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隋詩(수시) 遊梁城(유양성) 慮思道(여사도)

청남

 

 

隋詩(수시) 遊梁城(유양성) 慮思道(여사도)

 

 

揚鑣歷汴浦(양표력변포)迴扈入梁墟(회호입양허)漢藩文雅地(한번문아지)

淸塵曖有餘(청진애유여)賓遊多任俠(빈유다임협)臺苑盛簪裾(대원성잠거)

歎息徐公劍(탄식서공검)悲涼鄒子書(비량추자서)亭皐落照盡(정고락조진)

原野沍寒初(원야호한초)鳥散空城夕(조산공성석)煙鎖古樹疎(연쇄고수소)

東越嚴子陵(동월엄자릉)西蜀馬相如(서촉마상여)修名竊所慕(수명절소모)

長謠獨課虛(장요독과허)

 

재갈을 높이 당겨 말을 달려서 汴河(변하) 포구를 지나

從者(종자)를 뒤돌려 옛 ()의 성터로 들어갔네.

()藩屛(번병)으로 시문을 짖던 문학의 땅인데

그때의 맑은 행적이 아직도 희미하게 남아있는 듯 하네.

빈객도 많았고 의협심에 몸을 던지는 사람도 많았고

樓臺(누대)와 정원에는 관을 쓰고 긴 관복을 입은 사람의 출입이 많았으리.

季禮(계례)가 검을 徐君(서군) 묘 앞에 걸고 갔다는 이야기에 탄식감명하고

참언으로 투옥된 鄒陽(추양)이 올린 상서의 일을 슬프게 생각한다네.

宿陽(숙양) 정자 옆 늪에 해가 저물고

평원에는 모든 것이 다 얼어붙는 겨울이 시작되니

새들은 날아가고 인기척 없는 성벽은 저물어가는데

저녁 노을 그치니 고목들 듬성하네.

東越(동월)嚴光(엄광) 子陵(자능)은 절개를 지키고 굴하지 아니했고

西蜀(서촉)司馬相如(사마상여)는 관직을 물러나서 子虛賦(자허부) 지었는데

그들의 이름을 나는 마음속으로 흠모하는 바이며

나도 그들과 같이 長篇(장편)을 지으려 했는데 헛되이 이 시가 되고 말았네.

 

 

慮思道(여사도)... 531582. 자는 子行(자행). 河北省(하북성) 사람. ()文宣帝(문선 ) 밑에서 給事黃門侍郞(급사황문시랑)에 이르고, ()에 들어가 掌敎上 (장교상사)가 되었으며, () 開皇(개황) 초에 散騎常侍(산기상시)가 되 었다가 졸하였다.

梁城(양성)....... 河南省(하남성) 開封(개봉). 汴河(변하)가에 있는 古城(고성).

揚鑣(양표)....... 재갈을 올려 말을 빨리 달리게 함.

()............ 從者(종자). 뒤따르는 자.

漢藩(한번)...... ()의 왕조를 지키는 울타리 역할을 하는 친척의 諸侯(제후).

文雅地(문아지)... 문학이 성한 땅. 司馬相如(사마상여), 枚乘(매승) 등의 문인이 객이 되어 있 었다.

淸塵曖有餘(청진애유여)... 맑은 먼지. 孝王(효왕)의 차 뒤에 일어나는 먼지가 지금도 남아 있는 . 왕의 맑은 행적이 지금도 기리진다.

徐公劍(서공검)... 劉向(유향)新序(신서)()延陵(연능)季子(계자) 보검으로 차 고 서쪽 진나라로 갈 때 徐君(서군)에게 들린다. 서군은 말을 하지 않았지만 눈치로 이를 좋아하는 듯 했다. 계자 마음으로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진에서 돌아와 보니, 서군은 이미 죽었다. 그래서 검을 서군 묘 앞 나무에 걸어두고 떠났다.라고 있다.

悲涼鄒子書(비량추자서)... 鄒陽(추양)이 의심받고 믿어주지 않는 고충을 옥중에서, 양의 孝王( )에게 올린 글을 슬프게 생각한다.

東越嚴子陵(동월엄자릉)... 嚴光(엄광), 자는 子陵(자능), 東漢(동한) 사람. 동한의 光武帝(광무 )와 학우, 光武(광무)가 즉위하자 이름을 바꾸고 몸을 감추어 나타나지 않 았다.()는 그를 찾아 諫議大夫(간의대부)를 명했으나 관직에 오리지 아 니하고, 富春山(부춘산)에서 농사를 지으면 살았다.

西蜀馬相如(서촉마상여)... 司馬相如(사마상여), 한의 孝王(효왕)과 놀고, 武帝(무제)의 총애를 받 은 문인, 西蜀(서촉) 成都(성도) 출신.

()....... 시도한다.

()........ 노력의 보람도 없이 시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208 난초4.jpg 隋詩(수시) 昔昔鹽(석석염) 薛道衡(설도형) 청남 24-03-05 23
난초2.jpg 隋詩(수시) 遊梁城(유양성) 慮思道(여사도) 청남 24-03-05 25
1206 나리꽃 (10).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9. 楊素(양소) 청남 24-03-04 25
1205 나리꽃 (9).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8. 楊素(양소) 청남 24-03-04 21
1204 나리꽃 (7).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7. 楊素(양소) 청남 24-03-04 33
1203 나리 (12).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6. 楊素(양소) 청남 24-03-01 19
1202 나리 (10).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5. 楊素(양소) 청남 24-03-01 22
1201 나리 (9).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4. 楊素(양소) 청남 24-03-01 40
1200 24인비촬영1 (2).jpg 隋詩(수시)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3. 楊素(양소) 청남 24-02-28 18
1199 24인비촬영1 (1).jpg 隋詩(수시)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2. 楊素(양소) 청남 24-02-28 43
1198 24년 인비촬영 (11).jpg 隋詩(수시) 贈薛播州(증설파주)- 1. 楊素(양소) 청남 24-02-28 35
1197 24년 인비촬영 (2).jpg 隋詩(수시) 山齋獨坐贈薛內史(산재독좌증설내사) 二首(이수)-2. ​楊素(양소) 청남 24-02-27 38
1196 24년 인비촬영 (1).jpg 隋詩(수시) 山齋獨坐贈薛內史(산재독좌증설내사) 二首(이수)-1. ​ 楊素(양소) 청남 24-02-27 34
1195 꽃잔디(22).JPG 隋詩(수시) 白馬篇(백마편) 煬帝(양제) 청남 24-02-27 99
1194 기린초5 (2).JPG 隋詩(수시) 飮馬長城窟行示從征羣臣(음마장성굴행시종정군신) ​ 煬帝(양제) 청남 24-02-23 52
1193 기린초4.JPG 北周詩(북주시) 渡河北(도하북) 王褒(왕포) 청남 24-02-23 42
1192 기린초3.JPG 北周詩(북주시) 關山篇(관산편) 王褒(왕포) 청남 24-02-23 44
1191 기린초2.JPG 北周詩(북주시) 重別周尙書(중별주상서) 庾信(유신) 청남 24-02-23 44
1190 국화3.jpg 北周詩(북주시) 和侃法師(화간법사) 庾信(유신) 청남 24-02-20 36
1189 국화2.jpg 北周詩(북주시) 寄徐陵(기서릉) 庾信(유신) 청남 24-02-20 5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