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梁詩(양시) 天安寺疏圃堂(천안사소포당) 梁武帝(양무제)

청남

 

 

梁詩(양시) 天安寺疏圃堂(천안사소포당) 梁武帝(양무제)

 

 

乘和蕩猶豫(승화탕유예)此焉聊止息(차언료지식)連山去無限(연산거무한)

長洲望不極(장주망불극)參差照光彩(참차조광채)左右皆春色(좌우개춘색)

晻曖矚遊絲(엄애촉유사)出沒看飛翼(출몰간비익)其樂信難忘(기락신난망)

翛然寧有適(소연녕유적)                                                                               

 

봄의 화창한 기운 타고 느긋하게, 여기 잠시 머물러 쉬려하네.

연이은 산은 가도 가도 끝이 없고, 긴 섬을 바라봐도 한이 없네.

높고 낮게 봄빛은 비치고, 좌우에는 모두 봄이 한창일세

가물가물한 아지랑이 속에, 출몰하는 나는 새 보이는데

그 즐거움 진실로 잊기 어려우며, 무심한 가운데 오히려 기쁨이 있네.

 

天安寺疏圃堂(천안사소포당)...金陵(금능)에 가까운 天安寺(천안사)疏圃堂(소포당).

乘和(승화)....... 봄의 화창한 기운을 타고 불어오는 따뜻한 바람.

蕩猶豫(탕유예)... 한가로이 서성인다.

此焉(차언)........ 여기에.

參差(참차)........ 높고 낮게.

晻曖(엄애)....... 어두컴컴해서 흐미함.

遊絲(유사)....... 아지랑이.

翛然(소연)....... 自然無心(자연무심)한 모양. 莊子 대종사편에 蕭然(소연)히 가고 蕭然( )히 올 뿐이다라고 있다.

 

<>

이 시는 양나라의 무제(양무제)가 쓴 '천안사 소포당'이라는 시입니다. 이 시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을 표현하고 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평온한 순간을 감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의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乘和蕩猶豫此焉聊止息"에서는 봄의 따뜻한 기운이 불어오며 여유롭게 머물러 쉬려는 순간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봄의 화창한 기운이 느긋함을 가져다주며, 이 순간을 즐기려고 합니다.

 

"連山去無限長洲望不極"에서는 연이은 산이 멀리 끝도 없이 이어지고, 긴 섬이 끝이 보이지 않는 것처럼 넓게 펼쳐져 있다는 풍경을 묘사합니다.

 

"參差照光彩左右皆春色"에서는 햇빛이 각각의 곳에 다르게 비치며 봄의 아름다운 색감을 언급합니다. 좌우 어느 곳이나 봄의 화창한 색깔이 넘쳐납니다.

 

"晻曖矚遊絲出沒看飛翼"에서는 어두컴컴한 아지랑이 속에서 나타나고 사라지는 새의 비행을 묘사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욱 감상합니다.

 

"其樂信難忘翛然寧有適"에서는 이 순간의 기쁨을 다시는 잊을 수 없을 것이며, 이런 순간을 지나치게 감상하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에 마음을 담긴 표현입니다.

 

이 시는 자연과 평온한 순간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담아내며, 봄의 아름다움과 자연의 무심한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미적인 경험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028 놀이1 (3).jpg 梁詩(양시) 藉田(자전)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3 100
놀이 무용3 (4).jpg 梁詩(양시) 天安寺疏圃堂(천안사소포당)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3 130
1026 김삿갓215 (22).jpg 梁詩(양시) 東飛伯勞歌(동비백노가)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2 123
1025 김삿갓215 (20).jpg 梁詩(양시) 河中之水歌(하중지수가)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2 160
1024 김삿갓215 (18).jpg 梁詩(양시) 擬靑靑河畔草(의청청하반초)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2 147
1023 김삿갓215 (16).jpg 梁詩(양시) 西洲曲(서주곡)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2 137
1022 김삿갓215 (14).jpg 梁詩(양시) 逸民(일민) 梁武帝(양무제) 청남 23-12-12 104
1021 구름 하늘 (17).jpg 齊詩(제시) 東昏時百姓歌(동혼시백성가) 無名氏(무명씨) 청남 23-12-11 122
1020 구름 하늘 (15).jpg 齊詩(제시) 北戍瑯琊城詩(북수랑야성시) 江孝嗣(강효사) 청남 23-12-11 154
1019 구름 하늘 (13).jpg 齊詩(제시) 臨江王節士歌(임강왕절사가) 陸厥(육궐) 청남 23-12-11 103
1018 구름 하늘 (11).jpg 齊詩(제시) 遊太平山(유태평산) 孔稚圭(공치규) 청남 23-12-11 131
1017 구름 하늘 (9).jpg 齊詩(제시) 有所思(유소사) 劉繪(유회) 청남 23-12-10 119
1016 구름 하늘 (7).jpg 齊詩(제시) 別詩(별시) 張融(장융) 청남 23-12-10 178
1015 구름 하늘 (5).jpg 齊詩(제시) 和王友德元古意(화왕우덕원고의) 二首 (이수) 2. 王維(왕유) 청남 23-12-10 150
1014 구름 하늘 (3).jpg 齊詩(제시) 和王友德元古意(화왕우덕원고의) 二首 (이수) 1. 王維(왕유) 청남 23-12-10 116
1013 구름 하늘 (2).jpg 齊詩(제시) 蕭諮議西上夜集(소자의서상야집) 王融 청남 23-12-10 195
1012 고가한옥3.jpg 齊詩(제시) 離夜(이야) 謝脁(사조) 청남 23-12-07 139
1011 고가한옥1.jpg 齊詩(제시) 和王中丞聞琴(화왕중승문금) 謝脁(사조) 청남 23-12-07 124
1010 고가유적1.jpg 齊詩(제시) 和江丞北戍瑯琊城(화강승북수랑야성) 謝脁(사조) 청남 23-12-07 121
1009 고가섯2 (2).jpg 齊詩(제시) 新治北窗和何從事(신치북창화하종사) 謝脁(사조) 청남 23-12-07 9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