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감 ~ 권길

관리자이메일
■ 권감(權 ) 1673(현종 14)∼1746(영조22).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덕장(德章). 아버지는 우참찬 "성" 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뒤 장릉참봉이 되었다. 1728년(영조 4) 전의현감으로 있을 때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났는데. 그를 시기하던 박필현이 반란에 가담하여 궁지에 빠뜨렸으나 이를 피해 전주로 내려가 이민 (吏民)을 규합, 반군토벌에 전력하였다. 그 해에 전주판관이 되고, 1737년 남원현령에 임명되었다. 남원은 본래 부(府)였으나 죄인이 많아 현으로 강등 되었는데.수령으로 부임한 뒤 엄하게 다스리는 한편, 읍민을 교화하여 다시  부로 환원되었고, 그는 부사가 되었다. 1738년 형벌을 과도히 하여 파직되었으나 다시 기용되어 1744년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
■ 권개(權愷) ?∼1468(세조 14). 조선 초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현(顯))이며,아버지는 "식"이다. 1447년 (세종 29)에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여러 번 승진하다가 병조좌랑에 임명되었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키던 날 대궐 안에 입직 해 있다가 달려가 협력한 공로로, 세조가 즉위한 뒤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정되었다. 이듬해 판종부시사 ·좌사간을 지내고, 1457년 (문종 3) 지병조사, 이듬해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다음해 복천군에 책봉되고 1463년 중추원부사가 되었다. 시호는 (문평(文平)이다.
----------------------------------------------------------------------------------------------------------------------------------------------------------------------------------
■ 권건(權健) 1458∼1501 (세조 4∼연산군 7)조선 중기 문신.

자는 숙강(叔强), 증조부는 근(近), 아버지는 우의정 남(擥)이며, 중종의 열 한 번째 아들인 전성군(全城君;邊)의 장인이다. 1427년(성종 3) 진사(進士)가 되고 76년 (성종 7) 별시문과 을과(乙科)로 급제하고,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이 되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이듬해 감찰(監察), 81년 (성종 12) 부제학(副提學), 84년 도승지, 86년 예조참판, 이듬해 대사현 한성부좌윤,  호조참판, 1500년 (연산군 6)에는 병조참판(兵曹參判)으로 성현(成俔) 등과 함께 역대명감(歷代明鑑)을 지었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문명이 높았으며 [동문선]에 시문 10여 편이 전한다. 저서로 《권충민공집(權忠敏公集)》이 있다. 시호는 충민(忠敏).

[ 충민곤 권건의 묘소 (경기도 이천군 신두면 도암리) ]
----------------------------------------------------------------------------------------------------------------------------------------------------------------------------------
■ 권격(權格) 1620∼1671 (광해군 12∼현종 12)조선 중기 문신.

자는 정숙(正叔), 호는 육유당(六有堂). 아버지는 선산부사 성원(聖源)이다. 1650년 (효종 1) 진사를 거쳐 이듬해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
이어 사간(司諫)·집의(執義)에 오르고,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있었다. 정언·지평 등을 지냈고 56년 사서가 되었다. 54년 병조정랑과 춘추관기주관 재임 중에 《효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60년 (현종 1)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淸)나라에 다녀오고, 65년 당쟁(黨爭)으로 정주(定州)에 유배되었다가 68년 집의로 재기용되었으나 다시 쫓겨나 충청도 및 황해도의 도사(都事)·고산도찰방(高山道察訪)·강릉부사(江陵府使) 등 주로 외직에 있었다. 당시 직간(直諫)을 잘하기로 소문난 민응형(閔應亨)으로부터 간신(諫臣)의 풍모를 지녔다는 평을 들었다.
----------------------------------------------------------------------------------------------------------------------------------------------------------------------------------
■ 권겸(權謙) ?∼1356 (?∼공민왕 5)고려 말기 문신.

