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뿌리깊은 안동권씨 안권의 광장
>> 안동권씨 > 뿌리깊은 안동권씨


저자가 직접 집필한 '뿌리깊은 안동권씨'를 기반으로 안동 권씨라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조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코너를 구성하였습니다.

[제9장. 안동권씨를 빛낸 분들 ] 권만 ~ 권섭

관리자이메일
■ 권만(權萬) 1688∼? (숙종 14∼?)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일보(一甫), 호는 강좌(江左). 1721년 (경종 1)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25년 (영조 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역도(逆徒) 진압에 공을 세웠다. 46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을과(乙科)로 급제, 병조정랑(兵曹正郎)이 되었다. 정조 때 창의(倡義)의 공으로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강좌집(江左集)》이 있다.

                [ 권만의 글씨. ]
----------------------------------------------------------------------------------------------------------------------------------------------------------------------------------
■ 권두만(權萬斗) 1674∼1753 (현종 15∼영조 29)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용경(用卿), 호는 지족당(知足堂). 1711년 (숙종 37) 생원(生員)이 되었고, 14년 (숙종 40)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공조정랑(工曹正郞)이 되어 사관(史官)으로서 경연관(經筵官)을 겸했다. 25년 (영조 1) 장수현감(長水縣監)이 되어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고 부역을 감하는 등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사임 후 고향에서 후진을 양성하는 한편, 유생들과 《사례절요서(四禮節要書)》를 지었고 《영해읍지(寧海邑誌)》를 편찬했다. 저서로는 《지족당집(知足堂集)》이 있다.
----------------------------------------------------------------------------------------------------------------------------------------------------------------------------------
■ 권문임(權文任) 1530∼1576 (중종 25∼선조 9)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자는 흥숙(興叔).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다. 1564년 (명종 19) 진사(進士)가 되고, 76년 (선조 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홍문관권지부정자(弘文館權知副正字)에 보직되었으나 부임하기 전 갑자기 죽었다.
----------------------------------------------------------------------------------------------------------------------------------------------------------------------------------
■ 권민수(權敏手) 1466∼1517 (세조 12∼중종 12)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자는 숙달(叔達), 호는 퇴재(退齋). 1494년 (성종25)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부수찬(副修撰)을 지냈다. 1504년 (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때, 앞서 부수찬으로서 연산군의 후원관사(後苑觀射)를 논했던 일이 화근이 되어 먼 곳으로 부처(付處)되었다. 1506년 (중종 1)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와 이듬해 소격서령(昭格署令)·봉례(奉禮) 등을 지냈고, 대사헌을 거쳐 16년 (중종 11) 충청도관찰사로 있다가 병으로 죽었다. 겉으로는 관후한 인물 같으나 실제로는 음교(陰狡)하고 중상을 일삼으며 탐비(貪鄙)하다는 사신(史臣)의 평을 받았다.
----------------------------------------------------------------------------------------------------------------------------------------------------------------------------------
■ 권반(權盼) 1564∼? (명종 19∼?) 조선 선조 때의 문신·서화가.

자는 중명(仲明), 호는 폐호(閉戶).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할머니 송씨(宋氏) 슬하에서 자랐고 영의정 윤국형(尹國馨)에게 배웠다. 1594년 (선조 27) 군자감참봉(軍資監參奉)·교하현감(交河縣監)을 지내고, 이듬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내외직을 거쳐 1613년 (광해군 5) 경상도관찰사 때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다. 그 뒤 순검사(巡檢使)로서 바다의 방비에 힘썼고, 26년 (인조 4) 충청도관찰사로 나가 토지의 많고 적음에 따라 출부(出賦)를 공평히 하는 법을 제정했으나 성사시키지는 못하였다.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거쳐 형조판서를 2차례 지냈으며, 직무에 공평무사하고 합리적이어서 칭송이 자자하였다. 서화(書畵)에도 능했다.

  [ 권반의 글씨. ]
----------------------------------------------------------------------------------------------------------------------------------------------------------------------------------
■ 권벌(權撥) 1478∼1548 (성종 9∼명종 3) 조선 중중 때의 문신.

