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盤中詩(반중시) 蘇伯玉妻(소백옥처)

청남

 

 

古詩源(고시원) () 卷三(권삼) 漢詩(한시)

盤中詩(반중시) 蘇伯玉妻(소백옥처)

 

 

山樹高鳥鳴悲(산수고조명비) 泉水深鯉魚肥(천수심리어비)

空倉雀常苦飢(공창작상고기) 吏人婦會夫希(이인부회부희)

出門望見白衣(출문망견백의) 謂當是而更非(위당시이갱비)

還入門中心悲(환입문중심비) 北上堂西入階(북상당서입계)

急機紋杼聲催(급기문저성최) 長歎息當語誰(장탄식당어수)

君有行妾念之(군유행첩염지) 出有日還無期(출유일환무기)

結巾帶長相思(결건대장상사) 君忘妾未知之(군망첩미지지)

妾忘君罪當治(첩망군죄당치) 妾有行宜知之(첩유행의지지)

黃者金白者玉(황자금백자옥) 高者山下者谷(고자산하자곡)

姓者蘇字伯玉(성자소자백옥) 人才多智謀足(인재다지모족)

家居長安身在蜀(가거장안신재촉) 何惜馬蹄歸不數(하석마제귀불수)

羊肉千斤酒百斛(양육천근주백곡) 令君馬肥麥與粟(영군마비맥여속)

今時人知四足(금시인지사족) 與其書不能讀(여기서불능독)

當從中央周四角(당종중앙주사각)

 

 

산의 樹木(수목)은 높고 새는 슬피 울며,

샘물은 깊고 잉어 살이 젓네.

창공에 새는 항상 주려서 고통스럽고

관리의 부인은 항상 남편과 만날 날 적네

문 밖에 나가 흰옷 입은 사람을 보면,

남편이 틀림없다 생각해도, 다시 잘 보면 아니 여서,

문안에 들어와 슬퍼합니다.

북쪽으로 집에 들어가, 서쪽 계단을 올라 방에 들어가서,

베틀에 축을 돌려 실을 매어, 북소리도 요란하게 움직입니다.

긴 한숨을 지어도, 누구와 이야기할 상대도 없습니다.

그대가 나가시면 나는 그대 생각으로 마음 아픕니다.

출발의 기약은 있어도 돌아 올 예정은 없네요.

그 사이 ()를 맺으며 항상 그리워한답니다.

그대는 나를 잊을지 몰라도,

내가 그대를 잊으면 내 죄를 책망해 주어도 좋습니다.

내 행동이 굳은 것을 그대도 아실 겁니다.

누런 것은 금, 흰 것은 옥,

높은 것은 산, 낮은 것은 계곡,

내 낭군의 성은 (), ()伯玉(백옥),

재능은 많고, 智謀(지모)는 충분,

집은 장안에 있고, 몸은 지금 ()에 있습니다.

남편의 말이 이쪽에 자주 오지 않는다고 어찌 원망하겠습니까.

집에는 양 고기 천 근, 술 백 (), 아무 불편이 없습니다.

그대 말은 보리와 조로 살찌워 두겠습니다.

지금의 사람, 이 네 발의 반에 어떤 뜻이 있는가 아실 터이니,

속에 기록된 시가 읽기 어렵거든,

가운데서 읽기 시작해 내 귀로 돌며 읽어주세요.

 

蘇伯玉妻(소백옥처).... 신의 본문에서 성은 (), 자는 伯玉(백옥)이라는 것은 알아도 그 사람 傳記(전기)는 명백하지 아니하다.

盤中詩(반중시)... 遠行(원행)한 남편에게 보내어 집에 돌아오기를 권하는 ()의 편지. 1 은 큰 접시의 종류. 아마 이 시를 큰 盤中(반중)에 써서 보낸 것으로 본다.

妾有行(첩유행)... 善行(선행)이 있다는 뜻. 절개를 지킨다는 말.

黃者金(황자금)... 이하 四句(사구)姓字蘇(성자소)를 말하기 위한 序說(서설)이며, 바로 남 편 성명을 말하기를 삼간것으로 본다. 남편을 존중한는 뜻.

百斛(백곡)..... ()()과 같음.

知四足(지사족)... 반에 네 발이 있으므로 한 말. ()盤旋回歸(반선회귀)의 뜻이 있다.

今時人(금시인)... 今時人(금시인) 以下(이하)의 구는 시의 읽는 법을 ()한 것이며 () 本文(본문)은 아니다. 특히 今時人(금시인)이라 한 것은 남편에게 바로 말하는 것이 아니詩人(시인)에게 빗대어 간접적으로 말하는 형식을 택하므로 말을 외곡하는 用意周到(용의주도)함을 보였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1362
2063 영산홍2024.4.22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艶歌行(염가행) 청남 24-04-27 15
2062 영산홍2024.4.22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孤兒行(고아행) 청남 24-04-27 9
2061 박대기2024.4.20 (2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東門行(동문행) 청남 24-04-25 22
2060 박대기2024.4.20 (1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西門行(서문행) 청남 24-04-25 16
2059 박대기2024.4.20 (1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善哉行(선재행) 청남 24-04-25 20
2058 박대기2024.4.20 (1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相逢行(상봉행) 청남 24-04-23 18
2057 박대기2024.4.20 (1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君子行(군자행) 청남 24-04-23 18
2056 박대기2024.4.20 (1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長歌行(장가행) 청남 24-04-23 31
2055 봄맞이꽃2024.4.7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陌上桑(맥상상) 청남 24-04-21 35
2054 봄맞이꽃2024.4.7 (1).JPG 권삼) 漢詩(한시) 鷄鳴(계명) 청남 24-04-21 27
2053 벗꽃2024.4.11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蒿里曲(호리곡) 청남 24-04-21 23
2052 유체2024.4.11 (5).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薤露歌(해로가) 청남 24-04-19 34
2051 유체2024.4.11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江南(강남) 청남 24-04-19 14
2050 유체2024.4.11 (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箜𥱌引(공후인) 청남 24-04-19 18
2049 벗꽃2024.4.11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上邪(상사) 청남 24-04-19 23
2048 벗꽃24.4.5 (3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有所思(유소사) 청남 24-04-19 32
2047 벗꽃24.4.5 (3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樂府歌詞(악부가사) 臨高臺(임고대) 청남 24-04-19 22
2046 박태기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樂府歌詞(악부가사) 戰城南(전성남) 청남 24-04-16 36
2045 박태기 (4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天馬(천마) - 2. 樂府歌詞(악부가사) 청남 24-04-16 26
2044 박태기 (3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天馬(천마) - 1. 樂府歌詞(악부가사) 청남 24-04-16 2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