아버지는 정승을 지낸 보(溥)이다. 충숙왕 초 사복부정(司僕副正)을 거쳐 1321년 우대언으로 전직 민부전서(民部典書)로서 왕을 따라 원(元)나라에 가서 5년 간 있다가 온 공으로 귀국 후 이등공신에 올랐다. 이어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승진하였다. 일찍이 합포만호를 지냈는데 충숙왕이 복위하자 만호가 되려고 여러번 청했으나 허락되지 않았음으로 원나라의 세력을 의지해서 李俊(이준)을 대신해서 순군만호가 되었다.
충목왕 때 판삼사사가 되었다. 공민왕 초 복안부원군(福安府院君)으로서 원나라에 들어가 딸을 황태자에게 바치고 원나라 태부감태감(太府監太監)을 지냈으나 후에 공민왕의 배원정책(排元政策)으로 죽음을 당했다.
----------------------------------------------------------------------------------------------------------------------------------------------------------------------------------
■ 권경(權擎) 1429∼1482 (세종 11∼성종 13) 조선 초기 문신.

자는 신지(愼之),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낸 제이다. 1448년 (세종 30) 문벌(門閥)로 중군사용(中軍司勇)이 되고, 53년 (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숙청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에 올라 세조를 보필하였다. 이듬해 형조정랑(刑曹正郞)을 거쳐 예빈시소윤·판사복시사를 역임했다.
61년 공조참의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이조참판·경상좌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냈으며 영가군(永嘉君)에 봉해졌다. 81년 자헌대부 행사직(行司直)에 이르렀다. 시호는 양정(襄靖).
----------------------------------------------------------------------------------------------------------------------------------------------------------------------------------
■ 권경명(權慶命) 1673∼1735 (현종 14∼영조 11) 조선 후기 학자.

자는 내길(來吉), 호는 강동(江東). 청빈한 선비로 한문연구와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영남학파(嶺南學派) 유학계(儒學界)의 일인자로 손 꼽혔다. 저서에 증조부 응생(應生), 조부 임(恁)과 함께 지은 《사고세고(社皐世稿)》가 있다.
----------------------------------------------------------------------------------------------------------------------------------------------------------------------------------
■ 권경우(權慶祐) 1547(명종2)∼(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신지(申之). 1585년 (선조 18)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헌남 장령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 남원에 적세를 잘못 상고하여 물러나서 의론(議論)을 기다렸다. 장령으로 복직된 후에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가 성격이 흉활하여 화심(禍心)을 품고, 이권을 좋아하여 사림에 죄를 얻고 버림받은 지 오래되었으며, 류성룡(柳成龍)이 화의를 주장하여 나라를 그릇되게한 죄를 범하였다고 탄핵하였다. 그리고 매관(賣官)납속(納栗)의 병폐를 정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장령으로서 시강원(侍講院)에 입직하였으나 병이 심하여 오래 있지 못하였다. 1616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로서 동지사가 되어 배를 타고 명나라로 가던 도중에 노환으로 죽었다.
----------------------------------------------------------------------------------------------------------------------------------------------------------------------------------
■ 권경우(權景祐) ?∼?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자수(子綏). 판관 질(臺)의 아들이고, 대사헌 경희(景禧)와 이조정랑 경유(景裕)의 형이다. 1470년 (성종 1)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으며, 뒤에 봉교(奉敎)에 승진하여 사관 선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듬해에는 천추사(千秋使)의 검찰관으로 중국에 다녀오면서 통사(通事) 조종손(趙宗孫) 등의 밀무역을 검찰한 공로로 4계급 승진하여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이어서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으로 옮겨, 제주 경차관(濟州敬差官)으로서 제주도민의 궁핍현상을 지적하고 그 대책의 강구를 요청하였다. 이듬해 다시 사간원정언이 되어 임사홍(任士洪)이 국정을 농락함과 간사함을 규탄했다. 국왕의 수렵에 승지와 사관의 대동을 금하자 그 불가함을 주장하고 국왕의 거동에 대하여는 사소한 것이라도 기술하게 하였다. 82년 홍문관부교리로 있을 때 왕비 윤씨를 폐비시킨 처사를 잘못이라고 간언 하다가 파직되었다. 86년에 복직되었고 이어 사간으로서 평안도병마절도사 이조양(李朝陽)의 군비소홀과 군공사칭을 탄핵하여 면직시켰다.
그 뒤 형조참의·동부승지·우승지·도승지를 역임했고, 98년 (연산군 4)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에 올라 사찰 건립의 불가함을 논하고 정숭조(鄭崇祖)·이창신(李昌臣) 등의 탐폭을 규탄하였다. 그 해 무오사화(戊午史禍)가 일어나 동생이 주모자로 처형되었고, 그도 연루되어 강릉부 관노(江陵府官奴)로 배속되었다. 성품이 강직하여 권신에게 아부하지 않았고 직무를 공정히 수행하였다.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적몰가산이 환급되고 죄명도 신원(伸寃)되었다.
----------------------------------------------------------------------------------------------------------------------------------------------------------------------------------
■ 권경유(權景裕) ?∼1498 (?∼연산군 4)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군요(君饒)·자범(子汎), 호는 치헌(痴軒). 1485년 (성종 1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90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연산군 때에 교리(校理)·제천현감(堤川縣監) 등을 지냈고, 사관(史官)으로 있을 때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사실을 98년 (연산군 4) 유자광(柳子光)·이극돈(李克墩)이 연산군에게 알림으로써 무오사화(戊午史禍)가 일어나 국문을 당한 끝에 아들 연(沇)·김일손(金馹孫)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 후 도승지 (都承旨)에 추증 되었다. 남효온(南孝溫)·김일손·강경서(姜景敍) 등과 함께 사장(詞章)·정사(政事)·절의(節義)·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높았다.
----------------------------------------------------------------------------------------------------------------------------------------------------------------------------------
■ 권경환(權景煥) 1929∼ 수학자. 서울 출생.

