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飮馬長城窟行(음마장성굴행) 蔡邕(채옹)

청남

 

 

古詩源(고시원) () 卷三(권삼) 漢詩(한시)

飮馬長城窟行(음마장성굴행) 蔡邕(채옹)

 

 

靑靑河邊草(청청하변초)綿緜思遠道(면면사원도) 遠道不可思(원도불가사)

宿昔夢見之(숙석몽견지)夢見在我傍(몽견재아방)忽覺在他鄕(홀각재타향)

他鄕各異縣(타향각이현)展轉不可見(전전불가견)枯桑知天風(고상지천풍)

海水如天寒(해수여천한)入門各自媚(입문각자미)誰肯相爲言(수긍상위언)

客從遠方來(객종원방래)遺我雙鯉魚(유아쌍리어)呼兒烹鯉魚(호아팽리어)

中有尺索書(중유척색서)長跪讀索書(장궤독색서)書中竟如何(서중경여하)

上有加餐食(상유가찬식)下有長相憶(하유장상억)

 

강변에 파릇파릇 풀이 돋아나는 때가 되었는데도

낭군은 아직 돌아오지 않네.

내 생각은 끊임없이 멀리 있는 낭군을 사모하지만,

멀리 있으므로 그 보람도 없고, 다만 꿈에 볼 따름일세.

꿈속에 그이는 내 곁에 있지만,

깨고 나면 벌써 타향 사람이 되고 마네.

타향과 여기는 ()도 다르니,

그리움으로 가슴아파도 만날 수 없네.

지엽이 마르는 뽕나무를 보고,

하늘에 부는 바람의 강함을 알고,

바다물 찬 것을 보고는,

낭군이 있는 땅의 추이가 생각되네.

오는 사람들 모두 듣기 좋은 소리 하지만,

진실로 위로는 해 주지 않네.

때마침 멀리서 손님이, 내게 잉어 두 마리를 주었네.

아이를 불러 잉어를 찌랴 하는데,

배에서 흰 명주에 쓴 한 자 정도의 편지가 나왔네.

무릎 꿇고 그것을 읽었네.

글 속에 문구는 결국 어떤 것인가 하면,

처음에 몸을 소중히 하라라고 있고, 마지막에

언제 까지나 잊지 않으리.라고 있네.

 

飮馬長城窟行(음마장성굴행).... 萬里長城(만리장성)泉窟(천굴)에서 말에 물을 마시게하는 노래 라는 듯이지만, 趣旨(취지)는 멀리 出征(출정)한 남편을 생각하는 아내의 정 을 말한 것이다. 作家(작가)에 대해서는 眞僞(진위) 양설이 있다.

靑靑河邊草(청청하변초).... 같은 문구가 古詩(고시)19(), 第二首(제이수)에도 있다.

綿緜(면면)..... 생각이 간절하여 잊을 수 없는 것.

宿昔(숙석)..... 平常(평상)이라는 뜻. 떠는 지난 밤이라고 새석.

展轉(전전)..... 어리 쥐척 저리 뒤척 하면서 잠 자는 것.

枯桑知天風(고상지천풍), 海水如天寒(해수여천한).... 여기서는 뽕 잎이 마르 는 것을 보고 하늘에 바람이 센 것을 아는데, 그 쪽에서는 사막의 물이 어는 것을 보고 하늘이 추 워짐을 알것이지...라고도 해석함.

入門各自媚(입문각자미), 誰肯相爲言(수긍상위언).... 이 두 구에도 여러 가지 주석이 있다. 처가 밖에서 돌아오니...라고 해석하는가 하면, 또는 만일 남편이 돌아 왔다면 사람들은 아부하며 맞이하였을 것을...이라고도 해석한다. 그러나 홀로 사는 쓸쓸한 처가, 사람들이 위로하는 말도 헛인사로만 듣는 편협한 여자의 마음 이라고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음.

雙鯉魚(쌍리어)... 信書(신서). 고기는 물 속에 깊이 들어가 있으므로, 비유해서 비밀을 요하는 信書(신서)라고 해석함. 단 실재로 잉어 속에 서신을 넣은 것이 아니고 봉투 의 매듭을 雙鯉魚形(쌍리어형)으로 한 것이라고 丹鉛錄(단연록)에서 말하고 있음.

長跪(장궤)..... 상체를 그대로하고 무릎을 끓은 인사법.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1385
2043 백매화.24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惟泰元(유태원) 樂府歌詞(악부가사) 청남 24-04-12 35
2042 목련24.3.30 (2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玄冥(현명) 樂府歌詞(악부가사) 청남 24-04-12 27
2041 목련24.3.30 (2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西顥(서호) 樂府歌詞(악부가사) 청남 24-04-12 22
2040 목련.24.3.31 (1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朱明(주명) 청남 24-04-10 41
2039 목련.24.3.31 (1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靑陽(청양) 청남 24-04-10 21
2038 목련.4.4.3 (29).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連時日(연시일) 樂府歌詞(악부가사) 청남 24-04-10 22
2037 개나리3.3.29 (1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梁甫吟(양보음) 諸葛亮(제갈량) 청남 24-04-07 38
2036 개나리3.3.29 (1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憤詩(비분시) -3. 蔡琰(채염) 청남 24-04-07 37
2035 개나리.4.4.3 (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憤詩(비분시) -2. 蔡琰(채염) 청남 24-04-07 25
2034 개나리.4.4.3 (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梁甫吟(양보음) 諸葛亮(제갈량) 청남 24-04-04 40
2033 개나리.4.4.3 (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憤詩(비분시) -3. 蔡琰(채염) 청남 24-04-04 36
2032 개나리.4.4.3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憤詩(비분시) -2. 蔡琰(채염) 청남 24-04-04 34
2031 봉곡사 (5).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悲憤詩(비분시) -1 蔡琰(채염) 청남 24-04-01 28
2030 법흥사 (9).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古怨歌(고원가) 寶玄妻(보현처) 청남 24-04-01 41
2029 무량사 (5).jpe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盤中詩(반중시) 蘇伯玉妻(소백옥처) 청남 24-04-01 30
2028 마곡사 (6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董嬌嬈(동교요) 宋子侯(송자후) 청남 24-04-01 33
2027 개나리3.3.29 (7).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羽林郞(우림랑) 辛延年(신연년) 청남 24-03-30 58
2026 개나리3.3.29 (6).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雜詩(잡시) 孔融(공융) 청남 24-03-30 32
2025 개나리3.3.29 (5).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留郡贈婦詩(유군증부시) -4. 秦嘉(진가) 청남 24-03-30 39
2024 당아욱.24.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三(권삼) 漢詩(한시) 留郡贈婦詩(유군증부시) -3. 秦嘉(진가) 청남 24-03-26 4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