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고전의 향기


[일반 ] 早秋(조추) 魚玄機(어현기)

청남

 

 

早秋(조추) 魚玄機(어현기)

 

嫩菊含新彩(눈국함신채遠山閒夕煙(원산한석연)

涼風驚綠樹(량풍경록수淸韻入朱弦(청운입주현)

思婦機中錦(사부기중금征人塞外天(정인색외천)

雁飛魚在水(안비어재수書信若爲傳(서신약위전)

 

조추

 

국화 벌써 새 꽃망울 맺고

먼 산엔 저녁노을 아련한데

서늘한 바람 불자 나무들은 놀라도

바람소리 ()과 잘 어울리네.

 

남편생각으로 아내는 베를 짜고

전선에 나간 사람 요새밖에 있는데

기러기 날고 잉어 물속에 있어도

서신을 어찌 전해야 하나.

 

早秋(조추) 初秋(초추)

嫩菊(눈국) 어린 국화.

新彩(신채) 새로 핀 아름다운 꽃.

涼風(량풍) 가을에 부는 시원 바람.

淸韻(청운) 맑은 가을바람과 거문고 소리가 서로 어울리는 것.

思婦(사부) 남편을 생각하고 있는 처.

() 베틀.

() 비단. 남편의 옷을 지을 천. 唐代(당대)에는 군복을 官給(관급)이 아니고 각자 자기 집에서 지어서 입었다.

征人(정인) 국경을 지키는 남편.

() 국경. 요새

雁魚(안어) 모두 편지를 전하는 동물로 알려 져 있음. 雁書(안서) 雁帛(안백) 등이 편지를 나타 내는 것은 蘇武(소무)匈奴(흉노)에게 잡혀 있을 때, ()에서는 天子(천자) 上林園(상림원)에서 ()을 활로 쐈는데, 발에 천이 감겨 있었다. 거기에 蘇武( )의 글이 적혀있어, 匈奴(흉노)使節(사절)에 말한 결과 고향으로 소환된 사실 에서 片紙(편지)()이 연관이 있다. 물고기는 古樂府(고악부)멀리서 나그 네가 와서 내게 잉어를 준다. 잉어 배를 가르니 그 속에 편지가 있다. 꿇어앉자 편 지를 읽어보니, 위에 餐飯(찬반)을 더하라는 말이 있고 아래에 오래도록 사모한다. 는 말이 적혀 있었다. 그 이후 편지를 双鯉(쌍리) 双魚(쌍어) 또는 尺素(척소)라고 하게 되었다.

 

解說

국화가 꽃망울을 맺었다. 먼 산은 저녁노을로 아련한데, 지금 까지 없던 서늘한 바람이 불어와 나무들은 놀라고 있다. 그 바람소리에 거문고 소리도 서로 뒤섞여 더 맑게 울린다. 벌써 가을이 되었다. 남편이 국경경비로 소집된 집에서는 처가 남편을 생각하며 겨울 옷 준비를 하느라 베를 짜기 시작한다.

국경에 있는 남편도 요새 부근이 추워지기 시작하자 집에서 오는 소식을 기다리고 있을 거다. 기러기와 잉어가 소식을 전한 다는 말을 들었으나 그것은 이야기에 불과하며, 기러기도 날고 있고 잉어도 헤엄치고 있으나 실제로 그것은 믿을 수 없고, 어떻게 하면 소식을 바로 전할 수 있을까?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주옥과 같은 고전들을 만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8607
2492 연상홍 (1).jpg 新野道中(신야도중)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7-02 8
2491 연산홍ㅍ (4).JPG 峴山和孟公韻(현산화맹공운)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7-02 4
2490 연산홍10.JPG 灞橋寄內二首(파교기내이수)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30 16
2489 연산홍9.JPG 冶春絶句(야춘절구)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30 9
2488 연산홍.2024.5.2 (5).JPG 羊太傳祠(양태전사)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28 20
2487 연산홍.2024.5.2 (4).JPG 漢江望鹿門山(한강망녹문산)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28 14
2486 연산홍(집)2024.4.19 (12).JPG 戲仿元遺山論詩絕句三十二首(희방원유산론시절구삼십이수) 3.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26 23
2485 연산홍(집)2024.4.19 (12).JPG 戲仿元遺山論詩絕句三十二首(희방원유산론시절구삼십이수) 2.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26 14
2484 연산홍 우리집.jpg 五更山行之屈沱謁三閭大夫廟(오경산행지굴타알삼려대부묘)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24 19
2483 연산홍 24.3 (5).JPG 白帝城謁昭烈武侯廟(백제성알소렬무후묘)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24 12
2482 연산홍 (96).jpg 戲仿元遺山論詩絕句三十二首(희방원유산론시절구삼십이수) 1 ​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22 65
2481 연산홍 (94).jpg 春遊日懷古(춘유일회고)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22 52
2480 연산홍 (72).jpg 壤塗早發(양도조발)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20 109
2479 연산홍 (70).jpg 大磯腦卽日(대기뇌즉일)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20 104
2478 연산홍 (48).JPG 眞州絶句(진주절구)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18 137
2477 연산홍 (46).JPG 樊圻畫(번기화 2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18 130
2476 樊圻畫(번기화) 1 王士禎(왕사정)- 청남 25-06-16 139
2475 연산홍 (23).JPG 秦淮雜詩(진회잡시) 1 王士禎(왕사정) 2 청남 25-06-16 135
2474 연산홍 (1).JPG 犍為道中(건위도중)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14 143
2473 연꽃23..jpg 洗墨池(세묵지) 王漁洋(왕어양) 청남 25-06-14 13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