자는 중허(仲虛), 호는 충재(沖齋), 시호는 충정공(忠定公). 1507년 (중종 2)에 문과에 급제하고 예조참판으로 있다가 13년 사헌부지평으로 재임할 때 직신(直臣)으로 이름을 떨쳤다. 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루되어 파직당하고 10여 년 고향에서 묻혀 살다가, 33년에 복직되어 경상도관찰사·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냈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종계변무(宗系辨誣;이씨왕조의 조상이 明書에 잘못 기록된 일을 고침)차 명(明)나라에 사절로 갔으며, 뒤에 예조판서·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겸하였다. 명종 초에 소윤 윤원형(尹元衡)의 대윤 윤임(尹任) 배척을 반대하다가 삭주(朔州)에 유배되어 이듬해 죽었다. 저서에 《충재집(沖齋集)》이 있다.

[ 권벌(충제공)의 필적 ]
----------------------------------------------------------------------------------------------------------------------------------------------------------------------------------
■ 권벽(權擘) 1520∼1593 (중종 15∼선조 26)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자는 대수(大手), 호는 습재(習齋). 1543년 (중종 38)에 진사(進士)가 되고 다시 문과에 급제, 46년 (명중 1) 예조정랑(禮曹正郎)이 되었다. 높은 관직에 오르진 못했으나 청직(淸職)에 있으면서 중종·인종·명종 3대의 실록편찬(實錄編纂)에 참여했다. 시에 대한 감식안이 높았고 다른 사람의 글씨를 한번 보면 그 사람이 서울사람인지 아닌지 알아보는 데 조금도 틀림이 없었다고 한다. 특히 시문(詩文)에 뛰어나 문집으로 《습재집(習齋集)》 10여 권이 있다.

   [ 권벽의 필적 ]
----------------------------------------------------------------------------------------------------------------------------------------------------------------------------------
■ 권변(權 )1651∼1726 (효종 2∼영조 2) 조선 숙종 때의 문신.

자는 이숙(怡叔), 호는 수초당(遂初堂), 시호는 문정(文貞). 1681년 (숙종 7)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89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했으나, 이때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위하려고 하자 고향에 돌아가 두문불출했다. 94년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시강원설서(侍講院說書)·병조좌랑(兵曹佐郎)·참의(參議)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고, 다시 연신(筵臣) 이기진(李箕鎭)·좌의정 민진원(閔鎭遠) 등의 천거로 병조·예조의 참판(參判)에 이어 대사헌에까지 임명되었으나 스스로 죄인이라 하여 거절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저서에 《수초당집(遂初堂集)》 《국조전감(國朝全鑑)》이 있다.

                  [ 권변의 묘소 ]
----------------------------------------------------------------------------------------------------------------------------------------------------------------------------------
■ 권병덕(權秉悳) 1868∼1944 독립운동가.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이다. 호는 청암(淸菴). 18세에 동학운동에 참가하였고 역사학을 연구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손병희(孫秉熙)·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 등과 같이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에 참여하여 2년간 복역하였다. 출옥 후천도교 종리원(宗理院)의 심계원장(番計院長)·선도사(宣道師) 등을 지내다가 사망했다. 62년3월 1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複章)이수여되었다.

    [ 권병덕의 묘소 ]
----------------------------------------------------------------------------------------------------------------------------------------------------------------------------------
■ 권병훈(權丙勳) 1867∼1943 조선말의 학자.

자는 남리(南里), 호는 성대(惺臺). 함흥(咸興) 지방재판소의 판사로 있다가 1907년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에 의하여 사법권이 일본으로 넘어가자 사직하고, 설문학연구(說文學硏究)에 전렴하여 《육서심원(六書尋源)》을 편찬하였다.
----------------------------------------------------------------------------------------------------------------------------------------------------------------------------------
■ 권부(權溥) 1262∼1346 (원종 3∼충목왕 2) 고려 충렬왕·충선왕 때의 문신·학자.

