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君子行(군자행)

청남

 

 

古詩源(고시원) () 卷三(권삼) 漢詩(한시) 君子行(군자행)

 

君子防未然(군자방미연)不處嫌疑問(불처혐의문)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李下不正冠(이하부정관)嫂叔不親授(수숙불친수)長幼不比肩(장유불비견)

勞謙得其柄(노겸득기병)和光甚獨難(화광심독난)周公下白屋(주공하백옥)

吐哺不及餐(토포불급찬)一沐三握髮(일목삼악발)後世稱聖賢(후세칭성현)

 

군자는 만사를 미연에 방비한다.

사람들의 혐의를 받을만한 곳에 가지 아니한다.

참외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아니하고,

살구나무 밑에서 관을 고쳐 쓰지 아니한다.

그것은 참외를 훔치거나 살구를 딴다고 의심받기 때문이라네.

형수와 동생에게는 물건을 직접 주고받아

관계를 의심받는 일은 하지 아니하고,

어린 자가 어른과 어깨를 나란히 해서

겸손하지 못하다는 비난을 받게 아니한다네.

공로가 있어도 겸손한 것은 덕의 근본이며,

재주의 빛을 감추어 세속에 동조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로다.

周公(주공)은 초가에 사는 가난한 사람에게도 겸손했고,

입안에 것을 토해서 까지 시간을 존중해서 선비을 면접하였고,

머리를 한 번 감는데, 세 번이나 중지하였으며,

머리를 쥔 체로 賢者(현자)를 만났다고 하네.

이러한 겸손의 태도, 즉 인재를 존중하는 정신이

후세의 사람들에게 賢者(현자)라고 칭송 받는 대상이 된 것이며,

군자는 이러해야만 한다네.

 

君子行(군자행)... 그 당시의 군자의 이상을 말한 것이다.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列女傳(열녀전)()威王虞姬(위왕우희), 왕에게 가서 말하기 , 참외밭을 지나며 신발을 고쳐 신지 아니하고, 살구나무 밑을 지나며 ()을 고치지 아니하는데, 첩 이것을 피하지 안았는 것이 죄입니다.giT .

嫂叔不親授(수숙불친수).... ()은 형의 처, ()은 동생, 親授(친수)는 직접 물건을 주고 받 는 것을 말한다.

勞謙得其柄(노겸득기병).... 易經(역경) 謙卦(겸괘)勞謙君子終吉(노겸군자종길)이라 있다. 공로 가 있어도 겸손하면 군자답고, 그 겸손이 자기의 덕을 더욱 높이는 것다. 은 겸손으로 더욱 굳게 지켜지는 것이다.

和光(화광).... 老子(노자)그 빛을 ()하롭게해서 그 ()을 같이한다.라는 말이 있다. 뛰어난 재주를 자랑하지 말고 중인들과 같이 먼지를 함께쓰고 恥辱( )을 감수한다라는 말로, 노자의 처세훈이다.

白屋(백옥)..... 흰 지붕. 갈때로 이은 지붕. 가난한 사람의 집.

吐哺不及餐(토포불급찬), 一沐三握髮(일목삼악발).... 史記(사기) 魯世家(노세가)나 한번 목욕 을 할 때 세 번 머리를 잡고, 한번 밥을 먹을 때, 세 번 토해내면서, 선비 를 만나면서도 천하의 賢人(현인)을 잃을까 두려워한다.라고 있다. () 는 입에 넣은 음식, ()은 머리를 감는다는 말. 사람을 만나느라 밥을 먹 을 틈도 없고, 머리를 감을 틈도 없다는 말.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1296
2073 연산홍.2024.5.2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四(권사)漢詩 古詩(고시) 爲焦仲卿妻作(위초중경처작) 새글 청남 24-05-03 6
2072 연산홍.2024.5.2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樂府(악부) 새글 청남 24-05-03 4
2071 연산홍.2024.5.2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猛虎行(맹호행) 새글 청남 24-05-03 3
2070 조팝나무2024.4.7 (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古八戀歌(고팔련가) 청남 24-05-01 11
2069 붓꽃.2024.4.29 (5).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古歌(고가) 청남 24-05-01 7
2068 붓꽃.2024.4.29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枯魚過河泣(고어과하읍) 청남 24-05-01 5
2067 고사리.2024.4.29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歌(비가) 청남 24-04-29 13
2066 개똥쑥.2024.4.29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傷歌行(상가행) 청남 24-04-29 7
2065 개똥쑥.2024.4.29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淮南王篇(회남왕편) 청남 24-04-29 8
2064 옥매화2024.4.29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隴西行(농서행) 청남 24-04-27 18
2063 영산홍2024.4.22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艶歌行(염가행) 청남 24-04-27 9
2062 영산홍2024.4.22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孤兒行(고아행) 청남 24-04-27 5
2061 박대기2024.4.20 (2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東門行(동문행) 청남 24-04-25 18
2060 박대기2024.4.20 (1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西門行(서문행) 청남 24-04-25 10
2059 박대기2024.4.20 (1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善哉行(선재행) 청남 24-04-25 10
2058 박대기2024.4.20 (1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相逢行(상봉행) 청남 24-04-23 10
박대기2024.4.20 (1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君子行(군자행) 청남 24-04-23 8
2056 박대기2024.4.20 (1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長歌行(장가행) 청남 24-04-23 11
2055 봄맞이꽃2024.4.7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陌上桑(맥상상) 청남 24-04-21 22
2054 봄맞이꽃2024.4.7 (1).JPG 권삼) 漢詩(한시) 鷄鳴(계명) 청남 24-04-21 1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