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이메일
■ 권낙종(權洛鍾) ?∼? 조선 말기의 의병장.

경기도 양평(楊平) 출생. 일찍이 병조좌랑(兵曹佐郎)·전주판관(全州判官)을 지냈고,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이를 반대, 경현수(慶賢洙)·이교영(李僑永) 등과 함께 철원군(鐵源郡) 보개산(寶蓋山)을 근거로 의병을 일으켰다. 포수(砲手) 수백 명을 모아 훈련을 시키던 중 일본군의 습격을 받고 체포되어 서대문(西大門) 감옥에서 7개월 동안 복역했다. 출옥 후 고문에 의한 병독(病毒)으로 죽었다.
----------------------------------------------------------------------------------------------------------------------------------------------------------------------------------
■ 권남(權擥) 1416∼1465 (태종 16∼세조 11)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였으며, 한명회와 책을 읽고 글을 지으며 깊은 교우관계를 가졌다. 1450년(문종 즉위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 감찰(監察)을 거쳐 이듬해 교리(校理)로서, 《역대병요(歷代兵要)》를 함께 편찬하던 수양대군(首陽大君;세조)과 가까워졌다. 단종 즉위 후 한명회의 원모(遠謀)의 뜻을 같이 하고 수양대군에게 접근, 그의 참모가 된 뒤, 양정(楊汀)·홍달손(洪達孫) 등 무장(武將)을 포섭했다. 53년 (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으로 우부승지(右副承旨)에 특진, 55년 세조 즉위와 함께 이조참판(吏曹參判)에 발탁되었다. 이어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으로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이 되고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졌다. 58년 (세조 4) 수찬관(修撰官)으로 신숙주(申叔舟) 등과 《국조보감(國朝寶鑑)》을 편찬하고, 그 해 12월 의정부우찬성(議政府右贊成)이 되었다. 59년 좌찬성·우의정을 거쳐 62년 (세조 8) 좌의정에 오르고, 이듬에 관직에서 물러나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 63년 9월 《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의 감수책임을 맡았다. 시문집으로 《소한당집(所閑堂集)》이 있고, 할아버지가 지은 응제시에 주석을 붙인 《응제시주(應製詩註)》는 그의 역사의식을 반영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조 때 《동국통감》의 편찬방향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세조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익평(翼平).
----------------------------------------------------------------------------------------------------------------------------------------------------------------------------------
■ 권달수(權達手) 1469∼1504 (예종 1∼연산군 10)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통지(通之), 호는 동계(桐溪). 1492년 (성종 23)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검열(檢閱)이 되고, 95년 (연산군 1)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대교(待敎)로서 검열 강징과 함께, 왕명이 내릴 때에는 승지와 사관(史官)이 반드시 참석하도록 건의했으며, 정언(正言)·이조랑(吏曹郎)을 역임하고 사신으로 베이징〔北京〕에 다녀와 교리(校理)가 되었다. 1504년 (연산군 10) 연산군이 모후(母后) 폐비윤씨(尹氏)를 추숭(追崇)하려 하자, 이행(李荇) 등과 함께 반대하다가 용궁(龍宮)에 유배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국문(鞠問)을 받던 중 옥에서 죽었다. 중종 때 도승지(都承旨)에 추증(追贈)되고, 1693년 (숙종 19) 함창(咸昌)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
----------------------------------------------------------------------------------------------------------------------------------------------------------------------------------
■ 권담(權湛) ?∼1423 (?∼세종 5)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호는 괴정(槐亭). 고려말 문과에 급제, 1389년 (고려 공양왕 1) 남원부사(南原府使)가 되었다. 이듬해 간관(諫官)을 거쳐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를 지냈으나 윤이와 이초(李初)의 옥(獄)에 연루, 강릉(江陵)에 유배되었다가 곧 사면되었다. 조선 개국 뒤 우사간(右司諫). 공주목사(公州牧使)를 거쳐 1419년 (세종 1) 황해도관찰사, 23년 전주부윤(全州府尹) 등 외직을 두루 역임했다. 저서로는 《괴정집(槐亭集)》이 있다.
----------------------------------------------------------------------------------------------------------------------------------------------------------------------------------
■ 권대운(權大運) 1612∼1699 (광해군 4∼숙종 25)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시회(時會), 호는 석담(石潭). 1642년(인조 20) 진사(進士)가 되고, 49년 (인조 27)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정언(正言)·사인(舍人)·헌납(獻納)·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거쳐 70년 (현종 11)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듬해 동지사(冬至使)로 청(淸)나라에 다녀오고, 74년 숙종이 즉위하자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병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역임했다. 80년 (숙종 6)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南人)이 실각하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밀려났다가 파직당하고, 영일(迎日)에 부처(付處)된 뒤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89년 (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다시 등용되어 영의정에 올랐다. 이 때 유배 중이던 서인(西人)의 영수(領首) 송시열(宋時烈)을 사사(賜死)하게 하는 등, 서인에 대해 탄압을 계속했으며, 궤장을 하사받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94년 (숙종 20) 숙종의 폐비인 민씨의 복위운동을 일으킨 소론을 제거하려다가, 폐비사건을 후회하고 있던 숙종의 미움을 받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삭출(削黜)당하고 이듬해 고령이라 하여 풀려나와 고향으로 돌아가서 죽었다.
----------------------------------------------------------------------------------------------------------------------------------------------------------------------------------
■ 권대임(權大任) 1595∼1645 (선조 28∼인조 23) 조선시대의 서예가.

