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封禪頌(봉선송) 司馬相如(사마상여)

청남

 

 

古詩源(고시원) ()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封禪頌(봉선송) 司馬相如(사마상여)

 

自我天覆(자아천복) 雲之油油(운지유유) 甘露時雨(감로시우)

厥壤可遊(궐양가유) 滋液滲漉(자액삼록) 何生不育(하생불육)

嘉穀六穗(가곡육수) 我穡曷蓄(아색갈축) 非惟雨之(비유우지)

又潤澤之(우윤택지) 非惟徧之我(비유편지아) 氾布濩之(범포호지)

萬物熙熙(만물희희) 懷而慕思(회이모사) 名山顯位(명산현위)

望君之來(망군지래) 君乎君乎(군호군호) 侯不邁哉(후불매재)

般般之獸(반반지수) 樂我君囿(낙아군유) 白質黑章(백질흑장)

其儀可嘉(기의가가) 旼旼穆穆(민민목목) 君子之態(군자지태)

蓋聞其聲(개문기성) 今觀其來(금관기래) 厥塗靡蹤(궐도미종)

天瑞之徵(천서지징) 玆亦于舜(자역우순) 虞氏以輿(우씨이여)

濯濯之麟(탁탁지린) 游彼靈畤(유피령치) 孟冬十月(맹동십월)

君徂郊祀(군조교사) 馳我君輿(치아군여) 帝用享祉(제용향지)

三代之前(삼대지전) 蓋未嘗有(개미상유) 宛宛黃龍(완완황룡)

興德而升(흥덕이승) 采色炫燿(채색현요) 熿炳煇煌(황병휘황)

正陽顯見(정양현견) 覺悟黎蒸(각오여증) 於傳載之(어전재지)

云受命所業(운수명소업)厥之有章(궐지유장) 不必諄諄(불필순순)

依類託寓(의류탁우) 諭以封巒(유이봉만)

 

우리 天帝(천제) 武帝(무제)가 천하를 통치함에 이르러,

구름은 자꾸 일고 때를 맞추어 甘雨(감우)가 내려서

토지는 비옥하고 사람들은 즐겁게 살수 있게 되었네.

만물을 생장시키는 비가 잘 와서 자라지 않는 생물이 없네.

기쁜 것은 한 줄기에 6개의 곡식 이삭이 나는 풍작,

수확해서 어떻게 저장 할까.

하늘은 비를 뿌릴 뿐만 아니라 만물을 적시며,

그것을 내 일신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것에 베풀어주네.

그래서 만물은 和樂(화락)하고 하늘을 곤경하며 고마워하네.

이렇게 덕이 있는 하늘이므로,

名山封禪(명산봉선)의 단도 군이 와서 제사 들릴 것을 바라고 있네.

()이여, ()이여, 어찌 나오시지 아니하나이까.

무늬도 아름다운 騶虞(추우) 짐승이

우리 ()의 동산에 와서 놀고 있네.

흰 바탕에 검은 모양, 容態(용태)의 아름다움이여

의젓하고 거룩하며 마치 君子(군자)의 모습이네.

옛날부터 騶虞(추우)라는 이름은 들었으나,

지금 비로소 온 것을 보았네.

그가 온 길에는 발자국도 없네.

이것은 하늘이 주는 상스러운 징조일 것일세.

옛날, ()의 시절에도 이와 같은 瑞祥(서상)이 있어,

帝舜有虞氏(제순유우씨)는 그로부터 번성 했다네.

우리 조정의 융창도 기대 할만 하다네.

토실토실 살이 찐 ()祭祀(제사) 마당에 나타났네.

初冬(초동) 10, 우리 군이 郊外(교외)에서 제사를 지낼 때,

()()의 차 앞에 다가왔네.

이것은 天帝(천제)가 제사를 應感(응감)하고,

복을 내리시는 것이라네.

이와 같은 경사는 삼대의 옛날에는 있어도 근간에는 없는 일이네.

다음에는 꿈틀 꿈틀하는 黃龍(황룡)

()()에 감응해서 하늘에 올랐다네.

그 문체의 빛나는 모양.

이같이 正陽(정양)의 상징인 ()이 나타나,

군의 威德(위덕)을 민중에게 깨우쳤다네.

이것을 古書(고서)의 기록에 따라 생가 한다면,

()天命(천명)을 받은 天子(천자)의 탈것이라 하네.

더욱 더 경사스러운 일일세.

그러나 하늘은 祥瑞(상서)로서 그 뜻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말로 차근차근 설명하는 것은 아니네.

騶虞(추우), 白麟(백린), 黃龍(황룡)과 같은 것으로서 뜻을 담아보내어,

天子(천자)()이 갖추어졌음을 나타내고,

泰山(태산)封禪(봉선)하라 하시는 것이네.

