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권삼) 漢詩(한시) 鷄鳴(계명)

청남

 

 

古詩源(고시원) () 卷三(권삼) 漢詩(한시) 鷄鳴(계명)

 

鷄鳴高樹巓(계명고수전)狗吠深宮中(구폐심궁중)蕩子何所之(탕자하소지)

天下方太平(천하방태평)刑法非有貸(형법비유대)柔協正亂名(유협정란명)

黃金爲君門(황금위군문)碧玉爲軒堂(벽옥위헌당)上有雙尊酒(상유쌍존주)

作使邯鄲倡(작사감단창)劉王碧靑甓(유왕벽청벽)後出郭門王(후출곽문왕)

舍後有方池(사후유방지)池中雙鴛鴦(지중쌍원앙)鴛鴦七十二(원앙칠십이)

羅列自成行(나열자성행)鳴聲何啾啾(명성하추추)聞我殿東廂(문아전동상)

兄弟四五人(형제사오인)皆爲侍中郞(개위시중랑)五日一時來(오일일시래)

觀者滿路傍(관자만로방)黃金絡馬頭(황금락마두)熲熲何煌煌(경경하황황)

桃生露井上(도생로정상)李樹生桃傍(이수생도방)蟲來齧桃根(충래설도근)

李樹代桃殭(이수대도강)樹木身相代(수목신상대)兄弟還相忘(형제환상망)

 

닭이 쫓기는 것같이 높은 나무 위에서 울고,

개는 놀라 집안에서 짖고 있는 것은

저 남봉꾼 사나이가 지나가기 때문인데, 어디에 가려 하는 것일까.

지금 천하는 태평하고 질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형법은 사람의 악행을 그냔 두지 아니한다네.

유화의 도에서 이름을 더럽히는 자를 바르게 하네.

원래 그대 집은 황금으로 문을 장식하고,

碧玉(벽옥)으로 처마와 사랑채를 장식한 호화스러운 저택이며,

사랑에는 한 쌍의 樽酒(준주)도 있고,

邯鄲(감단) 출신의 女樂(여악)도 쓰고 있지.

劉王(유왕)이 좋아하는 靑色(청색) 기와,

그 뒤에는 郭門王(곽문왕)을 본딴 四角(사각) 연못이 後園(후원)에 있는데,

그 속에는 鴛鴦(원앙)새가 놀고 있네.

그 수는 72마리, 그들이 줄을 지어 울어대는 소리는 정말로 신기하구나.

그 소리가 우리 집 동쪽까지 들려올 정도이니, 집을 나가 놀 일도 없으련만.

또 그대 형제 四五人(사오인)은 모두 侍中郞(시중랑)이라는 신분,

五日(오일)에 한 번은 집에 돌아오는 것을,

구경꾼이 길가에 몰리는 형편,

황금의 마구로 말을 장식하니 번쩍번쩍 빛나구나.

그들 형제가 그대의 남봉을 좋아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리라.

복숭아나무가 지붕 없는 우물 위에 나고,

자두가 거기 접해서 자라고 있네.

벌래가 와서 복숭아 뿌리를 갈가 먹으니,

자두나무가 복숭아 대신에 넘어졌다네.

수목도 이렇게 대신하는 것을 형제이면서 법을 어겨

상대의 이름을 더럽힌다는 것을 어찌된 일인가.

 

鷄鳴(계명).... 放蕩兒(방탕아)를 경계하고, 형제간에 서로 反目(반목)하는 것을 풍자한 ()지만, 전후의 말이 잘 접속 안되고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은 著者(원저자)도 양해를 구하고 있다.

刑法非有貸(형법비유대).... 형법은 假借(가차)없다. 관대하게 봐주지 않는다.

邯鄲倡(감단창)... 邯鄲(감단) 출신의 娼女(창녀)

劉王碧靑甓(유왕벽청벽), 後出郭門王(후출곽문왕).... 이 구절은 이해하기 어 렵다. ()은 기와, 혹은 연와의 종류. 郭門王(곽문왕)은 당시 () 생산 에 관계가 있었던 名家(명가)였을까. 고래의 해석도 구구하여 일정하지 않다.

鴛鴦七十二(원앙칠십이).... ()藿光(곽광)의 연못에 鴛鴦(원앙) 36쌍을 길었다는 고사에 근거를 둔 구절임. 상징적으로 蕩子(탕자)의 집에 妻妾(처첩)이 많이 있다 는 말로도 통함.

啾啾(추추).... 작은 소리로 움.

侍中郞(시중랑)... 侍從官(시종관). 천자가까이에서 모든 일을 함께 의논하고 건의하며 顧問( )에 응하는 관직.

熲熲(경경), 煌煌(황황).... 모두 빛난다는 말.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1296
2073 연산홍.2024.5.2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四(권사)漢詩 古詩(고시) 爲焦仲卿妻作(위초중경처작) 새글 청남 24-05-03 6
2072 연산홍.2024.5.2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樂府(악부) 새글 청남 24-05-03 2
2071 연산홍.2024.5.2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猛虎行(맹호행) 새글 청남 24-05-03 3
2070 조팝나무2024.4.7 (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古八戀歌(고팔련가) 청남 24-05-01 11
2069 붓꽃.2024.4.29 (5).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古歌(고가) 청남 24-05-01 6
2068 붓꽃.2024.4.29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枯魚過河泣(고어과하읍) 청남 24-05-01 5
2067 고사리.2024.4.29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歌(비가) 청남 24-04-29 11
2066 개똥쑥.2024.4.29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傷歌行(상가행) 청남 24-04-29 7
2065 개똥쑥.2024.4.29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淮南王篇(회남왕편) 청남 24-04-29 8
2064 옥매화2024.4.29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隴西行(농서행) 청남 24-04-27 18
2063 영산홍2024.4.22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艶歌行(염가행) 청남 24-04-27 9
2062 영산홍2024.4.22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孤兒行(고아행) 청남 24-04-27 5
2061 박대기2024.4.20 (2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東門行(동문행) 청남 24-04-25 18
2060 박대기2024.4.20 (1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西門行(서문행) 청남 24-04-25 10
2059 박대기2024.4.20 (1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善哉行(선재행) 청남 24-04-25 9
2058 박대기2024.4.20 (1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相逢行(상봉행) 청남 24-04-23 9
2057 박대기2024.4.20 (1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君子行(군자행) 청남 24-04-23 7
2056 박대기2024.4.20 (1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長歌行(장가행) 청남 24-04-23 11
2055 봄맞이꽃2024.4.7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陌上桑(맥상상) 청남 24-04-21 20
봄맞이꽃2024.4.7 (1).JPG 권삼) 漢詩(한시) 鷄鳴(계명) 청남 24-04-21 1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