초명(初名)은 영(永), 자는 제만(齊萬), 호는 국재(菊齋). 시호는 문정(文正). 안향(安珦)의 문인이다. 1280년 (충렬왕 6) 문과(文科)에 급제, 첨의사인(僉議舍人)을 거쳐98년 밀직사우부승지(密直司右副承旨)·예빈시윤(禮賓寺尹)·지공조(知工曹)·사림원시독학사(詞林院侍讀學士)가 되었다. 1302년 (충렬왕 28)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로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元)나라에 다녀온 후 밀직사사(密直司使)·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역임, 1309년 (충선왕 1) 평리(評理)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다시 원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에 찬성사(贊成事)·판총부사(判摠部事)가  되고, 13년 영가군(永嘉君)에 봉해졌다. 14년 (충숙왕 1) 민지(閔漬)와 함께 태조 이래의 실록(實錄)을 엮었다. 20년 첨의정승(僉議政丞)·판총부사·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를 지냈으며, 부원군(府院君)에 진봉(進封), 추성익조동덕보리공신(推誠翊祚同德輔理功臣)이 되었다. 일찍이 정동행성원외낭중(征東行省員外郞中)·왕부단사관(王府斷事官)을 지냈으며, 《사서집주(四書集註)》의 간행을 청하여 주자학 발전에 공헌했고 《은대집(銀臺集)》 20권을 주석하였다.
----------------------------------------------------------------------------------------------------------------------------------------------------------------------------------
■ 권사공(權士恭) 1574∼1619 (선조 7∼광해군 11) 조선 광해군 때의 문신.

자는 여안(汝安). 아버지는 질. 1606년 (선조 39)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예조정랑(禮曹正郎)을 지냈다. 18년 (광해군 10)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여 흥해(興海;지금의 迎日郡)에 유배, 그곳에서 사망했다.
----------------------------------------------------------------------------------------------------------------------------------------------------------------------------------
■ 권산해(權山海) ?∼1456? (?∼세조 2) 조선 세조 때의 의인(義人).

자는 덕보(德甫), 호는 죽림(竹林). 1440년 (세종 22) 녹사(錄事)·주부(主簿)가 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고, 54년 (단종 2) 종부시첨정(宗簿寺僉正)이 되었다. 55년 (세조 1) 단종이 임금의 자리를 내놓은 뒤로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고, 이듬해 성삼문(成三問) 등이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투옥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했다. 1789년 (정조 13) 이조참판에 추증(追贈)되었으며 경주 운곡서원(雲谷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 권산해(죽림공)의 신도비 ]
----------------------------------------------------------------------------------------------------------------------------------------------------------------------------------
■ 권삼득(權三得) 1771∼1841 (영조 47∼헌종 7) 조선 정조·순조 때의 판소리 명창(名唱).

본명 사인(士人). 전라북도 익산(益山) 출생. 완주(完州) 출생이라는 설도 있으며, 판소리 8명창 중의 한 사람이다. 유생(儒生)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글공부는 안하고 술과 노래로 지내므로, 마침내 부친의 노여움을 사서 집에서 쫓겨났다. 이후 타계(他界)하기까지 판소리로 산하(山河)를 전전하였다. 하은담(河殷潭)에게 소리를 배웠으며, 타고난 성대는 듣는 이를 황홀하게 하였다고 한다. 신재효(申在孝)는 《광대가(廣大歌)》에서 <권생원 사인씨는/쳔칭절벽 불끈 솟아/만장폭포 월렁꿀퀼/문기팔대 한퇴지>라고 하여 그의 가조(歌調)를 절벽에서 떨어지는 폭포에, 가풍(歌風)을 한퇴지(韓退之)의 문장에 비하기도 했다. 그의 판소리는 성음이 장쾌무비하며, 거드렁거리는 경쾌한 목이있는데, 이를 일러 <덜렁제> 또는 <설렁제> <권마성조> <드렁조>라 하고, 이 목 구성을 된목·드는목·총랑목이라고 속칭하기도 한다. 그의 <덜렁제>는 《흥보가》 중의 <제비가>에서 특히 뛰어났는네, 놀부가 역군들을 거느리고 제비를 후리러 나가는 대목이 그 원형이다.
----------------------------------------------------------------------------------------------------------------------------------------------------------------------------------
■ 권상(權常) 1508∼1589 (중종 3∼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길재(吉載).아버지는 전생서참봉(典牲署參奉) 진(振)이다. 7세에 아버지를 잃었는데 호곡(號哭)함이 마치 어른과 같았으며, 효가 지극하였다는 사신(史臣)의 평이 있다. 1528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같은 해 노비인 석비(石非)를 때려 골절치사(骨折致死)하게 하였다는 죄목으로 사헌부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이어 문소전참봉(文昭殿參奉)에 제배되고, 73년에 용강현령을 지냈다. 83년 선공감정(繕工監正)에 이르렀으며, 이해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통정(通政)의 계급에 올랐다. 87년 가선(嘉善)의 위계를 받고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 權常을 배향한 백록서원 ]
----------------------------------------------------------------------------------------------------------------------------------------------------------------------------------
■ 권상구(權尙矩) 1618∼? (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지숙(至淑), 호는 남당(南塘). 1652년(효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59년(현종 즉위년)에는 정인이 되고,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전주판관에 제수되었는데, 이 때 큰 도적을 잡아 품계를 올려받고, 곧 담양수령으로 승진되었다. 담양수령으로 재직하던 중 전일의 도적 잡은 공이 다시 거론되어 가선대부에 올랐으나, 상이 지나치다는 여론이 일어 품계는 그대로 환원되었다. 69년에 동지부사로서 다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이듬해 동부승지가 되었다. 71년에 여주목사를 거쳐서 이듬해에는 공조참의에 제수되었다.
----------------------------------------------------------------------------------------------------------------------------------------------------------------------------------
■ 권상길(權尙吉) 1610∼1674 (광해군 2∼현종 15) 조선 인조·효종 때의 학자.

