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唐詩(당시) 飮中八仙歌(음중팔선가) 杜甫(두보)

청남

 

 

唐詩(당시) 飮中八仙歌(음중팔선가) 杜甫(두보)

 

 

知章騎馬似乘船(지장기마사승선) 眼花落井水底眼(안화낙정수저안)

 

汝陽三斗始朝天(여양삼두시조천) 道逢麴車口流涎(도봉국차구유연)

恨不移封向酒泉(한부이봉향주천)

 

左相日興費萬錢(좌상일흥비만전) 飮如長鯨吸百川(음여장경흡백천)

銜杯樂聖稱避賢(함배악성칭피현)

 

宗之瀟灑美少年(종지소쇄미소년) 擧觴白眼望靑天(거상백안망청천)

皎如玉樹臨風前(교여옥수임풍전)

蘇晉長齌繡佛前(소진장제수불전) 醉中往往愛逃禪(취중왕왕애도선)

李白一斗詩百篇(이백일두시백편) 長安市上酒家眠(장안시상주가면)

天子呯來不上船(천자평래부상선) 自稱臣是酒中仙(자칭신시주중선)

張旭三杯草聖傳(장욱삼배초성전) 脫帽露頂王公前(탈모로정왕공전)

揮毫落紙如雲煙(휘호낙지여운연)

焦遂五斗方卓然(초수오두방탁연) 高談雄辯驚四筵(고담웅변경사연)

 

賀知章(하지장)이 말에 탄 모습은 흔들흔들 마치 배를 탄 것 같고

취안 몽롱하여 우물에 빠지면 옛 이야기에 있듯이 그대로 거기서 잠들리.

 

汝陽王(여양왕) 李璡(이진)은 서 말의 술을 먹고 조정에 나가는데

길가에서 누룩 실은 차를 만나자 술 생각이 나서 침을 흘렸고

자기 封土(봉토)酒泉(주천)으로 옮기지 못한 것을 아쉬워 했다네.

 

左丞相(좌승상) 李適之(이적지)는 하루에 萬錢(만전)을 쓰는데

마치 고래가 百川(백천)의 물을 마시듯 술을 마시고

술잔을 기울이며 성인의 경지를 즐기고 현인을 피한다고 말을 한다네.

 

崔宗之(최송지)는 용모 아름다운 미소년인데

잔을 들고 푸른 하늘을 쳐다보는 모습은

마치 옥과 같은 나무가 바람에 나붙기는 것같이 맑기만 하네

 

蘇晉(소진)은 불교에 귀의해서 刺繡(자수)한 부처 앞에 예배하고 있는데

취하면 왕왕 좌선을 합니다하며 속인을 쫓아버리는 버릇이 있네.

 

李白(이백)은 한 말 술 마시면 시가 백 편 생기는데

長安(장안) 시장 술집에서 취해 자는 수가 자주 있고

天子(천자)가 불러도 너무 취해 궁중 연못 유람선에 탈수가 없으며

스스로 말하기를 신은 酒中(주중)의 신선이올시다예사로 말 했다네.

 

張旭(장욱)은 우선 석잔을 마시면 草聖(초성)이라는 妙筆(묘필)를 휘두르고

취하면 왕후귀족 앞에서도 예사로 모자를 벗고 머리를 나타내며

붓을 들어 종이에 대면 글자가 구름같이 연기같이 약동을 하네.

 

焦遂(초수)는 다섯 말을 마셔야 비로소 반듯해지고

취기가 돌아야만 高遠(고원)雄辯(웅변)은 사방 사람을 놀라게 하네.

 

飮中八仙歌(음중팔선가)... 당시 酒豪(주호)로 소문난 8명을 골라 순서대로 소개한 내용임. 天寶 (천보) 56년의 작품이라 생각된다. 시속에 左相(좌상) 李適之(이적지) 재상자리에서 물러난 것이 천보 54월이니까 그 이전의 작품은 아닐 것이 . 다음해 이적지는 자살을 했다. 蘇晉(소진)開元(개원) 22년에 죽었다. 아마도 두보는 소진과 교재가 없었던 것으로 추측한다.

知章(지장)..... 賀知章(하지장: 659744)는 젊을 때부터 문장가로 알려 졌으나, 開元( ) 26년이래 太子賓客(태자빈객) 秘書監(비서감) 직에 있었고, 天寶( ) 3道士(도사)가 도기 원해서 향리에 돌아갈 것을 원했다. 노령이고 또 한 오랫동안의 공로도 있어 허락을 받게 되었다. 秘書監(비서감) 시대에 마 을에 놀며 술을 마시고, 스스로 四明狂客(사명광객)이라 일컬었다.

眼花(안화)..... 취해서 눈이 번쩍번쩍하는 것.

落井水底眼(낙정수저안)... 抱朴子(포박자) 전에 내가 祖仙公(조선공)을 따라 크게 취하면 깊은 연못 속에 들어가 나오지 않는다라고 있다.

汝陽(여양)...... 汝陽王(여양왕) 李璡(이진). 玄宗(현종)의 족하.

朝天(조천)...... 조정에 出使(출사)하다. 천자를 謁見(알현)하다.

三斗(삼두)...... 지금의 약 석되.