자는 홍보(弘輔). 선조 때 정선옹주(貞善翁主)와 결혼하여 길성위(吉城尉)에 봉해졌고, 1636년 (인조 14) 길성군(吉城君)에 봉해졌다. 필법이 뛰어나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 權大任(길성군)의 묘 ]
----------------------------------------------------------------------------------------------------------------------------------------------------------------------------------
■ 권대재(權大載) 1620∼1689 (광해군 12∼숙종 15) 조선시대의 학자.

자는 중거(仲車), 호는 소천(蘇川)·돈간재(敦艮齋)·용문(龍門).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가 당후가관(堂後假官)을 지냈고, 1658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해 전적(典籍)·병조좌랑(兵曹佐郎)·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대구판관(大丘判官) 등을 역임했다. 60년 (현종 1) 전라도도사로 있을 때 과거사관으로서 물의를 일으켜 파직되었고, 66년 공산판관(公山判官) 때에는 소송자를 함부로 죽였다 하여 파직되었다. 숙종 즉위 초에 형조참의(刑曹參議)가 되고 이어 승지(承旨)를 거쳐 경상도순무사(慶尙道巡撫使)·전라도관찰사·대사간(大司諫)·대사헌(大司憲)을 지냈고, 79년 (숙종 5) 송시열(宋時烈)을 처벌하게 하려다가 광주(光州)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영변(寧邊)에 옮겨졌다가 풀려나 87년 (숙종 13)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다시 등용, 벼슬이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이르렀다. 격화된 당쟁의 와중에서 남인(南人)으로 처신했기 때문에 정권이 바뀔 때마다 관직생활이 평탄하지 못했다. 그림에 재능이 뛰어났으며, 저서에 《중용변의(中庸辨疑)》 《사림평요(史林評要)》 《용문록(龍門錄)》 등이 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 권대재 필적 ]
----------------------------------------------------------------------------------------------------------------------------------------------------------------------------------
■ 권덕규(權悳奎) 1890∼1950 국어학자·사학자.

호는 애류(崖溜). 경기도 김포(金浦) 출생. 1913년 휘문의숙(徽文義塾)을 졸업하고, 휘문·중앙(中央)·중동(中東)학교에서 국어 및 국사를 가르쳤다. 주시경(周時經)의 후계자 중 한 사람으로서 21년 12월 3일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1931.1.10.조선어학회로 개명, 현 한글학회) 창립에 참여했다. 그 뒤 이 학회에서 《조선어큰사전》 편찬에 종사하고, 한글맞춤법통일안 원안(原案)을 작성했다. 한글순회강습 등에 종사했으며 《한글》지에 <정음(正音) 이전의 조선글>을 게재한 것을 비롯하여 각 신문·잡지에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조선어문경위(朝鮮語文經緯)》 《조선유기(朝鮮留記)》 《을지문덕(乙支文德)》 등이 있다.
----------------------------------------------------------------------------------------------------------------------------------------------------------------------------------
■ 권덕린(權德麟) 1529∼1573 (중종 24∼선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군서(君瑞), 호는 귀봉(龜峰). 이언적(李彦迪)의 문인이며 1553년 (명종 8)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병조좌랑(兵曹佐郎)·예조좌랑(禮曹佐郎)을 역임했다. 1547년 (명종 2)에는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강계(江界)로 유배된 이언적이 그곳에서 죽자 위험을 무릅쓰고 옥산서원(玉山書院)을 세워 그를 제향(祭享)했다. 뒤에 합천군수(陜川郡守)를 지냈다. 죽은 뒤 경주(慶州)의 운천서원(雲泉書院)에 제향되었다.

                          [ 권덕린의 묘 ]

----------------------------------------------------------------------------------------------------------------------------------------------------------------------------------
■ 권돈(權惇) ?∼1639 (?∼인조 17) 조선시대의 무신.