1952년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유학, 58년 미국 미시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위스콘신대학, 프린스턴 고등연구원, 65년부터 미시간주립대학 교수를 지내다가 90년 귀국하여 포항공과대학 교수로 부임하였다. 현실과 가장 동떨어져 있다는 <위상(位相)수학>을 전공한 그는 세계적 수학전문지 《AMS》에 논문을 발표했다.
----------------------------------------------------------------------------------------------------------------------------------------------------------------------------------
■ 권경중(權敬中) 생몰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문과에 급제. 박사가 되었다. 일찍이 신선의 벽곡술(酸穀術:곡식을 먹지 않고 솔잎·대추·밤 등을 조금씩 먹고사는 일)을 배웠으므로 이규보(李奎報)가 시를 지어 나무랐다. 고종 때  [상서예부시랑지제고]가 되고, [명종실록]을 편찬할 때 연도를 분담, 집필하였다.
----------------------------------------------------------------------------------------------------------------------------------------------------------------------------------
■ 권경희(權景禧) 1451∼1497 (문종 1∼연산군 3)조선 중기 문신.

자는 자성(子盛). 1468년(세조 14) 진사(進士)가 되고 78년(성종 9)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장원, 부수찬(副修撰)·공조좌랑(工曹佐郎)·황해도관찰사·호조정랑(戶曹正郎)·장령(掌令) 등을 역임하고 대사헌에 올랐다.
94년(성종 25)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거쳐 95년(연산군 1) 정조부사(正朝副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와서 예조참판이 되었다.
----------------------------------------------------------------------------------------------------------------------------------------------------------------------------------
■ 권고(權皐) 1294(충렬왕 20)∼1379(우왕 5) 고려의 문신.

호는 성재(誠齋). 할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한 단( )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 "보"이다.
친음에는 문화군(文化君)에 봉해졌다가, 1355년 (공민왕 4) 영가군(永嘉君)으로 개봉되었다. 관직은 검교시중(檢校侍中)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
■ 권공(權恭) ?∼1462 (?∼세조 8) 조선 초기의 무신.

자는 경부(敬夫). 1432년 (세종 1) 태종의 딸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부마(駙馬)가 되었다.
35년 (세종 17) 사은사(謝恩使)로 명(明)나라에 갔을 때 선종(宣宗)에게서 관대(冠帶)·의복·백은(白銀)·채단(綵緞) 등을 받았다. 성품이 근검하고 활달하였으며, 무예에 능하여 세조의 신임을 받았다. 뒤에 경상좌도절제사(慶尙左道節制使)로 화천위(花川尉)가 되었으며, 55년 (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배(責拜)되면서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양효(襄孝).

