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이메일
■ 권필칭(權必稱) ?∼1784 (?∼정조 8)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자평(子平), 호는 오담(梧潭). 송명흠(宋明欽)·김원행(金元行)의 문인이다. 1750년 (영조 26) 무과(武科)에 급제한 뒤 선전관(宣傳官)·주부(主簿)·도사(都事)·경력(經歷)·충청도우후(忠淸道虞侯)를 지냈다. 이어 서산(瑞山)·장기·고성(固城)·해남(海南)·광양(光陽)의 현감(縣監)을 지내고 삭주부사(朔州府使)·창성방어사(昌城防禦使)를 거쳐 경상좌도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에 이르렀다.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사부(詞賦)에도 능했다.
------------------------------------------------------------------------------------------------------------------------------------------------------------------------------
■ 권학규(權學奎) 1886∼1921 독립운동가.

경기도 고양(高陽) 출생. 1919년 이동욱(李東旭) 등과 독립군환영단(獨立軍歡迎團)을 조직했다. 상해 임시정부에 있는 이동녕(李東寧)과 연락을 취하며 각종 경고문과 항일선전문을 인쇄, 비밀리에 국내외로 발송했다. 20년 3·1운동 1주년을 계기로 국민에게 보내는5종의 지시문을 인쇄하여 2월 28일 새벽 이동욱에게 밀송하다가 발각되어 1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병보석으로 출감하였으나 출감 이튿날 병사했다.
------------------------------------------------------------------------------------------------------------------------------------------------------------------------------
■ 권한공(權漢功) ?∼1349 (?∼충정왕 1) 고려 말기의 문신.

호는 일재(一齋). 시호(諡號)는 문탄(文坦). 첨의평리(僉議評理) 책의 아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 직사관(直史館)을 지내고 1294년 (충렬왕 20) 성절사(聖節使)로 원(元)나라에 다녀왔다. 충선왕의 총애를 받았고 후에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계속 거주하였다. 밀직부사(密直副使)·첨의평리를 거쳐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이 되고,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에 봉해졌다. 충선왕이 토번(土蕃)땅으로 귀양가자 충숙왕에 의해 구금되고 장류(杖流)되었으나 원제(元帝)의 명으로 풀려나왔고 그 복수로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 충숙왕을 폐위시키려 하다가 실패했다. 저서에 《일재집(一齋集)》이 있다.
------------------------------------------------------------------------------------------------------------------------------------------------------------------------------
■ 권함1423∼1487 (세종 5∼성종 18) 조선 중기 무신.

자는 차옥(次玉), 호는 지수암(知守庵). 시호는 양평(襄平).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극화(克和)의 아들. 1444년 (세종 26) 음보(蔭補)로 사직서녹사(社稷署錄事)가 되고 50년 사온서주부로 있을 때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뒤 감찰(監察)·도승지(都承旨)를 지냈다. 68년 (세조 14) 남이(南怡)가 죽게 되자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으로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다. 69년 성종이 즉위하자 이조판서가 되어 청승습사(請承襲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왔고 71년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올랐으며 대사헌·좌참찬(左參贊)·병조판서를 지냈다.
------------------------------------------------------------------------------------------------------------------------------------------------------------------------------
■ 권해1639∼1704 (인조 17∼숙종 3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개옥(皆玉), 호는 남곡(南谷). 호조판서 대재(大載)의 아들. 1665년 (현종 6)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74년 고부사(告訃使) 서장관(書狀官)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79년 (숙종 5)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허목(許穆)이 영의정 허적(許積)의 아들 견(堅)의 불법한 행위를 공격한 사건의 여파로 청남(淸南)·탁남(濁南)의 당파싸움이 벌어지자 도승지(都承旨) 민암에 의해 청남인 허목의 당으로 몰려 아버지는 광주(光州)로, 권해는 청도(淸道)로 유배되었다. 89년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대사간에 복관(復官), 대사성(大司成)·대사헌·부제학(副提學)·승지(承旨)·형조참의(刑曹參議)를 거쳐 호조참의에 이르렀다. 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또다시 유배되었다가 97년 석방된 뒤 예안(禮安)에서 여생을 보냈다. 문장·글씨에 뛰어났고 평양부윤(平壤府尹) 재임시에 평안북도 영변(寧邊)의 《보현사영암대사석종비(普賢寺靈巖大師石鍾碑)》비문을 짓고 썼다. 저서로 《노론주해(魯論註解)》 《의경변의(義經辨疑)》 《남곡집(南谷集)》 《사범삼십오편(士範三十五編)》 등이 있다.

