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隋詩(수시) 昔昔鹽(석석염) 薛道衡(설도형)

청남

 

隋詩(수시) 昔昔鹽(석석염) 薛道衡(설도형)

 

垂柳覆金堤(수류복금제)蘼蕪葉復齊(미무엽복제)水溢芙蓉沼(수일부용소)

花飛桃李蹊(화비도리혜)採桑秦氏女(채상진씨녀)織錦竇家妻(직금두가처)

關山別蕩子(관산별탕자)風月守空閨(풍월수공규)恒斂千金笑(항렴천금소)

長垂雙玉啼(장수쌍옥제)盤龍隨鏡隱(반용수경은)彩鳳逐帷低(채봉축유저)

飛魂同夜鵲(비혼동야작)倦寢憶晨雞(권침억신계)暗牖懸蛛綱(암유현주강)

空梁落燕泥(공양락연니)前年過代北(전년과대북)今歲往遼西(금세왕료서)

一去無消息(일거무소식)那能惜馬蹏(나능석마제)

 

늘어진 버들가지 금석으로 다진 제방을 덮고

천궁의 잎은 모두 가지런히 돋아났네.

물은 연꽃 연못에 넘치고, 꽃은 자두와 복숭아나무 아랫길에 떨어지네.

뽕 따는 것은 진씨 집 여자이며, 배 짜는 것은 竇家(두가)의 처와 같은 미녀.

그들은 關所(관소)의 산인 만리장성으로 간 남편과 해어져서 살며

風月(풍월)이 아름다운 밤에도 홀로 빈방을 지키네.

그래서 천금의 값이 있는 웃음을 감추고,

두 눈에서 구슬 같은 눈물을 오래도록 흘린다네.

남편이 없으니 보지도않는 용무늬 거울도 함 속에 치워버리고

봉의 무늬 아름답게 수놓은 휘장만 낮게 드리워져 있네.

남편 생각하는 혼은 까치와 함께 날라 그 곳을 방황하고

잠 못 이루는 방에서 닭이 우는 새벽만을 기다리네.

어두운 창에는 거미줄이 걸려있고,

텅빈 대들보엔 제비가 물고 온 흙만이 떨어지네.

전년에는 代郡(대군)의 북쪽을 지났고, 금년에는 遼水(요수) 서쪽에 갔다하는데

한번 떠난 이래 소식이 없으니, 어찌 그리 말달리기 아까와 돌아오지 않는가.

薛道衡(설도형)... 539609. 자는 ()(), 河東(하동) 汾陰(분음) 사람. ()歷任 (역임)하다가 수에 이르러 司隸大夫(사예대부)가 되었다. 그는 周隋(주수) 경에 명시가 있었으나, 煬帝(양제)의 미움을 사서, 大業(대업) 5, 당시의 정치를 논한 것이 원인이 되어 죽음을 당했다.

昔昔鹽(석석염)... 樂府(악부) 近代歌辭(근대가사). 昔昔(석석)夕夕(석석). 夜夜曲(야야곡).

金堤(금제)....... 金石(금석)과 같이 굳은 제방.

蘼蕪(미무)....... 川芎(천궁)의 싹. 楚辭(초사) 九歌(구가) 少司命(소사명)秋蘭(추란)蘼蕪 (미무)라고 있다.

桃李蹊(도리혜)... 桃李(도리) 꽃나무 밑에 자연히 생긴 길.

秦氏女(진씨녀)... 秦羅敷(진나부). ()樂府(악부上桑( 상상)에 나오는 美人(미인).

竇家妻(두가처)... ()竇滔(두도)의 처. 蘇惠(소혜), 자는 若蘭(약란). 竇滔(두도)가 유랑 하다가 다른 여자를 얻었을 때, 그녀는 비단으로 廻文詩(회문시)를 짜서 보 냈다.

蕩子(탕자)...... 遊子(유자). 멀리 타관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

空閨(공규)...... 남편이 없는 빈 閨房(규방).

雙玉啼(쌍옥제)... 南朝(남조) 사람들은 玉筯(옥저)를 눈물의 재명사로 썼다. 눈물을 白玉( )에 비유했다.

盤龍(반용)....... 거울 뒤에 장식으로 조각한 용.

彩鳳(채봉)....... 봉의 그림이 수놓인 휘장.

飛魂(비혼)....... 꿈 속에서 남편 곁에 날아가는 혼.

()............ ()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228 시무24.3 (71).JPG 隋詩(수시) 送別詩(송별시) 無名氏(무명씨) 청남 24-03-21 24
1227 DSC_0012.JPG 隋詩(수시) 書屛風詩(서병풍시) 大義公主(대의공주) 청남 24-03-19 20
1226 DSC_0008.JPG 隋詩(수시) 從軍行(종군행) 明餘慶(명여경) 청남 24-03-19 23
1225 DSC_0007.JPG 隋詩(수시) 和入京(화입경) 呂讓(여양) 청남 24-03-19 14
1224 24백운온실 (44).JPG 隋詩(수시) 賦得巖穴無結搆(부득암혈무결구) 王申禮(왕신례) 청남 24-03-17 28
1223 24백운온실 (43).JPG 隋詩(수시) 七夕看新婦隔巷停車(칠석간신부격항정차) ​陳子良(진자량) 청남 24-03-17 27
1222 24백운온실 (42).JPG 隋詩(수시) 送別(송별) 陳子良(진자량) 청남 24-03-17 32
1221 24백운온실 (10).jpg 隋詩(수시) 別徐永元秀才(별서영원수재) 孔紹安(공소안) 청남 24-03-15 26
1220 24백운온실 (9).jpg 隋詩(수시) 落葉(낙엽) 孔紹安(공소안) 청남 24-03-15 13
1219 24백운온실 (8).JPG 隋詩(수시) 夜宿荒村(야숙황촌) 孔德紹(공덕소) 청남 24-03-15 28
1218 단삼3.JPG 隋詩(수시) 送蔡君知入蜀(송채군지입촉) 孔德紹(공덕소) 청남 24-03-13 17
1217 단삼2.JPG 隋詩(수시) 別宋常侍(별송상시) 尹式(윤식) 청남 24-03-13 19
1216 단삼1.JPG 隋詩(수시) 別周記室(별주기실) 王胄(왕주) 청남 24-03-13 13
1215 느티나무 (3).JPG 隋詩(수시) 東歸在路率爾成咏(동귀재로솔이성영) 孫萬壽(손만수 청남 24-03-11 30
1214 느티나무 (2).JPG 隋詩(수시) 早發揚州還望鄕邑(조발양주환망향읍) 孫萬壽(손만수) 청남 24-03-11 26
1213 느티나무 (1).JPG 隋詩(수시) 和周記室遊舊京(화주기실유구경) 孫萬壽(손만수) 청남 24-03-11 17
1212 노루귀 (1).JPG 隋詩(수시) 入關(입관) 虞世基(우세기) 청남 24-03-08 29
1211 노랑꽃창포5.jpg 隋詩(수시) 出塞(출색) 虞世基(우세기) 청남 24-03-08 25
1210 노랑꽃창포4.jpg 隋詩(수시) 人日思歸(인일사귀) 薛道衡(설도형) 청남 24-03-08 20
1209 남천1.JPG 隋詩(수시) 敬酬楊僕射山齋獨坐(경수양복사산재독좌) 薛道衡(설도형) 청남 24-03-05 1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