[ 권공제반문 ]
----------------------------------------------------------------------------------------------------------------------------------------------------------------------------------
■ 권굉(權宏) 1575∼1652 (선조 8∼효종 3)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인보(仁甫), 호는 진봉(震峰). 1603년 (선조 3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27년 (인조 5) 학행(學行)으로 추천 받아 상의원별좌(尙衣院別坐)가 되었다. 그 해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왕실을 호종(扈從)하여, 소무(昭武)와 영사(寧社)의 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綠勳)되고 별제(別提)에 승진하였으나 병 때문에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갔다. 30년 (인조 8) 동궁의 부솔(副率)이 되고 33년 (인조 11) 영릉참봉(英陵參奉)이 되었으나 곧 사임했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淸)나라와 강화(講和)한 뒤 벼슬을 버리고 학문에 전념했다. 저서에는 《진봉집(震峰集)》이 있다.

        [ 권굉의 와룡암. ]
----------------------------------------------------------------------------------------------------------------------------------------------------------------------------------
■ 권구(權絿) 1658∼1731 (효종 9∼영조 7) 조선 중기 학자.

자는 여유(汝柔). 절충장군(折衝將軍) 임도(任度)의 아들로 숙부 임정(任正)에게 입양, 조지겸(趙持謙)에게 학문을 배우고 후에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성리학(性理學)을 연구,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다. 학행(學行)으로 천거 받아 감역(監役)이 되었으나 사퇴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저서에는 《오복편람(五服便覽)》이 있다.
----------------------------------------------------------------------------------------------------------------------------------------------------------------------------------
■ 권구(權 )1672∼1749 (현종 13∼영조 25)조선 후기 학자.

자는 방숙(方叔), 호는 병곡(屛谷). 본관은 안동(安東). 이현일(李玄逸)의 문인(門人)으로 일찍이 과거를 단념하고 유학의 전통을 지키면서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향리인 안동 족적동(足積洞)에서 사창(社倉)을 열어 흉년에 빈민들을 구제하였으며, 향약(鄕約)을 실시하여 고을의 미풍양속을 일으켰다. 1728년 (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으로 영남에 파견된 안무사(按撫使) 박사수(朴師洙)에 의해 적당(敵黨)에 가담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되어 서울로 압송되었으나, 그의 인품에 감동을 받은 영조의 특지(特旨)로 석방되었다. 천문·역수(曆數)·역학(易學)·사기(史記) 등에 조예가 깊어서 《경의취정록(經義就正錄)》 《독역쇄의》 《기형주해(璣衡註解)》 《여사휘찬의의(麗史彙纂疑義)》 등을 남겼으며, 그 밖에 옛날의 명훈(名訓)을 한글로 번역한 《내정편(內政篇)》과 《병곡집(屛谷集)》 등이 있다.
----------------------------------------------------------------------------------------------------------------------------------------------------------------------------------
■ 권구현(權九玄) 1902∼1937 시인.

무정부주의 경향의 시인으로, 초기에는 《시조 6장(時調六章, 1926)》 《폭풍우의 마음(1927)》 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프롤레타리아문학이 목적의식을 내세워 도식주의(圖式主義)·기계주의 경향으로 기울자 김화산(金華山)·강허봉(姜虛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아나키스트문학에 이경삼(李卿三)과 함께 가담, 프롤레타리아문학파와 논쟁을 벌였다. 시집으로 《흑방(黑房)의 선물(1927)》 《벗에게 부치는 편지(1929)》 《자중(自重, 1929)》 등이 있다.
----------------------------------------------------------------------------------------------------------------------------------------------------------------------------------
■ 권규(權 )1393∼1421 (태조 2∼세종 3) 조선 초기 문신.

1404년 (태종 4) 태종의 3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지고 1407년 호분사상호군(虎賁司上護軍)을 거쳐 이듬해 겸우군도총제(兼右軍都摠制)가 되었다. 13년 (태종 13) 명(明)나라 성조(成祖)의 동정을 탐문하기 위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여칭(呂稱)과 함께 명나라에 가서, 성조로부터 구마(廐馬)·견단(絹段)을 하사받고 왔다. 16년 길창군(吉昌君)으로 개봉(改封)되고, 18년 (태종 18)에 의용위절제사(義勇衛節制使)가 되었다. 시호는 제간(齊簡).