   [ 권해의 필적 ]
------------------------------------------------------------------------------------------------------------------------------------------------------------------------------
■ 권혁(權爀) 1694∼1759 (숙종 20∼영조 35)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자장(子章). 시호는 정간(靖簡). 이조판서 상유(尙游)의 아들이다. 1719년 (숙종 45) 진사가 되어 세마로 재직 중 26년 (영조 2)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등용되었다. 27년 실록청낭관이 되어 《숙종실록》 편찬에 참여, 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서울을 버리고 피난하자는 주장에 적극 반대하여 저지시켰다. 부수찬이 되어 실각한 소론(少論)을 비호하는 소를 올렸다가 일시 삭직되었다. 44년 강원도관찰사가 되어 도내 영문소재 군기(軍器)를 수리하였다. 48년 평안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암행어사 김치인(金致仁)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다음 해 우의정 정우량의 천거로 대사헌에 등용되었으며, 52년 부제학을 거쳐 55년에 호조참판, 이듬해 우부빈객·함경도관찰사·지돈녕 등을 지내고, 58년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96년 청백리에 책록되었다.
------------------------------------------------------------------------------------------------------------------------------------------------------------------------------
■ 권협1553∼1618 (명종 8∼광해군 1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사성(思省), 호는 석당(石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상(常)의 아들이다. 1577년 (선조 10) 문과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춘추관(春秋館)에 등용되고, 92년 (선조 25) 임진왜란 때 장령(掌令)으로 서울의 사수(死守)를 주장했다. 97년 (선조 30) 정유재란 때 고급사(告急使)로 임명되어 명(明)나라에 들어가 병선과 군량을 도움받는 데 성공했다. 선조의 특명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이 되었고,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졌다. 1607년 예조판서에 이르렀고 광해군 때는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했다. 손자 대임(大任)은 선조의 딸 정선옹주(貞善翁主)를 아내로 맞아 길성군(吉城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정(忠貞).
------------------------------------------------------------------------------------------------------------------------------------------------------------------------------
■ 권협(權 )?∼?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여명(汝明), 호는 초루(草樓). 음보(蔭補)로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가 되었다. 아우 필이 당시 집권하고 있던 대북파의 음모로 유배가던 중 죽자, 벼슬에서 물러나 시문으로 세월을 보냈다. 1618년 (광해군 10) 대북파의 신하들이 주지육림(酒池肉林)에 빠지고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에 유폐시키는 등의 정치적 폐단에 대해 평민의 처지에서 비판을 가하였다. 시와 문장에 능통하여 이름이 높았으며, 저서로는 《초루집(草樓集)》이 있다.
------------------------------------------------------------------------------------------------------------------------------------------------------------------------------
■ 권호문(權好文) 1532∼1587 (중종 27∼선조 2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장중(章仲), 호는 송암(松巖). 규의 아들. 퇴계(退溪) 이황(李滉)에게 배우고, 30세 때 (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으나 연이어 부모를 여의자 3년 동안 여막(廬幕)을 지키고 벼슬을 단념했다. 청성산(靑城山) 밑에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영풍가월(詠風歌月)로 세상을 보냈으며, 만년에는 더욱 덕망이 높아져 따르는 문인들이 많았다.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내시교관(內侍敎官)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했다. 시가에도 문학사상 중요한 작품을 남겼으며, 죽은 뒤 안동 송암서원(松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작품으로 경기체가를 본뜬 《독락팔곡(獨樂八曲)》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 등이 있고, 저서로는 《송암집(松巖集)》이 있다.

[ 권호문의 필적 ]
------------------------------------------------------------------------------------------------------------------------------------------------------------------------------
■ 권호윤(權豪胤) 1623∼1684 (인조 1∼숙종 10) 조선 중기 학자.