자는 자정(子貞), 호는 남곡(南谷)·근리재(近裏齋). 1635년 (인조 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성균관(成均館)에 입학, 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화의를 주장한 최명길(崔鳴吉) 등의 대신들을 참(斬)할 것을 상소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61년 (현종 2) 남별전참봉(南別殿參奉)이 되어 부임 도중 인조가 청(淸)나라 태조에게 항복한 일을 적은 삼전도비(三田渡碑)를 보고 분개, 집으로 되돌아가 오직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저서로는 《남곡선생문집(南谷先生文集)》이 있다.
----------------------------------------------------------------------------------------------------------------------------------------------------------------------------------
■ 권상로(權相老) 1879∼1965 불교학자·승려.

호는 퇴경당(退耕堂). 경상북도 문경(聞慶) 출생. 18세 때 문경 금룡사(金龍寺) 서진선사(瑞眞禪師)의 인도로 불교에 귀의하고, 금룡사 불교전문강원(佛敎專門講院)에서 사집과(四集科)·사교과(四敎科)·대교과(大敎科)를 수업했다. 그 뒤 불교 계통의 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1909년 불교원종종무원(佛敎圓宗宗務院) 찬집부장(纂集部長)이 되었고 《조선불교월보(朝鮮佛敎月報)》를 간행하기도 했다. 광복 후 동국대학교 교수로 불교를 강의하였고 53년 동대학 초대 총장이 되었다. 62년 대한민국 문화훈장(文化勳章)을 받았다.
저서에 《조선불교약사(朝鮮佛敎略史)》 《조선종교사(朝鮮宗敎史)》 《조선선교사(朝鮮禪敎史)》 《조선문학사(朝鮮文學史)》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 《퇴경역시집(退耕譯詩集)》이 있다. 이 가운데 《조선문학사》는 안자산(安自山)의 조선문학사 이후 국문학연구사의 초기 업적(業績)으로 손꼽힌다.
----------------------------------------------------------------------------------------------------------------------------------------------------------------------------------
■ 권상문(權相問) 1768∼1801 (영조 44∼순조 1) 조선시대의 순교자.

세례명은 세바스티아노. 경기도 양근(楊根;지금의 양평) 출생. 열렬한 가톨릭 전파자이던 백부(伯父) 권철신(權哲身)의 양자가 되어 가톨릭교리를 공부하였다. 나이 어린 순조가 즉위한 뒤 섭정(攝政)을 한 정순대비(貞純大妃;영조의 계비, 성은 김씨)가 1801년 가톨릭교에 대하여 대금압령(大禁壓令)을 내렸던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양근에서 체포되어 심한 고문을 받았다. 배교(背敎)한다고 하였다가 취소하고, 그해 12월 고향에서 다른 신자들과 함께 참수(斬首)되었다.
----------------------------------------------------------------------------------------------------------------------------------------------------------------------------------
■ 권상신(權常愼) 1759∼1824 (영조 35∼순조 25) 조선 후기 문신.

