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讀馮圃芝餘事集因題天章還山詩巻(독풍포지여사집인제천장환산시권) 王漁洋(왕어양)

청남

 

 

讀馮圃芝餘事集因題天章還山詩巻(독풍포지여사집인제천장환산시권) 王漁洋(왕어양)

 

木脫石氣青(목탈석기청吟君古調詩(음군고조시)

落日髙鳥去(락일고조거碧空澹涼颸(벽공담량시)

一吟扣一絃(일음구일현一吟傾一巵(일음경일치)

嘈嘈立部伎(조조립부기孑孑寡女絲(혈혈과녀사)

巧笑倚市門(교소의시문漆室聲苦悲(칠실성고비)

猿鳴上峽夜(원명상협야雁警團沙時(안경단사시)

遥憶中條山(요억중조산雲物秋正奇(운물추정기)

吳生家山南(오생가산남拾橡恒苦饑(습상항고기)

朝吟看雲出(조음간운출暮吟逐雲歸(모음축운귀)

河聲與嶽色(하성여악색中有太古詞(중유태고사)

誰為昭與聾(수위소여롱獨有馮生知(독유풍생지)

 

<>

나뭇잎은 지고, 바위 기운은 푸르네.

그대의 옛 운치 깃든 시를 읊조리며,

저무는 해 속에 높은 새는 날아가고,

푸른 하늘엔 서늘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네.

한 번 읊으면 거문고 줄 하나를 두드리고,

또 한 번 읊으면 술잔 하나를 기울이네.

시끌벅적 서서 노래하는 악공도 있고,

외롭게 홀로 거문고 줄을 타는 여인도 있네.

아리따운 웃음 머금고 시장 어귀에 기대 있으나,

어두운 방의 그 소리는 괴롭고 슬프다네.

깊은 협곡의 밤에는 원숭이 울음이 들리고,

모래톱엔 기러기가 떼 지어 앉아 경계하네.

멀리 중조산을 생각하니,

가을 구름과 경치가 참으로 기이하다.

() 지방의 선생은 고향 산 남쪽에서,

도토리를 주워 늘 굶주림을 달래셨다네.

아침에는 시 읊으며 구름이 피어오르는 걸 보고,

저녁에는 시 읊으며 구름을 따라 돌아오네.

강물 소리와 산빛 속에,

그 안에 태고의 시어가 있구나.

누가 밝은 자와 귀먹은 자를 가를 수 있으랴,

오직 풍 선생만이 이를 아시리라.

 

()

() 부드럽게 부는 바람. 특히 가을의 선선한 바람.

孑孑(혈혈) 외로이 홀로 있는 모습.

寡女絲(과녀사) 거문고 줄을 타는 외로운 여인.

漆室(칠실) 빛이 들지 않는 어두운 방.

中條山(중조산) 중국 산서성(山西省)에 있는 산 이름.

拾橡(습상) 도토리를 주움. 가난하여 먹을 것을 구하는 모습.

太古詞(태고사) 아주 먼 옛 시대의 시어. 고풍스럽고 순수한 시구를 뜻함.

 

이 시는 풍포지(馮圃芝)의 시권을 읽고 왕어양이 감흥을 적은 것으로,

풍 선생의 시에서 태고의 기운과 은거 생활의 청정함을 느끼고 찬미한 작품입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8757
익모초3.JPG 讀馮圃芝餘事集因題天章還山詩巻(독풍포지여사집인제천장환산시권) 王漁洋(왕어양) 새글 청남 25-08-16 3
2537 익모초1.jpg 遥題王咸中石隖山房(요제왕함중석오산방) 王漁洋(왕어양) 새글 청남 25-08-16 1
2536 이팝나무2024.5.24 (4).JPG 五言絶句(오언절구) 3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8-14 14
2535 이팝나무2024.5.24 (3).JPG 五言絶句(오언절구) 2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8-14 10
2534 이팝나무 (31).JPG 同施愚山陳藹公集山史昊天寺寓觀唐子華水仙圖(동시우산진애공집산사호천사우관당자화수선도)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8-12 25
2533 이팝나무 (30).JPG 題喬子静桃花流水圖(제교자정도화류수도)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8-12 16
2532 이팝나무 (16).JPG 五言絶句(오언절구) 1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8-10 27
2531 이팝나무 (15).JPG 汴梁雜詩(변량잡시)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8-10 13
2530 이팝나무 (2).jpg 題喬子静桃花流水圖(제교자정도화류수도)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8-07 35
2529 이팝나무 (1).jpg 北山約逰摩訶菴不果往卻寄 3」(북산약逰마가암불과왕각기 3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8-07 29
2528 이끼(바위옷) (2).JPG 雨後(우후)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8-05 28
2527 이끼(바위옷) (1).JPG 蕪湖關(무호관)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8-05 31
2526 은행. 용계.jpg 北山約逰摩訶菴不果往卻寄 2(북산약逰마가암불과왕각기 2)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8-03 39
2525 은핸.봉정사 (5).jpg 北山約逰摩訶菴不果往卻寄 1(북산약逰마가암불과왕각기 1)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8-03 22
2524 으아리.jpg 査愼行(사신행) 凊詩人(청시인) 청남 25-08-01 30
2523 으름덩굴2.jpg 村舍(촌사) 趙執信(조집신) 凊詩人(청시인) 청남 25-08-01 21
2522 유체2024.4.11 (3).JPG 北山約逰摩訶菴不果往卻寄(북산약逰마가암불과왕각기)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7-30 31
2521 유체2024.4.11 (2).JPG 沈周秋林讀書圖(沈周秋林讀書圖)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7-30 22
2520 유자 (4).JPG 太白酒樓歌(태백주루가) 趙執信(조집신) 청남 25-07-28 37
2519 유자 (3).JPG 執信(조집신) 凊詩人(청시인) 청남 25-07-28 3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