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唐詩(당시) 靈隱寺(영은사) 駱賓王(낙빈왕)

청남

 

 

唐詩(당시) 靈隱寺(영은사) 駱賓王(낙빈왕)

 

鷲嶺鬱岧嶢(취령울초요)龍宮鎖寂寥(용궁쇄적요)樓觀滄海日(누관창해일)

門對浙江潮(문대절강조)桂子月中落(계자월중낙)天香雲外飄(천향운외표)

捫蘿登塔遠(문나등탑원)刳木取泉遙(고목취천요)霜薄花更發(상박화갱발)

冰輕葉互凋(빙경엽호조)夙齡尙遐異(숙령상하이)披對滌煩囂(피대척번효)

待入天台路(대입천태로)看余渡石橋(간여도석교)

鷲嶺(취령)은 울창하고 봉우리 높으며

龍宮(용궁)과도 같은 절은 적막 속에 잠겨 있네

누각에서 바라보니 滄海(창해)에서 해뜨는 것 보이고

문을 나서니 浙江(절강)의 조수 소리 웅장하게 들리네

달 속의 계수나무 씨앗을 여기 떨어지니

하늘의 향기 구름 밖까지 가득하네

탑에 오르려면 넝쿨 잡고 멀리 가야하고

물은 나무를 깎은 대롱으로 먼 곳 샘에서 끓어오네

겨울인대도 서리 적으니 온갖 꽃 피어있고

얼음 엷으니 잎은 번 갈라 시들어 푸른 잎도 남아있네

나는 젊을 때부터 세간과 다른 불교를 숭상했는데

지금 여기 와서 절을 대하니 속세의 번민 모두 사라지네

불도의 깨달음을 얻고 天台山(천태산)에 들어갈지도 모르니

생사를 해탈한 돌다리를 건너는 내 모습 보이고 싶네.

靈隱寺(영은사).... 浙江省(절강성) 抗州(항주)의 서쪽, 武林山(무림산)에 있는 절. () (함화) 연간에 창건되었다. 그때부터 인도의 승 慧理(혜리)靈隱山(영은 )天竺山(천축산) 사이에 올라가서 이는 중천축국의 靈鷲山(영취산) 작은 봉우리다.하며 여기에 암자를 짓고 靈隱(영은)이라 이름하였으며, 산을 飛來((래봉)이라 불렀다.

鷲嶺(취령)....... 석가모니가 기거했다는 耆闍窟山(기도굴산)의 뜻은 靈鷲山(영취산)이고 산 모양이 독수리와 같이 보였으므로 鷲嶺(취령)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여기서 武林山(무림산)을 말한다.

()............ 산이 높이 솟은 모양.

岧嶢(초요)....... 높이 솟은 봉우리의 모양.

龍宮(용궁)........ 절을 말함.

門對浙江湖(문대절강호)... 抗州灣(항주만)錢塘江(전당강)과 이어져 있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강 폭이 좁아져 있으므로 만조 때는 高潮(고조)현상이 일어나, 逆流(역류)해서 맹렬한 소리를 내며 조수가 밀어닥친다. 이것을 浙江(절강)潮水(조수) 고 하며, 이 지방의 명물이 되어 있다. 음력 818일 경의 潮水(조수)는 대 단하므로 구경꾼이 많이 모인다.

桂子(계자)...... 계수나무 씨앗. 달나라에는 커다란 계수나무가 있다는 전설이 있고, 抗州( )에 잘 없는 계수나무의 씨앗이 어디선가 떨어지는 것을 달에서 떨어지는 계수나무 씨앗이라고 하는 전설이 있다.

天香(천향)...... 하늘에서 떨어진 계수나무의 향기.

刳木(고목)...... 나무를 파서 수로를 만들어 먼데 물을 끌어오도록 한 것.

花更發(화갱발)... 한가지 꽃이 다피면 다른 꽃이 또피는 것.

葉互凋(엽호조)... 잎이 한꺼번에 시드는 것이 아니고 순차적으로 점점 시들어 가는 것.

夙齡(숙령)........ 젊을 때.

遐異(하이)........ 세간과 많이 다른 것. 여기서는 불교를 말한다.

披對(피대)........ 흉금을 열고 상대한다. 찾아서 구한 것을 만나다.

煩囂(번효)........ 속세의 번잡하고 거치장 스러운 일.

天台(천태)....... 天台山(천태산)石橋(석교)가 있는데 넓이는 한 자가 못되고, 길이는 數十 (수십보), 그 아래는 만 길이나 되는 깊은 계곡. 오직 생사를 초월하고 (자신)을 잊은 자만이 거기를 건널 수 있다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688 唐詩(당시) 奉和聖製暮春送朝集使歸郡應制(봉화성제모춘송조집사귀군응제) 王維(왕유) 청남 19-01-20 1761
687 唐詩(당시) 奉和聖製送尙書燕國公說赴朔方軍(봉화성제송상서연국공설부삭방군) 張九齡(장구령) 청남 19-01-20 1241
686 唐詩(당시) 酬趙二侍御史西軍贈兩省舊寮之作(수조이시어사서군증량생구료지작) 張九齡(장구령) 청남 19-01-20 1344
685 唐詩(당시) 和許給事直夜簡諸公(화허급사직야간제공) 張九齡(장구령) 청남 19-01-20 1432
684 唐詩(당시) 奉和聖製早度蒲關(봉화성제조도포관) 張九齡(장구령) 청남 19-01-20 1430
683 唐詩(당시) 奉和聖製途經華嶽(봉화성제도경화악) 張說(장설) 청남 19-01-20 1304
682 唐詩(당시) 同餞陽將軍兼原州都督御史中丞(동전양장군겸원주도독어사중승) 蘇頲(소정) 청남 19-01-20 1340
681 唐詩(당시) 早發始興江口至虛氏村作(조발시흥강구지허씨촌작) 宋之問(송지문) 청남 19-01-17 1419
680 唐詩(당시) 和姚給事寓直之作(화요급사우직지작) 宋之問(송지문) 청남 19-01-17 1374
679 唐詩(당시) 奉和晦日幸昆明池應制(봉화회일행곤명지응제) 宋之問(송지문) 청남 19-01-15 1360
678 唐詩(당시) 奉和幸長安故城未央宮應制(봉화행장안고성미앙궁응제) 宋之問(송지문) 청남 19-01-15 1179
677 唐詩(당시) 同韋舍人早朝(동위사인조조) 沈佺期(침전기) 청남 19-01-15 1324
676 唐詩(당시) 酬蘇員外味玄夏晩寓直省中見贈(수소원외미현하만우직생중견증) 沈佺期(심전기) 청남 19-01-15 1601
675 唐詩(당시) 贈蘇味道(증소미도) 杜審言(두심언) 청남 19-01-15 1508
674 唐詩(당시) 峴山懷古(현산회고) 陳子昻(진자앙) 청남 19-01-15 1418
673 唐詩(당시) 白帝城懷古(백제성회고) 陳子昻(진자앙) 청남 19-01-13 1487
672 唐詩(당시) 奉和幸韋嗣立山莊應制(봉화행위사입산장응제) 李嶠(이교) 청남 19-01-13 1378
671 唐詩(당시) 在廣文崔馬二御史竝登相臺(재광문최마이어사병등상대) 蘇味道(소미도) 청남 19-01-13 1341
670 唐詩(당시) 宿溫城望軍營(숙온성망군영) 駱賓王(낙빈왕) 청남 19-01-13 1535
唐詩(당시) 靈隱寺(영은사) 駱賓王(낙빈왕) 청남 19-01-13 167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