)로 양산(梁山)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공신들의 사주를 받은 경상도관찰사 민성휘(閔聖徽)에 의해서 왜인(倭人)과 내통하여 반란을 꾀했다는 죄목으로 참형(斬刑)당한 뒤 조정에 보고되었다.

       [ 권진의 글씨 ]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 高麗太師權公幸神道碑(고려태사권공신도비) 청남 11-09-24 3892
27 高麗太師權幸墓(고려태사권행 묘) 비문 청남 11-09-24 3576
26 權幸(권행) 공 (고려개국공신) 생애와 묘 청남 11-09-24 3991
25 뿌리깊은 안동권씨 청남 07-03-22 6367
24 제10장 안동권씨의 항렬(行列) 관리자 05-01-06 13034
23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0
22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594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0
20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67
19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1
18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1
1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55
1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15
1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06
14 4)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듬 관리자 05-01-06 6406
13 3) 호당(湖堂)에 가장 먼저 입소하였음. 관리자 05-01-06 5159
12 2) 권문(權門)에서 처음으로 대제학(大提學)에 오름. 관리자 05-01-06 5512
11 1) 기로소(耆老所)에 처음 입소(入所)함. 관리자 05-01-06 5272
10 제4장 능동재사(陵洞齋舍) 관리자 05-01-06 5594
9 제3장. 능동(陵洞)의 묘역(墓域) 관리자 05-01-06 561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