초명은 선. 자는 경호(絅好), 호는 일홍당(日紅堂)·서어(西漁). 1786년 (정조 10) 진사시(進士試)에 장원급제한 뒤 88년 정릉참봉(靖陵參奉)에 이어 내·외직을 지냈다. 1801년 (순조 1) 사도시첨정으로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이어 전시(殿試)에도 장원하여 삼장장원(三場壯元)으로 불렸다. 병조(兵曹)의 참지(參知)·참의(參議), 형조·호조·예조·병조·공조의 참판(參判),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경기도·충청도의 관찰사, 호조·병조의 판서 등을 지냈다. 1809년 대사헌 때 유신(儒臣)들을 구하려다 영변(寧邊)에 유배되었으나 3개월 후 풀려나서 우참찬(右參贊)·도총관(都摠管)을 거쳐 다시 대사헌을 지냈고, 24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서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연경으로 가던 도중 병으로 죽었다.
----------------------------------------------------------------------------------------------------------------------------------------------------------------------------------
■ 권상연(權尙然) 1750∼1791 (영조 26∼정조 15) 조선 영조·정조 때의 가톨릭교 순교자.

세례명은 야고보. 전라북도 진산(珍山) 출생. 일찍이 고종사촌인 윤지충(尹持忠)과 함께 가톨릭교를 믿었다. 모친상(母親喪) 때 재래의 신주(神主)를 불사르고 가톨릭교식으로 제례(祭禮)를 지냄으로써 무군무부(無君無父)의 역도(逆徒)로 몰려 윤지충과 함께 구금되었다. 1791년(정조 15) 당시 조정은 사교이단(邪敎異端)으로 몰아 충효의 도덕을 문란케 한 자라 하여 두 사람을 사형에 처하였다. 한국 최초의 가톨릭교 순교자가 되었는데, 이 사건을 신해사옥(辛亥邪獄) 또는 진산사건(珍山事件)이라 한다.
----------------------------------------------------------------------------------------------------------------------------------------------------------------------------------
■ 권상유(權尙游) 1656∼1724 (효종 7∼경종 4)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자는 계문(季文)·유도(有道), 호는 구계, 시호는 정헌(正獻). 도학자(道學者)인 맏형 상하(尙夏)의 영향을 받은 뒤에 송시열(宋時烈)에게 배웠다. 1694년(숙종 20)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으며 사국(史局)·3사(三司)의 벼슬을 지냈다. 주자학을 비판한 내용이 실린 박세당(朴世堂)의 《사변록(思辨錄)》이 왕명에 의해 불태워질 때 그에 대한 변설문(辯說文)을 작성하여 김창협(金昌協)으로부터 학식을 인정받았다. 1703년 수원부사(水原府使)가 되어 관리들의 비행을 숙정(肅正)하는 치적을 남겼으며, 1706년 대사간, 이조·예조·공조의 참의(參議)전라도·평안도의 관찰사 등을 거쳐 호조판서·예조판서·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우참찬(右參贊)을 지냈다. 그 뒤 이조판서가 되어 숨은 인재(人材)를 많이 등용했다. 21년(경종 1)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노론(老論)이라 하여 탄핵을 받아 벼슬에서 쫓겨난 뒤 한양 밖으로 추방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 권상유의 글씨 ]
----------------------------------------------------------------------------------------------------------------------------------------------------------------------------------
■ 권상익(權相翊) 1863∼1935 독립운동가.