자는 경준(景俊), 호는 동빈(東濱). 1640년 (인조 18) 권시에게 배우고, 42년 생원(生員)이 되어 59년 (효종 10) 경릉참봉(敬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같은 해 효종이 죽자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服喪) 문제가 생겼는데, 서인(西人)의 기년설(朞年說)을 반대하고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3년설을 주장하는 상소를 했다 하여 과거응시자격을 박탈당했다. 74년 숙종이 즉위하자 내시교관(內侍敎官)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 사후 영조 때 집의(執義)에 추증되었다. 천문·수학에도 정통했다. 저서로 《동빈만록(東濱漫錄)》이 있다.
------------------------------------------------------------------------------------------------------------------------------------------------------------------------------
■ 권홍(權弘) 1360∼1446 (고려 공민왕 9∼조선 세종 28) 고려 말 조선 초 문신.

초명(初名)은 간(幹), 자는 백도(伯道), 호는 쌍당(雙塘)·송설헌(松雪軒). 본관은 안동(安東).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균(鈞)의 아들. 1382년 (고려 우왕 8) 문과(文科)에 급제, 89년 (공양왕 1) 간관(諫官)으로서 정몽주(鄭夢周)의 당파로 몰려 유배되었다. 조선 정종 때 좌보궐(左補闕)·사헌부시사(司憲府侍史)·성균관악정(成均館樂正)을 지냈고, 딸이 태종의 빈(嬪)이 되자 영가군(永嘉君)에 봉해졌다. 1407년 (태종 7) 진헌사(進獻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왔으며, 10년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17년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18년 예조판서·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내고, 19년 (세종 1) 진하사(進賀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고, 23년(세종 5)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올랐는데 이듬해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났다. 문학에 뛰어나고 전(篆)·예(隸)의 서체(書體)에 능해서 헌릉(獻陵)·문묘(文廟)·기자사(箕子祠)의 비문(碑文)을 썼다. 시호는 문순(文順).
------------------------------------------------------------------------------------------------------------------------------------------------------------------------------
■ 권홍(權弘) 1467∼1516 (세조 13∼중종 11)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사의(士毅). 진사(進士)로 1497년 (연산군 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급제하였다. 1504년 집의(執義)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전주(全州)로 유배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와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이 되고 이듬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다시 장원, 전라도관찰사로 나가 미신타파에 노력했고,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를 지냈다. 문장에 뛰어났다.
------------------------------------------------------------------------------------------------------------------------------------------------------------------------------
■ 권화(權和) ?∼? 고려말 조선초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 희(僖)의 아들. 고려 우왕때 청주목사로 재직 중 고성(固城) 출신 이금(伊金)이 스스로 미륵불(彌勒佛)이라 하며 백성들을 현혹하여 재물을 빼앗으면서 청주에 이르렀을 때, 그 괴수 5명을 체포하여 중앙에 보고했다. 이에 의정부에서는 전국 각도에 통첩하여 그들 도당 모두를 체포, 사형했다. 1386년 (우왕 12) 전법판서(典法判書)에서 동북면안무사(東北面按撫使)가 되었으며 88년 밀직부사(密直副使)·전주목사(全州牧使)가 되어 원수를 겸하였고, 조선이 건국된 후 96년 (태조 5)에 삼사우복야(三司右僕射)가 되어 강원도에서 왜구를 방비하기도 하였다.
------------------------------------------------------------------------------------------------------------------------------------------------------------------------------
■ 권확(權 )1568∼1638 (선조 1∼인조 16)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사중(士重), 호는 석계(石溪). 결(潔)의 아들. 1611년(광해군 3)에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 벼슬에 등용되었다가, 검열(檢閱)에 천거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에 의해 자기 일당이 아니라 하여 기각당했다. 이위경(李偉卿) 등이 폐모론(廢母論)을 제기하자 사관(四館)에 건의하여 그들의 과거응시권을 박탈한 일로 삭직되었다. 후에 다시 승문원에 복귀되었으나, 이이첨의 아들 홍엽(弘燁)이 대리시험으로 과거에 급제했음을 폭로하여 다시 삭직되었다. 18년 폐모(廢母)의론 때 정청(庭請)에 불참하여 전적(典籍)으로 전직되고는 문란해지는 정치를 비판, 고향에 돌아갔다. 23년 인조반정으로 정언(正言)에 취임, 26년 길주목사(吉州牧使), 29년 승지(承旨), 이어 호조·형조의 참의(參議), 해주(海州)·여주(驪州)의 목사(牧使)를 지냈다.
------------------------------------------------------------------------------------------------------------------------------------------------------------------------------
■ 권환(權煥) ?∼? 조선 말기 민란주동자.

