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諺文眞書 섞어作 (한문과 국문을 섞은 시)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諺文眞書 섞어(한문과 국문을 섞은 시)

 

金笠(김입: 삿갓) .

 

諺文眞書섞어 언문진서섞어작

是耶非耶皆吾子 시야비야개오자

 

<>

국문과 한문을 섞어서 지은 나의 시를 보고

옳으니 그르니 하는 놈은 모두 내 아들놈이다.

 

[]

사대주의사상이 농후한 그 당시의 선비들은 국문과 한문을 섞어서 지은 金笠의 글을 보고 너무나 말이 많았다.

그래서 그러한 몰지각한 무리들에게 욕을 퍼부었다.

 

諺文..... 언문, 한글을 낮추어서 하는 말

眞書..... 진서, 한문을 일컫는 말

是耶..... 시야, 옳다고 하는 사람

非耶..... 비야, 잘못이라고 하는 사람

吾子..... 오자, 내 아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928 고가 임청각 (4).jpg 李氏之三女吟(이씨집 셋째 딸)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30 234
927 고가 김방경제사.jpg 吟空歌(공상의 노래)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30 233
926 경치북5.jpg 偶吟(우연히 읊음) 二(이)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30 203
925 경치북4.jpg 偶吟(우연한 감회) 一(일)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30 224
924 경치 주산지16 (6).jpg 與趙雲卿上樓(조운경과함께 누각에서)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9 196
923 경치 주산지16 (6).jpg 與詩客詰言居(시객과 더불어 꾸짖음)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9 234
922 경치 주산지16 (5).jpg 諺文風月(풍월)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9 212
경치 월송정 (3).jpg 諺文眞書 섞어作 (한문과 국문을 섞은 시)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9 228
920 경치 안동댐 안개 (1).jpg 諺文詩(국문시)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8 241
919 경치 안개 안동댐 (2).jpg 眼昏(눈이 흐림)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8 272
918 경치 안개 안동댐 (1).jpg 僧風惡(고약한 중)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8 182
917 경치 마애동 (5).jpg 山所訴出(산소 고발)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8 204
916 _MG_9882.JPG 思鄕(고향생각) 二이)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7 197
915 _MG_9324.JPG 思鄕(고향 생각) 一(일)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7 220
914 _MG_9289.JPG 貧吟(가난을 읊음)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7 228
913 _MG_9275.JPG 鵑花消息(진달래 소식을 묻다)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7 240
912 00올리브3.jpg 無題(무제)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6 215
911 00설경1.jpg 墓爭(묘 다툼)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6 240
910 00박물9.jpg 輓詞(만사) 二(이)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6 217
909 00박물6.jpg 輓詞(만사) 一(일) 金笠(김입: 김삿갓) 시. 청남 23-10-26 22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