酒泉(주천)....... 酒泉郡(주천군). 지금의 甘肅省(감숙성) 성밑에 金泉(금천)이 있고 맛이 좋 아서 술과 같았다고 한다.

左相(좌상)...... 李適之(이적지). 天寶(천보) 원년에 左相(좌상)이 되었다.

日興(일흥)...... 매일의 유흥. 빈객을 불러 연회를 여는 비용을 아끼자 않았다는 말.

樂聖稱避賢(악성칭피현)... () 나라 때 금주령이 내렸으므로 음밀히 술을 마실 때, 淸酒(청주) 를 성인, 濁酒(탁주)를 현인이라 했다.

宗之(종지)...... 崔宗之(최종지), 日用(일용)의 아들로 齋國公(재국공)襲封(습봉)해서 御史(시어사)가 되었으나 金陵(금능)으로 유배되어, 거기 있던 李白(이백) 만나 詩酒(시주)를 함께 했다.

瀟灑(소쇄)....... 깨끗하고 맑다.

白眼(백안)...... ()阮籍(원적)이 친구는 靑眼(청안)으로 보고, 속인은 白眼(백안)으로 보았다는 데서 나온 말.

玉樹(옥수)...... 용모가 高潔(고결)함을 이르는 말.

蘇晉(소진:?734)... 조정의 문장을 집필하면서 賈曾(가증)과 함께 이대문장가로 지목되었으며, 開元(개원) 14, 吏部侍郞(이부시랑)이 되고, 太子左庶子(태자좌서자)에 이 르렀다. ()로 된 미륵불을 얻어 보물로 생각하고 지녔다.

長齌(장제)...... 장기간의 精進(정진).

繡佛(수불)...... 오색 실로 자수를 놓은 불상.

逃禪(도선)....... 좌선을 한다는 핑계로 속인을 피한다.

不上船(부상선)... 玄宗(현종)이 궁정 白蓮池(백련지)에서 배를 타고 시문의 서를 지으려고 (이백)을 불렀는데, 그는 이미 취해 있어 혼자 배를 타지 못하니 高將軍 (고장군)에게 부축해서 타게 했다, 라는 기록이 있다.

張旭(장욱: 675750)... 그는 글씨를 잘 썼는데, 취해서 붓을 잡으면 변화무쌍하고 神技(신기) 가 나타난다.

草聖(초성)....... 초서의 명인. 이 칭호는 後漢(후한)張芝(장지)로부터 비롯되었다.

落紙(낙지)...... 붓으로서 종이에 글을 씀.

焦遂(초수)...... 傳記(전기) 불명. 일생동안 관직에 나가지 않으며 두보, 孟雲卿(맹운경), (도현) 등의 벗으로서 이름이 남아 있다.

卓然(탁연)...... 반듯하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708 조옥화 21.jpg 唐詩(당시) 哀江頭(애강두) 杜甫(두보) 청남 19-03-26 1645
조옥화 20.jpg 唐詩(당시) 飮中八仙歌(음중팔선가) 杜甫(두보) 청남 19-03-26 2016
706 蘇東坡(소동파) 倦夜(권야) 청남 19-03-22 1379
705 길5.JPG 蘇東坡(소동파) 遷居之夕聞鄰舍兒誦書欣然而作(천거지석문린사아송서흔연이작) 청남 19-03-22 1321
704 蘇東坡(소동파) 上元夜過赴儋守召獨坐有感(상원야과부담수소독좌유감) 청남 19-03-22 1235
703 唐詩(당시) 江上吟(강상음) 李白(이백) 청남 19-03-21 1443
702 唐詩(당시) 烏夜啼(오야제) 李白(이백) 청남 19-03-21 1380
701 蘇東坡(소동파) 食荔支 二首 -2- 청남 19-03-18 1222
700 강물.jpg 蘇東坡(소동파) 蝶戀花(접련화) 청남 19-03-18 1590
699 51스케트.jpg 蘇東坡(소동파) 新年(신년) 五首(오수) -1- 청남 19-03-18 1304
698 51백로.jpg 蘇東坡(소동파) 荔支嘆(려지탄) 청남 19-03-18 1381
697 蘇東坡(소동파) 四月十一日初食荔支(사월십일일초식려지) 청남 19-03-18 1432
696 蘇東坡(소동파) 和陶歸園田居六首 -4- 청남 19-03-18 1157
695 蘇東坡(소동파) 和陶歸園田居六首 -3- 청남 19-03-18 1269
694 권장생-3.JPG 唐詩(당시) 陪竇侍御泛靈雲池(배두시어범영운지) 高適(고적) 청남 19-03-17 1254
693 구름1.jpg 唐詩(당시) 送紫司戶充劉卿判官之嶺外(송자사호충유경판관지령외) 高適(고적) 청남 19-03-17 1154
692 관음오관2.jpg 唐詩(당시) 陪張丞相自松滋江東泊渚宮(배장승상자송자강동박저궁) 孟浩然(맹호연) 청남 19-03-17 1175
691 唐詩(당시) 送儲邕之武昌(송저옹지무창) 李白(이백) 청남 19-01-22 1447
690 唐詩(당시) 送祕書晁監還日本國(송비서조감환일본국) 王維(왕유) 청남 19-01-22 1408
689 唐詩(당시) 送李太守赴上洛(송이태수부상낙) 王維(왕유) 청남 19-01-20 14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