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唐詩(당시)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韋應物(위응물)

청남

 

 

唐詩(당시)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韋應物(위응물)

 

 

淒淒去親愛(처처거친애泛泛入煙霧(범범입연무)

歸棹洛陽人(귀도낙양인殘鐘廣陵樹(잔종광능수)

今朝爲此別(금조위차별何處還相遇(하처환상우)

世事波上舟(세사파상주沿洄安得住(연회안득주)

 

쓸쓸하게도 사랑하는 그대를 두고 떠나

안개 자욱한 연무 속으로 길을 찾아서

나룻 배 저어 낙양으로 돌아 들어가니

광릉 숲 속에선 아련한 종소리 들리는구나.

 

오늘 아침 여기서 이렇게 이별하니

어디에서 또 다시 만날 수 있으랴.

세상일은 물결 위에 뜬 배와 같아

물결 따라 가다 보면 언지 다시 돌아올 수 있으랴.

 

<>

韋應物(위응물)의 이 시는 고독하고 서글픈 이별의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슬픔을, 안개에 휩싸인 연무 속 길을 찾아 가는 모습과 나룻배를 저어 낙양으로 돌아가는 여정으로 묘사하며, 그 슬픔이 광릉 숲 속의 종소리에 아련하게 울리는 듯합니다.

이 시는 이별의 순간에 대한 깊은 상실감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담고 있으면서도, 세상사는 일의 불확실성과 변덕스러움을 '물결 위에 뜬 배'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시인은 이별 후의 재회 가능성을 반문하며, 삶의 불가해한 운명을 탐구합니다.

 

시의 언어는 간결하면서도 강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독자의 감정을 자극합니다. 이별의 아픔을 자연과 연결시키는 시적 기법은 독자로 하여금 시인의 고독과 슬픔을 공감하게 만들며, 결국 모든 인간 경험이 물과 같이 변하기 마련임을 상기시킵니다. 이러한 시적 표현은 독자로 하여금 삶의 변덕과 불확실성 속에서도 희망과 위안을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1735
1713 IMG_5912.JPG 唐詩(당시) 子夜四時歌:冬歌(자야사시가:동가) 李白(이백) 청남 23-11-22 219
1712 IMG_5899.JPG 唐詩(당시) 子夜四時歌:秋歌(자야사시가:추가) 李白(이백) 청남 23-11-22 207
1711 IMG_5893.JPG 唐詩(당시) 子夜四時歌:夏歌(자야사시가:하가) 李白(이백) 청남 23-11-22 218
1710 IMG_5888.JPG 唐詩(당시) 子夜四時歌:春歌(자야사시가:춘가) 李白(이백) 청남 23-11-22 224
1709 IMG_5887.JPG 唐詩(당시) 關山月(관산월) 李白(이백) 청남 23-11-22 229
1708 IMG_5874.JPG 唐詩(당시) 塞下曲(새하곡) 王昌齡(왕창령) 청남 23-11-22 232
1707 IMG_5764.JPG 唐詩(당시) 聞王昌齡左遷龍標尉遙有此(문왕창령좌천용표위요유차) ​ 李白(이백) 청남 23-11-21 281
1706 IMG_5075.JPG 唐詩(당시) 上皇西巡南京歌 二首(상황서순남경가이수) 二(이) ​​李白(이백) 청남 23-11-21 279
1705 IMG_5059.JPG 唐詩(당시) 上皇西巡南京歌 二首(상황서순남경가이수) 一(일) ​李白(이백) 청남 23-11-21 282
1704 IMG_5051.JPG 唐詩(당시)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李白(이백) 청남 23-11-21 282
1703 IMG_4984.JPG 唐詩(당시) 客中行(객중행) 李白(이백) 청남 23-11-21 285
1702 IMG_0941.JPG 唐詩(당시) 塞上曲(새상곡) 王昌齡(왕창령) 청남 23-11-21 228
1701 IMG_0723.JPG 唐詩(당시) 溪居(계거) 柳宗元(류종원) 청남 23-11-21 182
1700 IMG_0602.JPG 唐詩(당시) 晨詣超師院讀禪經(신예초사원독선경) 柳宗元(류종원) 청남 23-11-21 195
1699 IMG_0474.JPG 唐詩(당시) 淸平調詞三首(청평조사삼수) 李白(이백) 三(삼) 청남 23-11-20 238
1698 IMG_0466.JPG 唐詩(당시) 淸平調詞三首(청평조사삼수) 李白(이백) 二(이) 청남 23-11-20 201
1697 IMG_0360.JPG 唐詩(당시) 淸平調詞三首(청평조사삼수) 李白(이백) 一(일) 청남 23-11-20 167
1696 15.jpg 唐詩(당시) 送楊氏女(송양씨녀) 韋應物(위응물) 永日方戚戚(영일방척척) 出行復悠悠(출항복유유) 女子今有行(녀자금유항) 大江溯輕舟(대강소경주) 爾輩苦無恃(이배고무시) 撫念益慈 청남 23-11-20 222
1695 11.jpg 唐詩(당시) 東郊(동교) 韋應物(위응물) 청남 23-11-20 267
1694 007.jpg 唐詩(당시) 夕次盱眙縣(석차우이현) 韋應物(위응물) 청남 23-11-20 19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