자는 찬수(贊粹), 호는 성재(省齋). 김흥락(金興洛)의 문인.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만국공관(萬國公館)에 보낼 호소문을 작성하기도 했으며, 10년 국권피탈 후에는 후학지도에 전렴하였다. 19년 3·1운동 때 유림들과 파리강화회의에 보낼 독립청원서에 서명, 발송하려다가 일본경찰에게 체포되었다. 25년에는 김창숙(金昌淑)이 내몽골에 독립군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20만 원의 군자금을 모금할 때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가 또다시 일본경찰에게 붙잡혀 29년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언도받았다. 68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문집으로 《성재집(28권)》이 있다.
----------------------------------------------------------------------------------------------------------------------------------------------------------------------------------
■ 권상일(權相一) 1679∼1759 (숙종 5∼영조 35) 조선시대의 문신·학자.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 1710년(숙종 36)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으며 예조좌랑(禮曹佐郎)·병조좌랑(兵曹佐郎)을 지냈다. 27년(영조 3) 만경현령(萬頃縣令)에 이어 영암(靈巖)군수와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내고, 33년 양산(梁山)군수·군자감정(軍資監正)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 뒤 홍문관의 계청(啓請)에 의해 경연(經延)에 참석하여 소신을 진술했다. 울산부사(蔚山府使)·춘추관편수관을 겸임하고, 구강서원(鷗江書院)을 창립하여 학문을 진흥시켰다. 45년 봉상시정(奉常寺正), 이듬해 사헌부헌납(司憲府獻納)·사간원사성(司諫院使星)·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동부승지(同副承旨)·형조참의(刑曹參議) 등을 역임하고, 48년 우부승지(右副承旨)를 지냈다. 그 뒤 대사간(大司諫)·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학문은 이황(李滉)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특히 이황이 수정하기 전의 <사칠설(四七說)>을 조술하여 이(理)와 기(氣)를 완전히 분리하고, <이는 본연의 성(性)이 되며 기는 기질(氣質)의 성이다>라고 주장했다. 저서에는 《초학지남(初學指南)》 《관서근사록집해(觀書近思錄集解)》 《소대비고(昭代備考)》 《가범(家範)》 《역대사초상목(歷代史抄常目)》 등이 있다. 시호는 희정(僖靖).

[ 권상일(희정공, 청대)의 어서각. ]
----------------------------------------------------------------------------------------------------------------------------------------------------------------------------------
■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인조 19∼경종 1) 조선시대의 학자·서예가.

자는 치도(致道), 호는 수암(遂菴)·한수재(寒水齋).
1660년(현종 1) 진사과(進士科)에 급제했으나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 등의 학문에 전렴하고 특히, 송시열로부터 의복과 서적 등을 유품으로 물려받았다. 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송시열이 죽음을 당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화양동(華陽洞)에 만동묘(萬東廟)를 짓고 명(明)나라 신종(神宗)·의종(毅宗)을 제향했으며, 숙종의 뜻을 받들어 대보단(大報壇)을 세웠다. 숙종의 총애를 받아 좌의정·우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지도자로서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했다. 글씨에 능하여 《기백이태연묘표(箕伯李泰淵墓表)》 《형참권극화묘표(刑參權克和墓表)》 《좌랑성람묘표(佐郞成濫墓表)》 등의 작품을 남겼다. 시호(諡號)는 문순(文純).

----------------------------------------------------------------------------------------------------------------------------------------------------------------------------------
■ 권섭(權燮) 1671∼1759 (현종 12∼영조 35) 조선시대의 문인.

자는 조원(調元), 호는 옥소(玉所)·백월(百越). 대문장가인 백부(伯父) 슬하에서 배우고, 진위군수(振威郡守) 이세필(李世弼)의 둘째딸과 결혼, 장인에게서 경사백가(經史百家)를 배웠으며 처형(妻兄) 이태좌(李台佐)·이형좌(李衡佐)와 함께 만기사(萬紀寺)에 들어가 삼동(三冬)을 독서로 보냈다. 숙종의 세자책봉문제로 송시열(宋時烈)이 유배·사사(賜死)되었을 때는 상소를 올려 그 억울함을 호소했다. 과거에는 낙방했으나 벼슬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지필묵(紙筆墨)을 들고 외조부가 있던 홍천현(洪川縣) 임소(任所)의 범파정(泛波亭)을 비룻하여 전국을 유람했다. 한시·가사·시조에도 능해 8세에 지은 《제생희(弟生喜)》를 비롯하여 567수 이상의 한시를 지었으며, 그의 유고 13권이 1938년에 간행되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9 권필칭 ~ 권희학 관리자 05-01-06 6478
8 권진규 ~ 권필 관리자 05-01-06 5606
7 권종해 ~ 권진 관리자 05-01-06 5825
6 권응생 ~ 권종 관리자 05-01-06 5982
5 권영 ~ 권율 관리자 05-01-06 6728
4 권성 ~ 권엽 관리자 05-01-06 5677
권만 ~ 권섭 관리자 05-01-06 6766
2 권낙종 ~ 권득인 관리자 05-01-06 5724
1 권감 ~ 권길 관리자 05-01-06 672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