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진규 ~ 권필

관리자이메일
■ 권진규(權鎭圭) 1922∼1973 조각가.

함경남도 함흥(咸興) 출생. 일본 무사시노〔武藏野〕 미술학교 조각과를 졸업하였으며, 재학중 이과회전(二科會展)에 출품하여 최고상을 받아 주목을 받았다. 귀국한 뒤 홍익대학·수도여자사범대학(현재 세종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강사로 있었다. 65년 서울 신문회관, 68년 도쿄〔東京〕 니혼바시화랑〔日本橋畵廊〕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71년 명동화랑에서 한국 최초의 초대개인전 형식으로 제3회 개인전이 열렸다. 일찍이 부르델에게 감명을 받았으며, 주로 인물이나 말·닭 등의 동물상을 테라코타로 제작하였는데 불필요한 장식물을 극도로 생략하면서 작가와 대상의 정신적 합일을 추구하였다. 88년 중앙일보사 주최로 호암갤러리에서 대회고전(大懷古展)이 열렸다. 대표작으로 《지원(志援)의 얼굴》 《비구니》 《말》 등의 테라코타와 건칠(乾漆) 작품이 있다.

[ 권진규 작품 ]
--------------------------------------------------------------------------------------------------------------------------------------------------------------------------------
■ 권질(權 ) 1483∼1545 (성종 14∼인종 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사안(士安). 아버지는 예조참판 주(柱). 1504년 (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아버지가 살해될 때 마침 한글로 표기된 연산군 실정(失政)의 투서가 궁중에 들어가 언문옥사(諺文獄事)가 일어나자 죄인의 자손이라 하여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되었다. 1506년 (중종 1)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와 음보(蔭補)로 현릉참봉(顯陵參奉)이 되고 17년 광흥창봉사(廣興倉奉事)로 승진되었다가 21년 (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된 아우 전으로 인해, 예안(禮安)에 유배되었다. 38년 풀려나 직첩(職牒)을 돌려받았다.
--------------------------------------------------------------------------------------------------------------------------------------------------------------------------------
■ 권징(權徵) 1538∼1598 (중종 33∼선조 3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송암(松菴), 시호는 충정(忠定). 1562년 (명종 17)의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한림(翰林)에 있을 때 직필(直筆)로 굽히지 않았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가 크게 불사(佛事)를 일으킬 때에도 임금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았다. 68년 (선조 1)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참여했으며 80년 우승지가 되었다. 83년 충청도·강원도관찰사를 거쳐, 86년 형조참판, 88년함경도관찰사를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기도관찰사가 되어 왜군과 싸웠으나 대패하고 순찰사로서 강화에서 명군(明軍)의 군량보급에 힘썼으며, 권율과 함께 경기·충청·전라 3도의 의병을 규합하어 왜군과 싸웠다. 93년 공조판서·진휼사(賑恤使)가 되어 명장(明將) 이여송(李如松)이 주장하는 화의(和議)에 반대하여 명군의 힘을 빌지않고 의병을 모아 적과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사후에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 송암 권징의 묘소(경기도 성남시 금토동 둔퇴리) ]
--------------------------------------------------------------------------------------------------------------------------------------------------------------------------------
■ 권찬(權 ) 1430∼1487 (세종 12∼성종 18) 조선시대의 명의(名醫).

자는 취지(聚之), 시호는 정순(靖順). 1462년(세조 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이 되어 널리 의술을 연구했다. 66년 내의원주부(內醫院主簿)로 의학교수(醫學敎授)·감찰(監察)을 겸했고, 67년 공조좌랑(工曹佐郎)·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 이듬해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의 모반죄를 잘 다스려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으로 행사섬시첨정(行司瞻寺僉正)이 되었다. 77년(성종 8) 한계희(韓繼禧)와 함께 《의서유취(醫書類聚)》를 간행, 그 공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고, 이듬해 공조판서에 임명되었을 때 의관(醫官)으로서 동반직(東班職)에 등용됨은 법에 어긋난다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았으나 성종의 신임으로 무사했다. 83년 약방제조(藥房提調)를 겸직하였다.
--------------------------------------------------------------------------------------------------------------------------------------------------------------------------------
■ 권채(權採) 1399∼1438 (정종 1∼세종 20)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여서(汝鋤). 1417년(태종 17)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이어 27년 (세종 9) 문과중시(文科重試)에도 급제하여 집현전응교(集賢殿應敎)가 되었다. 그해 비첩(婢妾)을 학대한 죄로 중도부처(中途付處)되었다가 후에 풀려나 검토관(檢討官)을 거쳐 33년 대사성에 올랐고,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36년 우부승지(右副承旨)가 되었다. 38년 유호통(兪好通)·노중례(廬重禮)·박윤덕(朴允德) 등과 《신증향약집성방(新增鄕藥集成方)》을 편수했다. 저서로 《성도(聖圖)》가 있다.

