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唐詩(당시)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李白(이백)

청남

 

唐詩(당시)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李白(이백)

 

峨眉山月半輪秋(아미산월반윤추) 影入平羌江水流(영입평강강수유)

夜發淸溪向三峽(야발청계향삼협) 思君不見下渝州(사군불견하투주)

 

가을 밤 峨眉山(아미산)에 뜬 반달

그 그림자 平羌江(평양강) 물 따라 흐르네

밤에 淸溪(청계)를 떠나 三峽(삼협)을 향하니

그대 생각하지만 보지 못 하고 渝州(투주)로 가네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蛾眉山(아미산) 기슭에서 長江(장강)에 나가, 다시 湖廣(호광)에 나갈 때까지의 풍경을 말하고 있다. 어느 때 작품인지 알 수 없다. 李白(이백) 청년 시절, ()을 나올 때 작품이라는 설도 있고, 만년 夜郞(야랑)으로 유배될 때 그쪽 방면으로 가다가 사면을 받고, 도중에서 철수 할 때 長江( )을 내려갔다는 설도 있다.

 

峨眉山(아미산)... 四川省(사천성) 成都(성도) 서남 嘉定(가정)에 있고 높이 3035 미터 이며 고래로 靈山(영산)으로 숭배되던 곳이다. 일명 峨山(아산)이라고도 한다. 봉우리가 마주보고 솟아 마치 아름다운 여인의 초생달 같은 양쪽 눈썹 같으 므로 蛾眉山(아미산)이라 했다.

 

半輪秋(반윤추)... 半輪(반륜)은 반원, 가늘의 弦月(현월).

()............ 물에 비친 달 모습.

 

平羌江(평강강)... 四川省(사천성) 雅安縣(아안현) 부근을 흐르는 靑衣水(청의수)蛾眉山( 미산) 동북을 부근을 흐를 때 平羌江(평강강)이라 한다. 羌夷(강이)가 침입 했을 때 諸葛孔明(제갈공명)이 여기서 토벌했다.

 

淸溪(청계)........ 蛾眉山(아미산) 동쪽 부근이고, 平羌江(평강강)岷江(민강)과 합류한 곳에 서 조금 하류에 있는 도시. 四川省(사천성)에도 두 곳이나 淸溪(청계)라는 이름의 도시가 있다. 하나는 蛾眉山(아미산) 서쪽, 西康省(서강성) 내에 있 淸溪縣(청계현)이지만 이것은 平羌江(평강강)을 지나 重慶(중경)으로 가 는 길이 아니다. 다른 하나는 長江(장강) 까지 나와 納溪縣(납계현)에 있다. ()王漁洋(왕어양)淸溪(청계)라고 제목한 (), 淸溪(청계) 는 납계현 서쪽 5리에 있고 李白(이백)의 시는 여기를 보고 지은 것이라고 註釋(주석)‘하고 있다.

 

三峽(삼협)...... 長江(장강)四川省(사천성)에서 湖北省(호북성)으로 들어가는 곳, 瞿唐峽 (구당협) 巫峽(무협) 西陵峽(서능협)의 세 險所(험소)가 있다.

 

思君(사군)....... ()을 달을 말 함.

 

 

渝州(투주)....... 지금의 重慶(중경)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2053
1736 경치 안동댐 안개 (2).jpg 唐詩(당시) 長信秋詞(장신추사) 王昌齡(왕창령) 청남 23-11-29 224
1735 경치 마애동 (3).jpg 唐詩(당시) 夢游天姥吟留別(몽유천모음류별) 李白(이백) 청남 23-11-28 228
1734 경주김씨.jpg 唐詩(당시) 廬山謠寄盧侍御虛舟(려산요기노시어허주) 李白(이백) 청남 23-11-28 208
1733 강물.jpg 唐詩(당시) 夜歸鹿門山歌(야귀녹문산가) 孟浩然(맹호연) 청남 23-11-28 233
1732 외로움-입선.jpg 唐詩(당시) 西宮秋怨(서궁추원) 王昌齡(왕창령) 청남 23-11-28 215
1731 이끼계곡.jpg 唐詩(당시) 西宮春怨(서궁춘원) 王昌齡(왕창령) 청남 23-11-28 265
1730 이엉잇기.jpg 唐詩(당시) 春宮曲(춘궁곡) 王昌齡(왕창령) 청남 23-11-28 233
1729 산 설악산  (5).jpg 唐詩(당시) 春夜洛城聞笛(춘야락성문적) 李白 청남 23-11-28 274
1728 산 설악산  (6).jpg 唐詩(당시) 與史郎中欽聽黃鶴樓上吹笛(여사낭중흠청황학루상취적) 李白(이백) 청남 23-11-28 249
1727 삼동치에서 본 운해.jpg 唐詩(당시) 越中懷古(월중회고) 李白(이백) 청남 23-11-28 254
1726 전통혼례-입선.jpg 唐詩(당시) 蘇臺覽古(소대람고) 李白(이백) 청남 23-11-28 216
1725 주산지 반영.jpg 唐詩(당시) 秋下荊門(추하형문) 李白(이백) 청남 23-11-28 254
1724 탈춤을 추자.jpg 唐詩(당시) 聽安萬善吹篳篥歌(청안만선취필률가) 李頎(이기) 청남 23-11-26 301
1723 경치 설경 (5).JPG 唐詩(당시) 送陳章甫(송진장보) 李頎(리기) 청남 23-11-25 271
1722 경치 설경 (4).JPG 唐詩(당시) 古意(고의) 李頎(이기) 청남 23-11-25 229
1721 경치 설경 (1).JPG 唐詩(당시) 早發白帝城(조발백제성) 李白(이백) 청남 23-11-24 257
1720 KakaoTalk_20231015_200406299_06.jpg 唐詩(당시) 望天門山(망천문산) 李白(이백) 청남 23-11-24 238
1719 KakaoTalk_20231015_200406299_05.jpg 唐詩(당시) 陪族叔刑部侍郎曄及中書舍人賈至遊洞庭湖 (배족숙형부시랑엽급중서사인가지유동정호) 李白(이백) 청남 23-11-24 211
1718 KakaoTalk_20231015_200406299_04.jpg 唐詩(당시) 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황학루송맹호연지광능) 李白(이백) 청남 23-11-24 288
1717 IMG_5975.JPG 唐詩(당시) 登幽州台歌(등유주태가) 陳子昂(진자앙) 청남 23-11-23 28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