자는 이원(而原). 본관은 안동(安東). 1603년 (선조 36)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12년 (광해군 4) 경주통판(慶州通判)을 지냈다. 이듬해 강화(江華)에 유폐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독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말에서 떨어져 다쳤다는 핑계로 거절했다 밀양부사(密陽府使)로 있을 때 매관매직이 성행하는 등 정계가 문란함을 개탄, 사임하였으나 관찰사(觀察使)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
■ 권돈인(權敦仁) 1783∼1859 (정조 7∼철종 10) 조선 말기의 문신·서화가.

자는 경희(景羲), 호는 이재·우랑·우염(又髥)·과지초당노인(瓜地草堂老人), 시호는 문헌(文獻). 병조판서(兵曹判書)·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1842년 (헌종 8)에는 우의정에, 45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51년 (철종 2) 철종의 조상 경의군(敬義君)의 위패를 종묘의 본전에서 영녕전(永寧殿)으로 옮길 때 헌종을 먼저 묘사(廟社)에 모실 것을 주장했다가 파직되어 8년간 유배되었고 마지막 귀양지인 연산(連山)에서 죽었다. 후에 신원(伸寃)되었다. 조선시대 제1의 명필 추사(秋史) 김정회(金正喜)는 그의 예서체(隸書體) 비문(碑文)에 관해 <동국(東國)에는 전혀 없었던 신합(神合)의 경지>라고 칭찬했다. 《완당집(阮堂集)》에도 그의 글씨는 자하(紫霞) 신위(申緯)의 것보다 힘이 있다는 평이 있다. 그림으로는 《세한도(歲寒圖)》가 있으며 이는 김정희의 《세한도》와 비교될 만큼 높은 경지를 보이는 작품이다.

[ 권돈인의 필적 ]
----------------------------------------------------------------------------------------------------------------------------------------------------------------------------------
■ 권동수(權東壽) 1842∼? (헌종 8∼?) 조선시대의 문신·서예가.

자는 치영(致永), 호는 석운(石雲). 갑신정변(甲申政變) 이후 김용원(金鏞元) 등과 함께 러시아 황제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고종의 친서를 가지고 블라디보스토크에 밀파되었다. 총포구입을 위해 러시아에 가는 길이라 하여 경흥(慶興) 관문을 무사히 통과, 러시아와 비밀 접촉을 가졌다고 한다. 1892년 (고종 29) 일본으로 건너가 94년 (고종 31) 이일직(李逸稙)과 함께 김옥균(金玉均)·박영효(朴泳孝)를 암살하려다 사전에 발각되어, 일본주재 조선공사관에 피신하여 보호를 받았다. 귀국 후 98년 (고종 35)에는 보부상을 동원하여 만민공동회를 탄압했고, 1900년 (고종 37)에 블라디보스토크 통상사무관으로 임명되었다. 글씨를 잘 썼으며, 그 중에서도 행서(行書)·전서(篆書)에 뛰어났다.

[ 권동수의 필적 ]

----------------------------------------------------------------------------------------------------------------------------------------------------------------------------------
■ 권동진(權東鎭) 1861∼1947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

호는 애당(愛堂)·우당(憂堂), 천도교 도호(道號)는 실암(實菴). 19살에 조선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였고, 5년 뒤 함안군수(咸安郡守)를 1년간 지냈다. 그 뒤 거문도첨사(巨文島僉使)로 있을 때 명성황후시해사건에 연루되어 일본에 11년간 망명해 있었다. 귀국하여 대한협회에서 민중계몽운동을 했고 손병희(孫秉熙)의 영향으로 천도교에 입교했다. 천도교측의 오세창(吳世昌)·최린(崔麟) 등과 함께 독립운동의 대중화·일원화·비폭력화를 결정한 뒤, 3월 1일 태화관(泰華館)의 독립선언식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했다. 이로 인해 1920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을 복역하고, 출옥 뒤 천도교에서 발간하던 잡지 《개벽》의 펀집인으로 활동하는 한편, 신간회(新幹會)의 부회장으로서 항일민족운동을 전개했다. 급진민족주의와 공산주의가 연합된 국민당을 조직하여 민족운동을 전개하려다 사전 검거로 실패했다. 29년 광주학생운동을 주도하면서 시위운동과 대연설회를 개최하여 일본의 만행을 폭로하려다가 사전에 탄로되어 1년형을 선고받았다. 광복 뒤 신한민족당(新韓民族黨) 당수와 민주의원 등을 역임하였고, 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追敍)되었다.
----------------------------------------------------------------------------------------------------------------------------------------------------------------------------------
■ 권두경(權斗經) 1654∼1726 (효종 5∼영조 2) 조선시대의 학자.