[ 權採(권채)의 壇位 ]
--------------------------------------------------------------------------------------------------------------------------------------------------------------------------------
■ 권철(權轍) 1503∼1578 (연산군 9∼선조 1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경유(景由), 호는 쌍취헌(雙翠軒), 시호는 강정(康定). 1528년 (중종 23) 진사(進士)가 되고, 34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한 뒤 성균관을 거쳐 예문관검열(禮文館檢閱)이 되었다. 사초(史草)를 쓸 때 직필(直筆)하여 영의정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고 한때 좌천, 37년 김안로가 사사(賜死)되자 사관(史官)에 복직되었으며 여러 청요직(淸要職)을 거쳐 44년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으로 경상도경차관(敬差官)이 되었다. 경기도 어사(御史)·우승지(右承旨)·도승지(都承旨)를 지냈고, 53년 (명종 8)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경상도·전라도의 관찰사, 형조·병조의 판서를 거쳐 61년 (현종 2) 우찬성(右贊成), 65년 우의정이 되었다. 이해 등극사(登極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67년 좌의정, 71년 영의정에 올랐다. 그의 청신함을 높이 사, 많은 사람들이 복상(福相)이라고 칭송하였다.

     [ 권철의 글씨 ]
--------------------------------------------------------------------------------------------------------------------------------------------------------------------------------
■ 권철신(權哲身) 1736∼1801 (영조 12∼순조 1) 조선시대 남인학자로 초기 천주교 신자의 한 사람.

세례명은 암브로시오(Ambrosius). 호는 녹암(鹿菴). 1777년 (정조 1) 고향 양근(楊根;지금의 양평)에 가까운 곳에 있는 주어사(走魚寺)에서 강학(講學)을 주도하고, 이벽(李蘗)·정약전(丁若銓) 등과 같이 서학교리연구회(西學敎理硏究會)를 가졌다. 북경에서 영세하고 돌아온 이승훈(李承薰)에 의해 입교하였으며, 아우 권일신(權日身)이 열렬한 전도자가 된 데 비해 권철신은 직접 전도하지는 않았고, 늘 집에서 학문과 종교생활에 전념하였다. 1801년 (순조 1) 신유박해 (辛酉迫害) 때 이가환(李家煥)·이승훈·정약종(丁若鍾) 및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 등과 함께 국문(鞠問)을 받았고 마침내는 매를 맞아 66세로 옥사하였다. C.C. 달레는 그를 순교자로 보고 있으나 그것은 황사영(黃嗣永)의 백서(帛書)를 근거로 한 때문인 것 같다.
--------------------------------------------------------------------------------------------------------------------------------------------------------------------------------
■ 권첨(權詹) 1664∼1730 (현종 5∼영조 6)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숙량(叔良). 1694년 (숙종 20)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지평(持平)·정언(正言)·사서(司書)·보덕(輔德)·대사간을 거쳐 1727년 (영조 3)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이인좌(李麟佐)가 반란을 일으켜 청주(淸州)를 공격해 왔을 때 출병하지 않아 성이 함락되자 역심(逆心)을 가졌다는 혐의로 투옥, 여러 차례 친국(親鞠)을 받고 옥사하였다.
--------------------------------------------------------------------------------------------------------------------------------------------------------------------------------
■ 권첨1573∼1629 (선조 6∼인조 7)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정오(靜吾). 1606년 (선조 39) 생원(生貝)이 되고 16년 (광해군 8)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형조좌랑(刑曹佐郎)이 되고, 18년 인목대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정청(庭請)에 나아가지 않았다. 23년 (인조 1)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공조참의(工曹參議)가 되고, 이듬해 황해도관찰사, 이어 부호군(副護軍)이 되었으나 무고를 받아 한때 파직당했다가 다시 판장례원사(判掌隸院事)로 등용되었다. 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강화(江華)에 호종(扈從)하였으며 이해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가서 후금(後金)의 침입을 알리고 이듬해 귀국, 경주부윤(慶州府尹)을 지냈다.
--------------------------------------------------------------------------------------------------------------------------------------------------------------------------------
■ 권총(權聰) 1413∼1480 (태종 13∼성종 11) 조선 태종의 외손자.

