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우리의 강산


[일반 ] 병꽃 전설.

청남

 

병꽃 전설.

 

하늘의 왕은 온 산천을 아름다운 꽃으로 장식하는 꽃의 여신을 무척 어여삐보고 사랑하였다. 꽃의 여신이 아니었다면 헐벗은 맨땅과 바위뿐인 산하를 비단같이 아름답게 꾸며주고, 또한 벌이나 나비들에게 달콤한 꿀을 줄 수 있도록 배려하며 꽃을 심어주는 꽃의 여신은 아무리 생각해도 고맙고 대견해서이다..

 

 

그르나 이런 것을 보고 못 참고 심술을 부리는 것은 바람의 신이었다. 바람의 신은 아무리 시원한 바람을 부러 보내 산과들을 산쾌하게 해도 한 번도 하늘의 신으로부터 칭찬을 받아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늘의 사랑은 받는 꽃의 여신을 이유없이 미워하고, 꽃의 여신이 애써 만들어놓은 꽃을 센 바람을 불어 꽃잎을 날려버리기도 하고 때로는 더 센 바름으로 꽃대를 꺾어 버리기도 하며 늘 심술을 부려 왔다.

 

 

그래서 이번에도 하늘의 신으로부터 초청받아 그 정원서 행복해 하는 꽃의 신을 도저히 그냥 볼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어쨌든 히방을 놓고 싶어 기회만 보고 있었다.

그때 마침 꽃의 여신이 물을 마시려 저원 탁자 위에 있는 물병을 들고 컵에 물을 따르려는 순간 바람의 신은 회오리바람을 매우 쎄게 불어 물병을 탈쳐 땅에 떨어드리게 했다.

 

 

수정으로 만든 그 귀한 물병은 땅에 떨어지자 돌에 부디쳐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다. 꽃의 여신은 깜짝 놀라 어절 줄을 모르고 그만 울음을 터트리고 말았다. 멀리서 이 관경을 지켜보고 있던 하늘의 신은 꽃의 여신에게 다가가서 병이 깨어진 것은 바람의 탓이니 울지 말라고 달래주었다.

 

 

하늘의 꽃명을 깨트린 죄책감으로 한동안 고민하던 꽃의 여신은 하로 한 개씩 꽃으로 물병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00일만에 100송이 물병이 완성되자 하늘나라 궁전에 가서 100송이 병이 담긴 꽃나무를 심었다.

그 곷나무가 바로 병꽃나무이라고 한다.

 

 

하늘의 신은 꽃의 여신을 칭찬하며 애써 만든 이 꽃을 하늘나라에만 심지 말고 땅에도 심으라고 하여 하늘뿐만이 아니고 우리가사는 인간 세상에도 심게 되었는데, 바람의 신이 아무리 심술을 부려도 떨어지지 않게 단단하게 나무에 매달아서 어지간한 바람에도 지지 않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서 병꽃은 바람에도 강한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8.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8. 國之貧於師者遠輸(국지빈어사자원수) 遠輸則百姓貧(원수칙백성빈) 【解】 전쟁 때문에 나라의 경제가 가난해지는 것은, 군수물자를 멀리까...

    24.04.15 /청남 /93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7.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7. 善用兵者(선용병자) 役不再籍(역부재적) 糧不三載(양부삼재) 取用于國(취용우국) 糧于敵(인량우적) 軍食可足也(고군식가족야) 【解】 ...

    24.04.15 /청남 /80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6.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6. 故不盡知用兵之害者(고부진지용병지해자) 則不能盡知用兵之利也(칙부능진지용병지리야) 【解】 그르므로 用兵(용병)으로 인한 해로움을 충분...

    24.04.15 /청남 /81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5.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5. 夫兵久而國利者(부병구이국리자) 未之有也(미지유야) 【解】 대체로, 장기전이 국가에 이익을 가져 온 적은 별로 없다. 【注】 國利者...

    24.04.14 /청남 /93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4.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4. 故兵聞拙速(고병문졸속) 未睹巧之久也(미도교지구야) 【解】 그른 까닭에, 전쟁은 전략이 졸렬해도 단기전으로 끝나는 것이 좋으며, 장...

    24.04.14 /청남 /84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3.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3. 夫鈍兵挫銳(부둔병좌예) 屈力殫貨(굴력탄화) 則諸侯乘其弊而起(칙제후승기폐이기) 雖有智者(수유지자) 不能善其后矣(부능선기후의) 【解】...

    24.04.14 /청남 /84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2.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2. 其用戰也貴勝(기용전야귀승) 久則鈍兵挫銳(구칙둔병좌예) 攻城則力屈(공성칙력굴) 久暴師則國用不足(구포사칙국용부족) 【解】 싸움은 이기...

    24.04.11 /청남 /104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1

    孫子兵法(손자병법) 2. 作戰篇(작전편) - 1 작전이란 전쟁을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전쟁을 수행하는데는 많은 인력과 물자와 비용과 돈이 든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만...

    24.04.11 /청남 /84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始計篇(시계편) - 26.

    孫子兵法(손자병법) 始計篇(시계편) - 26. 夫未戰而廟算勝者(부미전이묘산승자) 得算多也(득산다야) 未戰而廟算不勝者(미전이묘산부승자) 得算少也(득산소야) 多算勝(다산승) 少算不勝(...

    24.04.11 /청남 /82

  • 대표사진 孫子兵法(손자병법) 始計篇(시계편) - 25.

    孫子兵法(손자병법) 始計篇(시계편) - 25. 此兵家之勝(차병가지승) 不可先傳也(부가선전야) 【解】 병가가 승리하는 방법이니, 저쪽에 먼저 알려서는 아니된다. 【注】 此(차)......

    24.04.09 /청남 /8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