자는 천장(天章), 호는 창설재(蒼雪齋). 1679년 (숙종 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94년 (숙종 20)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형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700년 (숙종 26) 영산현감(靈山縣監)으로 부임하여 풍속을 크게 교화시켰다. 10년 (숙종 36)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전라도도사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23년 (경종 3)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이 되고 뒤에 수찬(修撰)이 되어 시폐(時弊)를 논하는 상소를 올렸다. 문장에 뛰어났는데, 특히 시(詩)에 능하였으며 산천의 형세와 세대의 변혁, 인물의 출처(出處), 정치의 득실(得失) 등에도 예리한 안목이 있었다. 저서에 《창설집(蒼雪集)》이 있고, 편저에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이 있다.

----------------------------------------------------------------------------------------------------------------------------------------------------------------------------------
■ 권두기(權斗紀) 1647∼1684 (인조 25∼숙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여원(汝元). 1669년 (현종 10) 진사가 되고 같은 해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했다. 73년 (현종 14) 승문원(承文院)의 정언(正言)·지평(持平)을 거쳐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하고 외직으로 서원현감이 되었다. 83년 (숙종 9) 영부사(領府事) 송시열(宋時烈)이 태조의 존호에 정륜소의(正倫昭義)를 가상(加上)함으로써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현창(顯彰)하자는 상소를 올린 것에 반대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했다.
----------------------------------------------------------------------------------------------------------------------------------------------------------------------------------
■ 권두기(權斗紀) 1659∼1722 (효종 10∼경종 2)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숙장(叔章), 호는 청사(晴沙). 1687년 (숙종 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96년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承文院)에 들어갔다. 전적(典籍)·예랑(禮郞)을 역임하고 뒤에 해운판관(海運判官)이 되었다. 1707년 (숙종 33) 상소하여 시사(時事)를 논란하다가 해남(海南)에 유배되었다. 11년 유배에서 풀려나 정언(正言)에 이르렀다.
----------------------------------------------------------------------------------------------------------------------------------------------------------------------------------
■ 권두문(權斗文) 1543∼1617 (중종 38∼광해군 9)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1572년 (선조 5) 친시문과(親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교서관(校書館)에 임명된 뒤 검열(檢閱)·형조정랑(刑曹正郎) 등을 지냈다. 92년 (선조 25) 평창군수(平昌郡守)가 되었으나 이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군에게 잡혀, 적중에 있으면서 적의 정세를 탐지해 관군에게 알렸는데 당시의 일을 기록한 것이 《호구일록(虎口日錄)》이다. 탈출하여 이듬해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봉상시주부(奉常寺主簿)가 되고, 환도 후 군자시첨정(軍資寺僉正)을 거쳐 예천(醴泉)·금산(錦山) 등의 수령을 지냈다. 1602년 (선조 35) 사섬시정(司贍寺正)을 거쳐 간성(杆城)의 수령을 지내고 내자시정(內資寺正)·통례원정(通禮院正)을 역임했다. 많은 서적을 소장하였으며 여러 책을 구교(仇校)하고 주석을 달았다. 저서에는 《남천유고(南川遺稿)》가 있다.

----------------------------------------------------------------------------------------------------------------------------------------------------------------------------------
■ 권두인(權斗寅) 1643∼1719 (인조 21∼숙종 45) 조선시대의 학자.

자는 춘경(春卿), 호는 하당(荷塘). 35세에 진사에 합격, 벼슬이 공조좌랑(工曹佐郎)에 이르렀다. 세도에 뜻을 두지 않고 독서에 전념, 도(道)를 강론하였다. 안동의 동백서원(東柏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
■ 권득기(權得己) 1570∼1622 (선조 3∼광해군 14)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중지(重之), 호는 만회(晩晦). 1589년 (선조 22) 진사(進士)가 되었고, 1610년 (광해군 2)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 예조좌랑(禮曹佐郎)이 되었다. 광해군이 모후를 서궁(西宮)에 유폐하고 영창대군을 살해하는 등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고산도찰방(高山道察訪)을 사직하고 야인으로 일생을 마쳤다. 사후 공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공주(公州)의 도산서원(道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만회집(晩晦集)》 《연송잡기(然松雜記)》 등이 있다.

----------------------------------------------------------------------------------------------------------------------------------------------------------------------------------
■ 권득인(權得仁) ?∼1839 (?∼헌종 5) 조선시대의 가톨릭 교인.

헌종 때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의 사교금압(邪敎禁壓)의 주청에 의해 수렴청정(垂簾聽政)하던 김대비(金大妃)의 허락이 내려 이른바 기해박해(己亥迫害)가 시작되었다. 이때 이광현(李光獻)·남명혁(南明赫)·이소사(李召史)·한아지(韓阿只)·박희순(朴喜順)·김업이(金業伊)·김아지(金阿只)·박아지(朴阿只) 등 9명과 함께 서소문(西小門) 밖에서 처형되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9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8
8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6
7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5
6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82
5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8
4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8
3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6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5
1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2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