시호는 영정(靈靖). 길천군(吉川郡) 규의 아들, 어머니는 경안궁주(慶安宮主;太宗의 3녀).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궁중에서 자랐으며 1453년 (단종 1) 부사정(副司正)이 된 후 우시직(右侍直)·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를 거쳐61년 (세조 7)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시주(詩酒)를 좋아했다.

     [ 권총의 묘(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원부리) ]
--------------------------------------------------------------------------------------------------------------------------------------------------------------------------------
■ 권춘란(權春蘭) 1539∼1617 (중종 34∼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언회(彦晦), 호는 회곡(晦谷). 이황(李滉)의 문인. 1570년 (선조 3)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73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고 검열(檢閱)·감찰(監察)·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정언(正言)·지평(持平) 등을 지냈다. 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동에서 김윤명(金允明)의 의병에 가담했다. 95년 장령(掌令)을 거쳐 1601년 청송부사(靑松府使)가 되었으나 부모가 죽자 여러 벼슬을 거절하고 학문에만 전념했다. 구봉령의 유문(遺文)을 교정하였다. 안동의 주계서원(周溪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저서로 《회곡진학(晦谷進學)》 《공문언행록(孔門言行錄)》 《회곡집(晦谷集)》 등이 있다.

[ 권춘란의 글씨 ]
--------------------------------------------------------------------------------------------------------------------------------------------------------------------------------
■ 권충(權衷) 1352∼1423 (고려 공민왕 1∼조선 세종 5)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1372년 (공민왕 21) 군기녹사(軍器錄事)를 거쳐 군기시윤(軍器寺尹)·전의령(典儀令)·판소부시사(判少府寺事) 등을 지내고 92년 공조판서로 승진되었다. 조선 건국 후 호조전서(戶曹典書)에 기용되고, 1402년 (태종 2) 경기좌우도절제사, 1408년 이성등처도병마사판삭주도호부사(泥城等處都兵馬使判朔州都護府事)를 거쳐 병조·이조전서와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역임하였다. 11년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녹권(錄券)을 하사받았다. 14년 진하사(進賀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판서에 임명되었으며, 20년 (세종 2)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를 지낸 뒤 벼슬길에서 물러났다. 시호는 평후(平厚).
--------------------------------------------------------------------------------------------------------------------------------------------------------------------------------
■ 권치문(權致文) 1834∼1892 (순조 34∼고종 29) 조선 말기의 카톨릭교인.

교명은 다두. 평안도 출생. 1866년 (고종 3) 병인박해(丙寅迫害) 후 오치옥(吳致玉)·김성흠(金聖欽) 등과 외국의 성직자를 맞아들이기 위해 만주에 왕래하여 외국 선교사들과 연락하고 마제은(馬蹄銀)을 비밀이 들여와 교회 기금으로 사용했다. 한때 평안·강원·경기지방에서 전도하다가 76년 다시 만주 차구에 가서 《한불자전(韓佛字典)》 편찬을 도왔다. 80년 G.C.M.뮈텔·리오비유 두 신부를 입국시키고 92년 드세 신부와 함께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교회 건물인 서울 약현천주교회(藥峴天主敎會;현 中林洞 성당)를 지었다.
--------------------------------------------------------------------------------------------------------------------------------------------------------------------------------
■ 권태시(權泰時) 1635∼1719 (인조 13∼숙종 45) 조선 중기 문신·학자.

자는 형숙(亨叔). 호는 산택재(山澤齋). 장흥효(張興孝)의 문인이었던 아버지 밑에서 공부하였다. 벼슬에 뜻이 없어 은거하던 중, 1690년 (숙종 16) 학행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주부(掌樂院主簿)가 되었고, 그 뒤 회덕현감(懷德縣監)이 되었다. 94년 갑술옥사 후 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보냈다. 저서로 《산택재집(山澤齋集)》이 있다.
--------------------------------------------------------------------------------------------------------------------------------------------------------------------------------
■ 권태응(權泰應) 1918∼1951 아동문학가.