1891년 (고종 28)에 고성(高城)에서 승려 기월(機越)이 서울에서 내려온 박원일(朴源一) 및 군민(郡民) 장응조(張應祚) 등과 함께 평민을 학대하며 노략질을 일삼았다. 이에 격분하여 민란을 일으켜 그들을 땅에 묻어 죽이는 한편 가옥을 파괴하고 좌수(座首)를 끌어내어 욕보이는 등 큰 소란을 일으켰다. 강원도 관찰사 이원일(李源逸)에게 잡혀 다른 주동자 3명과 함께 효수(梟首)되었다.
------------------------------------------------------------------------------------------------------------------------------------------------------------------------------
■ 권환(權煥) 1903∼1954 시인·평론가.

본명은 권경완. 경상남도 창원(昌原) 출생.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 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29년 《학조(學潮)》 필화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으며, 같은 해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KAPF)에 가입, 30년 중앙집행위원으로 피선되었다. 그 무렵 김팔봉(金八峰) 등의 문학주의적 프로문학론을 비판하면서 카프의 제2차 방향을 주도하다가 1차·2차 카프 검거로 투옥되기도 하였다. 그의 작품 세계는 자본주의의 가치 체계를 부정하는 데서 출발하였고 프롤레타리아 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으나, 프로문인들의 대거 월북에는 편승하지 않았다. 30년 《조선지광》에 시 《가랴거든 가거라》를, 《중외일보》에 평론 《무산예술운동의 별고와 장래의 전개책》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시집으로는 《카프시인집》 《자화상》 《윤리》 등이 있으며, 이외에 평론 《시평과 시론》, 소설집 《농민소설집》, 희곡 《인쇄한 러브레터》 등이 있다.
------------------------------------------------------------------------------------------------------------------------------------------------------------------------------
■ 권황(權愰) 1543∼1641 (중종 38∼인조 19)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사영(思瑩), 호는 치암(恥庵).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상(常)의 아들. 1576년 (선조 9) 생원시(生員試)에 합격, 음보(蔭補)로 의금부도사(義禁莩事)가 되고, 호조·형조좌랑을 거쳐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 등의 내직과 4군(郡)의 수령을 지냈다. 그 뒤 광해군의 난정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다가 1623년 인조반정 때 81세로 용양위부호군이 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 權愰(치암)의 묘소 ]
------------------------------------------------------------------------------------------------------------------------------------------------------------------------------
■ 권흥익(權興益) 1608∼1655 (선조  41∼효종 6)

조선 중기 서예가. 자는 명래(明來), 호는 사물재(四勿齋). 본관은 안동(安東). 사예(司藝) 칭(稱)의 아들. 1633년 (인조 11) 진사(進士)가 되고, 39년 별시(別試)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 청주판관(淸州判官)에 이르렀으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다.
------------------------------------------------------------------------------------------------------------------------------------------------------------------------------
■ 권희(權僖) 1319∼1405 (고려 충숙왕 6∼조선 태종 5) 고려 말 조선 초 문신.

검교시중(檢校侍中) 고(皐)의 아들. 음보(蔭補)로 기용, 홍주도병마사(洪州道兵馬使) 등 여러 벼슬을 거쳐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러 영가군(永嘉君)에 책봉되었고, 조선이 개국된뒤 1393년 (태조 2)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다. 1400년 태종이 즉위하자 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에 올랐다. 그의 사후 왕은 3일 동안 조회를 하지 않았다 한다. 시호는 정간(靖簡).