[ 권규의 묘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덕평리) ]
----------------------------------------------------------------------------------------------------------------------------------------------------------------------------------
■ 권규(權珪) 1648(인조 26)∼1723(경종3)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국서(國瑞) ·덕장(德章),호는 남록(南麓). 아버지는 영의정 대운(大運)이며, 어머니는 우정(禹鼎)의 딸이다. 1675년 (숙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검열이 되었다. 사헌부·사간원의 관직과 이조낭관 등의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689년 도당록(都堂錄)에 오르고 수찬이 되었다. 1690년 경기도관 찰사, 이듬해 도승지. 다음해에 대사간을 거쳐 1693년 대사헌까지 승진하였다. 아버지 대운과 함께 남인의 처지를 고수하여 1694년 갑술환국 때는 당쟁으로 유배되었다가 1697년 풀려났다.
그뒤 노·소론의 대립에서는 소론의 처지를 도와. 1721년 (경종 1) 세제(世弟) 연잉군(延 君)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1722년 신임옥사로 소론이 집권하자 공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소론 조태억 (趙泰億) 등의 주창에 의해 공조판서에 추증되었으나, 영조 즉위후 직첩을 빼앗겼다. 전서(篆書)에 뛰어났다.
----------------------------------------------------------------------------------------------------------------------------------------------------------------------------------
■ 권균(權鈞) 1464∼1526 (세조 10∼중종 21) 조선 초기 문신.

자는 정경(正卿), 호는 유연당(悠然堂). 생원·진사시에 합격하고 1491년 (성종 22)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여 사관(史官)으로 출발, 95년 (연산군 1) 충익부도사(忠翊莩事)로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이 되어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1505년 (연산군 11) 도승지(都承旨)로서 응방제조(鷹坊提調)를 겸하고 다음해 공조판서가 되었다. 1506년 (중종 1년)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으로 영창군(永昌君)에 봉해졌고, 1507년 좌참찬(左參贊)을 거쳐 형조판서·좌찬성(左贊成)·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다. 18년 (중종 13) 사은사(謝恩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왔으며, 사림파(士林派)가 주동한 정국공신의 위훈삭제로 공신호가 삭제되었다.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다시 관직에 기용되어 좌찬성·이조판서·영경연사(領經筵事)·우의정을 지내고 영창부원군(永昌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성(忠成).

[ 충성공 권균의 묘 (경기도 이천군 모가면 산내리) ]
----------------------------------------------------------------------------------------------------------------------------------------------------------------------------------
■ 權克禮 1531∼1590 (중종 26∼선조 23)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경중(敬仲). 1558년 (명종 1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예문관(藝文館)을 거쳐 전적(典籍)을 지내고, 정언(正言)에 올라 당시의 권신들을 탄핵하여 직언(直言)으로써 명성을 얻었다. 70년 (선조 3) 부수찬에 임명되었으며, 그 뒤 원주목사(原州牧使)·길주목사(吉州牧使)·판결사(判決事)·우승지(右承旨)를 지내고, 81년 (선조 14) 호조참판(戶曹參判)으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89년 (선조 22) 예조판서로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謀反)사건을 적발했으며, 90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
■ 권극중(權克中) 1560∼1614 (명종 15∼광해군 6) 조선 중기 학자.

자는 택보(擇甫)·정지(正之), 호는 청하(靑霞)·화산(花山). 1588년 (선조 2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대과(大科)를 보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했다.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다가 내시교관(內侍敎官)이 되었는데, 스승 성혼(成渾)이 대간(臺諫)에 의해 탄핵 받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경전(經典)에 파묻혀 지냈다. 광해군 초에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가 되었다가 사퇴했다. 고부(古阜)의 서산사(書山祠)에 제향되었다. 시로 명성이 높았다. 저서에 《청하집》이 있다.

             [ 權克中의 묘 ]
----------------------------------------------------------------------------------------------------------------------------------------------------------------------------------
■ 권극지(權克智) 1538∼1592 (중종 33∼선조 25) 조선 중기 문신.

자는 택중(擇仲), 1558년 (명종 13)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67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괴원(槐院)에 선출되어 사국(史局)에 들어갔다. 검열(檢閱)을 거쳐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89년 (선조 22)에 대사헌으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왔으며, 90년에 예조판서가 되었다. 92년 임진왜란 때 비변사유사당상(備邊司有司堂上)으로 국사에 몰두하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으나, 국세가 날로 위급함을 보고 울분하여 단식하던 끝에 죽었다. 시호는 충숙(忠肅).

             [ 權克智의묘 ]
----------------------------------------------------------------------------------------------------------------------------------------------------------------------------------
■ 권극화(權克和) ?∼? 조선 초기 문신.