충청북도 충주(忠州) 출생. 1937년 경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 와세다〔早稻田〕대학 정치경제과에서 수학하였다. 재학중 일본의 치안유지법을 위반했다는 혐의로 1년간 복역하였으며 출옥 뒤 폐결핵으로 학교를 중퇴하였다. 충주에서 요양중 토속적인 소재로 작품활동을 하였으며, 아동들에 대한 애정을 갖고 동요를 많이 발표하였다. 68년 충주 탄금대(彈琴臺)에 동요 《감자꽃》을 새긴 그의 노래비(碑)가 세워졌다. 작품으로는 동요집 《감자꽃》과, 동요 《도토리들》 《산샘물》 《달팽이》 《꽃모종》 등이 있다.
--------------------------------------------------------------------------------------------------------------------------------------------------------------------------------
■ 권태일(權泰一) 1569∼1631 (선조 2∼인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수지(守之), 호는 장곡(藏谷). 구봉령(具鳳齡)의 문인이다. 진사로 있다가 1599년 (선조 32)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를 지냈다. 검열(檢閱)·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시강원설서(侍講院說書)·정언(正言)·이조좌랑(吏曹佐郎) 등을 역임하고 병으로 사임하였다. 뒤에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이조정랑·영덕현령(盈德縣令) 등을 지내고 정5품의 홍문관교리(校理)로 승진하였으나 다시 병으로 사임하였다. 병이 낫자 다시 승지(承旨) 등 여러 요직을 지내다가 한때 부모봉양을 위해 고향 지방관인 죽주부윤(竹州府尹)을 맡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상경하여 병조참의(兵曹參議)를 비롯해 대사간(大司諫)·형조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접반사(接伴使)로 가도에 갔다가 병이 악화되어 돌아오던 중 정주(定州)에서 죽었다. 저서에 《장곡선생문집(藏谷先生文集)》이 있다.
--------------------------------------------------------------------------------------------------------------------------------------------------------------------------------
■ 권태호(權泰浩) 1903∼1972 성악가·동요작곡가.

1925년 일본 나카노〔中野〕음악학교에 입학하여 성악을 전공하였다. 28년일시 귀국하여 당시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강당에서 첫 독창회를 가졌다. 30년부터 평양(平壤)숭실전문학교·광성학교, 서울의 중앙보육학교 등에서 후진양성에 힘썼다. 그 뒤 일본에서 잠시 교수로 있다가 귀국, 대구(大邱)에 정착하였다. 작품으로 《나리나리 개나리》 《무찌르자 오랑캐》 《꽃피는 삼천리》 《조선의 아들》 《봄나들이》 등 다수가 있다. 60년 제1회 대구시문화상을 수상하였다.
--------------------------------------------------------------------------------------------------------------------------------------------------------------------------------
■ 권필(權 )1569∼1612 (선조 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인.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주(石洲). 정철(鄭澈)의 문인(門人). 벼슬에 뜻이 없어 시(詩)와 술로 낙을 삼고 가난하게 살다가 여러 문인들의 추천으로 제술관(製述官)·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임명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강화(江華)에 가서 많은 사람들을 가르쳤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구용(具容)과 함께 싸우기를 강력히 주장했고 당시의 권신(權臣)인 이이첨(李爾瞻)이 교제할것을 청했으나 거절했다. 국사(國事)의 잘못이 있으면 비판하기를 꺼리지 않아 광해군의 비(妃) 유씨(柳氏)의 아우 유희분(柳希奮) 등 척리(戚吏)들의 방종을 풍자한 궁류시(宮柳詩)를 지었다가 발각되어 사형을 당하게 되었으나, 이항복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고 해남으로 귀양가는 도중 동대문 밖에서 사람들이 동정으로 주는 술을 폭음하고 이튿날 죽었다. 인조반정 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되고 광주 운암사(雲巖祠)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석주집(石洲集)》이 있다.

    [ 권필의 글씨 ]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 高麗太師權公幸神道碑(고려태사권공신도비) 청남 11-09-24 3903
27 高麗太師權幸墓(고려태사권행 묘) 비문 청남 11-09-24 3583
26 權幸(권행) 공 (고려개국공신) 생애와 묘 청남 11-09-24 3997
25 뿌리깊은 안동권씨 청남 07-03-22 6378
24 제10장 안동권씨의 항렬(行列) 관리자 05-01-06 13047
23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4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3
21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4
20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78
19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5
18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6
1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3
1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1
1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14
14 4)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듬 관리자 05-01-06 6415
13 3) 호당(湖堂)에 가장 먼저 입소하였음. 관리자 05-01-06 5160
12 2) 권문(權門)에서 처음으로 대제학(大提學)에 오름. 관리자 05-01-06 5517
11 1) 기로소(耆老所)에 처음 입소(入所)함. 관리자 05-01-06 5278
10 제4장 능동재사(陵洞齋舍) 관리자 05-01-06 5599
9 제3장. 능동(陵洞)의 묘역(墓域) 관리자 05-01-06 562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