[ 정간공 권희의 묘소 (격이도 고양군 원당읍 성사리) ]
------------------------------------------------------------------------------------------------------------------------------------------------------------------------------
■ 권희(權憘) 1547∼1624 (명종 2∼인조 2)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사열(思悅).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상(常)의 아들. 1568년 (선조 1) 진사(進士)에 오르고 84년 (선조 17) 문과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가 여러 벼슬을 역임한 뒤 92년 종묘서령(宗廟署令)이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평안도로 몽진할 때 역대 왕의 신주(神主)와 어보(御寶)를 모시고 행재소(行在所)에 도착했다. 96년 종부시정겸집의(宗簿寺正兼執義)로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온 후 호조·예조·형조의 참판(參判)을 지냈다. 1603년에 주청부사(奏請副使)로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와 황해도·충청도의 관찰사를 거쳐 강화유수(江華留守)·금산군수(錦山郡守)·광주목사(廣州牧使)를 지냈다. 임진왜란 때 왕실의 신주를 모신 공으로 24년 (인조 2)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다. 호성(扈聖)·선무(宣武)의 원종공신으로서 사후에 우의정(右議政)에 추증되었다.
------------------------------------------------------------------------------------------------------------------------------------------------------------------------------
■ 권희맹(權希孟) 1475∼1525 (성종 6∼중종 2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경순(景醇), 호는 수암(水庵). 어모장군(禦侮將軍) 상(詳)의 아들. 1498년 (연산군 4) 생원(生員)이 되고, 1507년 (중종 2)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했다.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에 등용된 뒤, 같은 해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에 봉해졌다. 정언(正言)·장령(掌令) 등을 거쳐 13년 나주목사(羅州牧使), 이어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지내고, 24년 강원도 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재임 중에 죽었다.
------------------------------------------------------------------------------------------------------------------------------------------------------------------------------
■ 권희인(權希仁) 1558∼1593 (명종 13∼선조 26) 조선 중기 의병장.

자는 사안(士安), 호는 삼암(參巖). 어려서부터 무예가 뛰어나 유성룡(柳成龍)의 총애를 받았으며 그의 권유로 무과(武科)에 응시해 급제했다.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 때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전공을 세워 절도사(節度使) 김면의 천거로 옥천군수(沃川郡守)가 되었다. 이듬해 웅천(熊川)에서 왜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무예뿐만 아니라 문장에도 능하였으며, 당상관(堂上官)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삼암유집(參巖遺集)》이 있다.
------------------------------------------------------------------------------------------------------------------------------------------------------------------------------
■ 권희학(權喜學) 1672∼1742 (현종 13∼영조 18) 조선 후기 문신.

자는 문중(文仲), 호는 감고당(感顧堂). 1697년 (숙종 23) 세자책봉주청사(世子冊封奏請使) 최석정(崔錫鼎)의 군관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와 교련관(敎鍊官)이 되고, 그 뒤 여러 고을의 첨사를 지냈다. 1728년 (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금위영교련관으로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을 따라 안성(安城)·죽산(竹山) 등지에서 전공을 세워 난을 평정, 분무공신(奮武功臣) 3등에 책록되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라 화원군(花原君)에 봉해졌다. 곤양군수(昆陽郡守)·운산군수(雲山郡守)·장연부사(長淵府使) 등을 지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 高麗太師權公幸神道碑(고려태사권공신도비) 청남 11-09-24 3903
27 高麗太師權幸墓(고려태사권행 묘) 비문 청남 11-09-24 3583
26 權幸(권행) 공 (고려개국공신) 생애와 묘 청남 11-09-24 3997
25 뿌리깊은 안동권씨 청남 07-03-22 6378
24 제10장 안동권씨의 항렬(行列) 관리자 05-01-06 13047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5
22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3
21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4
20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78
19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5
18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6
1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3
1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1
1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14
14 4)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듬 관리자 05-01-06 6415
13 3) 호당(湖堂)에 가장 먼저 입소하였음. 관리자 05-01-06 5160
12 2) 권문(權門)에서 처음으로 대제학(大提學)에 오름. 관리자 05-01-06 5517
11 1) 기로소(耆老所)에 처음 입소(入所)함. 관리자 05-01-06 5278
10 제4장 능동재사(陵洞齋舍) 관리자 05-01-06 5599
9 제3장. 능동(陵洞)의 묘역(墓域) 관리자 05-01-06 562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