자는 용부(庸夫), 호는 습재(習齋). 1411년 (태종 11) 소과(小科)를 거쳐 14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 직강(直講)·예조참판(禮曹參判)을 역임했다. 세종 때 평안도관찰사로서 기민(饑民)의 구제를 게을리하였다는 이유로 한때 유배되었다. 51년 (문종 1)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있을 때, 목(牧)을 폐지하려는 관제개혁을 반대하여 중지시켰고,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를 거쳐 53년 (단종 1) 행첨지중추원사(行僉知中樞院事)가 되었다. 문장으로 이름이 높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시문이 수록되어 있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追贈)되고,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다.
----------------------------------------------------------------------------------------------------------------------------------------------------------------------------------
■ 권근(權近) 1352∼1409 (고려 공민왕 1∼조선 태종 9) 고려말 조선초 학자·문신.

陽村(양촌) 권근의 필적.초명은 진(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 시호는 문충(文忠). 1368년 (고려 공민왕 17)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하고 69년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검열(春秋館檢閱)이 되고, 우왕 때 예문관응교(藝文館應敎)·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75년 (우왕 1)에는 정도전(鄭道傳)·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친명정책(親明政策)을 주장하였으며, 공양왕이 즉위하자 창왕의 외조부 이림(李琳) 일파로 몰려 극형을 받게 되었으나 이성계(李成桂)의 도움으로 모면하였다. 90년 (공양왕 2) 윤이·이초(李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는데, 이때 《입학도설(入學圖說)》을 저술했다. 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자 예문춘추관학사(藝文春秋館學士)·대사성(大司成)·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냈고, 1396년 표전문제(表箋問題)가 발생하자 정도전을 대신하여 명나라에 가 해명을 잘하여 명나라 황제의 예우를 받고 돌아왔다. 이 일로 정도전 일파의 미움을 샀으나, 제1차 왕자의 난으로 그들이 숙청되고, 1401년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대사성(大司成)·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이사(貳師) 등을 지냈으며, 왕명으로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찬했다. 이색(李穡)의 문하에서 당대의 석학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힘을 기울였는데, 성리학자이면서도 사장(詞章)을 중시하여 경학과 문학을 아울러 연마하였다. 작품으로는 경기체가인 《상대별곡(霜臺別曲)》이 있고 이 밖에 《양촌집(陽村集)》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 등이 있다.

[陽村(양촌) 권근의 필적. ]
----------------------------------------------------------------------------------------------------------------------------------------------------------------------------------
■ 권기(權紀) 1546∼1624 (명종 1∼인조 2) 조선 중기의 학자.

자는 사립(士立), 호는 용만(龍巒). 김성일(金誠一)·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유성룡의 부탁을 받아, 안동의 읍지(邑誌) 《영가지(永嘉誌, 8권)》를 저작했다. 학문에 힘을 쏟아 육경(六經)에 능통했을 뿐만 아니라, 예문(禮文)·법률·지리 등에도 조예가 깊었다. 저서에 《용만선생문집(龍巒先生文集, 2권)》이 있다.
----------------------------------------------------------------------------------------------------------------------------------------------------------------------------------
■ 권기옥(權基玉) 1901∼ 비행사.

평양(平壤) 출생. 3·1운동에 참여해 옥고를 치렀고 중국으로 망명해 25년 운남항공학교를 1회로 졸업했다. 한국 최초의 여류비행사로 그 후 중국 국민군 공군으로 들어가 중·일전쟁 등 각종 전투에 참가하였고 30년에는 중령으로 진급했다.
한국전쟁 중에도 미군기로 비행하였다. 남편은 독립운동가 이상정(李相定)이다.
----------------------------------------------------------------------------------------------------------------------------------------------------------------------------------
■ 권길(權吉) 1550∼1592 (명종 5∼선조 25)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응선(應善). 음보(蔭補)로 관직에 나가 상주판관(尙州判官)을 지냈으며,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래부(東萊府)를 적에게 빼앗기고 도망온 순변사(巡邊使) 이일(李鎰)의 군사와 합세하여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뒤에 상주 충렬사(忠烈祠)에 배향(配享)되었다.

[ 권길에게 내린 교지 ]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9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8
8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6
7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5
6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82
5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8
4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8
3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6
2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5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