 

司馬相如(사마상여)(179-117).... ()長卿(장경) 蜀郡成都(촉군성도)의 사람. 武帝( ) 時孝文園(시효문원)령이 되어서, 司馬文園(사마문원) 라고도 함. 辭賦(사부)에 능하여 많은 명작을 남겼다.

封禪頌(봉선송)... 相如(상여)가 병으로 茂陵(무릉)에 있는 집에 있을 때, 武帝(무제)가 사람을 보내어 ()를 구하였으나, 람이 오기 전에 그는 이미 죽어버렸다. 그의 처가 遺言(유언)에 따라 올린 ()封禪文(봉선문)이며 이 () 後半(후반). 全文(전문)史記(사기) 漢書(한서)本傳(본전) 文選 (문선) 48에 있다.

天覆(천복)..... 하늘이 온 세상을 덮는 것. 요기서는 ()武帝(무제)에 비유함.

油油(유유)..... 구름이 많이 일어나는 모양.

甘露(감로), 時雨(시우).... 甘露(감로)는 천하가 태평할 때 오는 비라고 함. 時雨(시우)는 때 마 추어 잘 오는 비를 말함.

滋液滲漉(자액삼록).... 滋液(자액)은 위에 甘露(감로)時雨(시우). 滲漉(삼록)는 촉촉이 적시고 숨어듬.

我穡曷蓄(아색갈축).... 무엇을 저장하는 곳.

熙熙(희희)..... 和樂(화락)하는 모양.

名山顯位(명산현위).... 名山(명산)泰山(태산). 顯位(현위)封禪(봉선)을 말 함.

般般(반반)..... 무늬의 모양.

旼旼穆穆(민민목목).... 旼旼(민민)(), 穆穆(목목)().

君子之態(군자지태).... ()군를 본문에서는 ()으로 함.

濯濯(탁탁)..... 노는 모양. 혹은 ()라는 뜻이라고도 함.

孟冬十月(맹동십월).... 漢書(한서) 武帝紀(무제기)元狩(원수) 元年( ) 冬十月(동십월)()行幸(행행)하고 五時(오시)에 제사지내고 (백린)을 얻어 白麟歌(백린가)를 지었다라고 있음.

宛宛(완완).... 屈伸하는 모양.

正陽顯見(정양현견).... 正陽(정양)()을 말함.

於傳載之(어전재지).... 易經(역경) 乾卦(건괘)時龍(시룡) 六龍(육룡)이라는 말이 있음.

厥之有章(궐지유장).... 하늘은 그 뜻을 나타내는데 만드시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증조로서 나타 .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1351
1999 24백운온실 (5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怨歌行(원가행) 班婕妤(반첩여) 청남 24-03-17 45
1998 24백운온실 (2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怨詩(원시) 王昭君(왕소군) 청남 24-03-15 66
1997 24백운온실 (19).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拊缶歌(부부가) 楊惲(양운) 청남 24-03-15 46
1996 24백운온실 (1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淋池歌(임지가) 昭帝(소제) 청남 24-03-15 40
1995 24백운온실 (17).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歌(가) 華容夫人(화용부인) 청남 24-03-15 42
1994 단풍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歌(가) 燕刺王旦(연자왕단) 청남 24-03-13 77
1993 단풍 (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歌(가) 1首 李延年(이연년) 청남 24-03-13 66
1992 단풍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別歌(별가) 李陵(이능) 청남 24-03-13 52
1991 능소화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與蘇武詩(여소무시) 3首(수) -3. 李陵(이능) 청남 24-03-11 80
1990 능소화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與蘇武詩(여소무시) 3首(수) -2. 李陵(이능) 청남 24-03-11 177
1989 능소화 (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與蘇武詩(여소무시) 3首(수) -1. 李陵(이능) 청남 24-03-11 68
1988 노루귀 (11).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詩(시) 四首(사수)-4. 蘇武(소무) 청남 24-03-09 318
1987 노루귀 (10).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詩(시) 四首(사수)-3. 蘇武(소무) 청남 24-03-09 98
1986 노루귀 (9).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詩(시) 四首(사수)-2 蘇武(소무) 청남 24-03-09 62
1985 노루귀 (8).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詩(시) 四首(사수)-1 蘇武(소무) 청남 24-03-09 84
1984 나ㅏ리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白頭吟(백두음) 卓文君(탁문군) 청남 24-03-06 100
나팔꽃23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封禪頌(봉선송) 司馬相如(사마상여) 청남 24-03-06 82
1982 나리4.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悲愁歌(비수가) 烏孫公主(오손공주) 청남 24-03-02 64
1981 나리4 (2).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誡子詩(계자시) 東方朔(동방삭) 청남 24-03-02 69
1980 나리3.JPG 古詩源(고시원) 上(상) 卷二(권이) 諷諫詩(풍간시) 韋孟(위맹) 청남 24-03-02 6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