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北周詩(북주시) 商調曲(상조곡) 其二(기이) 庾信(유신)

청남

 

 

北周詩(북주시) 商調曲(상조곡) 其二(기이) 庾信(유신)

 

 

禮樂旣正(예악기정) 神人所以和(신인소이화) 玉帛有序(옥백유서)

志欲靜干戈(지욕정간과)各分符瑞(각분부서) 俱誓裂山河(구서열산하)

今日相樂(금일상락) 對酒且當歌(대주차당가) 道德以喩(도덕이유)

聽撞鐘之聲(청당종지성)神姦不若(신간불약) 觀鑄鼎之形(관주정지형)

酆宮旣朝(풍궁기조) 諸侯于是穆(제후우시목) 岐陽或狩(기양혹수)

淮夷自此平(회이자차평)若涉大川(약섭대천) 言憑于舟檝(언빙우주즙)

如和鼎實(여화정실) 有寄於鹽梅(유기어염매) 君臣一體(군신일체)

可以靜氛埃(가이정분애)得人則治(득인칙치) 何世無奇才(하세무기재)

 

 

신을 ()지내는 예의와 음악은 바르게 행해지고

신과 인간이 서로 화합하여 허물이 없다.

옥과 비단으로 천자에게 조공을 드리는 제후의 위에는 바른 순서가 있고

그 뜻은 방패와 창의 전쟁을 고요하게 함에 있다.

모두 제후의 표식인 銅虎符(동호부)竹使符(죽사부) 등을 나눠 갖고

함께 맹세하고 산하의 영토를 분활해서 다스리고 있다.

오늘 君臣(군신)이 함께 즐기면서

술을 대하며 잠시 노래를 부르게 되었다.

도덕으로서 깨우치고, 종소리를 들으며 현자 생각을 한다.

신과 간사한 무리가 해를 입히고 순종하지 않을 때는

쇠를 부어 만든 九鼎(구정)의 도형을 보는 거다.

()康王(강왕)酆宮(풍궁)에시 제후를 모아 조회를 하였고

제후는 여기에서 서로 공경하고 화목하였다.

()成王(성왕)岐山(기산) 남쪽에서 제후를 모아 수렵을 하였는데

淮水(회수) 부근의 오랑캐를 영기서 평정했다.

尙書(상서) 說命(열명)에서 이르듯 만일 큰 강을 건너려면

배와 닻에 의지하게 된다.

만일 () 속에 국 맛을 맞추려면, 그것은 소금과 매실에 의한다.

이와 같이 군신이 일체가 됨으로서

세상에 분분한 티끌과 같은 분쟁을 종용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훌륭한 신하를 얻으면 나라는 잘 다스려 진다.

어느 세대인들 뛰어난 인재가 없으랴.

<반드시 있을 것이니 좋은 신하를 구해야 한다.>

 

玉帛有序(옥백유서)... 제후가 회합을 하고 맹세하며, 혹은 來朝(내조)하거나 使者(사자)를 보낼 , 옥과 비단을 왕에게 바치는데, 이때 신분에 따라 순서가 있다.

分符瑞(분부서)... ()典瑞(전서)(). 鄭注(정주)()符信(부신)라고 있다. 천자의 명을 받은 信標(신표). 漢書(한서)銅虎符(동호부)竹使符 (죽사부)가 바로 그것이라 했다. 割符(할부)를 나누어 반쪽은 천자가 보관하 , 나머지 반을 使者(사자)에게 주어 證票(증표)로 한다.

對酒且當歌(대주차당가)... 술을 대하며 잠시 노래 부르고 시름을 잊지 않으면 않된다. () 曹操(조조)短歌行(단가행)술을 대하면 노래를 불러라. 이생이 얼마인 라고 있다.

聽撞鐘之聲(청당종지성)... 종 치는 소리를 들으며 현신을 얻으려는 생각을 한다. 禮記(예기) 樂記 (악기편)군자 종소리를 들으면 즉 武臣(무신)을 생각한다라고 있다.

酆宮旣朝(풍궁기조)... ()은 지금의 陜西省(협서성) 西安(서안)에 있고, 동쪽에 靈臺(영대) 있다. 康王(강왕) 여기서 제후와 조회를 했다.

 

岐陽或狩(기양혹수)... 岐山(기산)의 남쪽, 지금의 陜西省(협서성) 鳳翔府(봉상부)에 제후를 모야 수렵을 했다.

淮夷(회이)...... 書經(서경) 서에 成王(성왕) 동쪽의 淮夷(회이)를 치고, 드디어 () 짓밟다.라고 있다. 淮夷(회이)(), () 나라.

若涉大川(약섭대천)... 書經(서경) 說命篇(설명편)만일 그대 큰 강을 건너려면, 배와 노를 장 만하라和羹(화갱)을 만들려면 鹽梅(염매)로 맛을 내어라라고 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188 국화1.jpg 北周詩(북주시) 梅花(매화) 庾信(유신) 청남 24-02-20 80
1187 국화 (25).jpg 北周詩(북주시) ​詠畫屛風詩(영화병풍시) - 2. 庾信(유신) 청남 24-02-20 40
1186 고추나물2.jpg 北周詩(북주시) ​詠畫屛風詩(영화병풍시) 庾信(유신) 청남 24-02-16 36
1185 고추4.jpg 北周詩(북주시) 奉和永豐殿下言志(봉화영풍전하언지) ​庾信(유신) 청남 24-02-16 48
1184 고추3.jpg 北周詩(북주시) 和王少保遙傷周處士(화왕소보요상주처사) 庾信(유신) 청남 24-02-16 58
1183 고추2.jpg 北周詩(북주시) 喜晴應詔敕自疏韻(희청응조칙자소운) 庾信(유신) 청남 24-02-16 66
1182 개똥쑥 (3).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8. 庾信(유신) 청남 24-02-13 53
1181 개똥쑥 (2).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7. 庾信(유신) 청남 24-02-13 35
1180 개똥쑥 (1).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6. 庾信(유신) 청남 24-02-13 31
1179 개구리밥풀n.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5. 庾信(유신) 청남 24-02-11 59
1178 감7.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4. 庾信(유신) 청남 24-02-11 47
1177 감5 (2)-2.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3. 庾信(유신) 청남 24-02-11 41
1176 감5 (2)-1.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2. 庾信(유신) 청남 24-02-11 90
1175 감5 (2).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1. 庾信(유신) 청남 24-02-11 56
1174 갑사 (12).jpg 北周詩(북주시) 至老子廟應詔(지노자묘응조) 庾信(유신) 청남 24-02-07 40
1173 갑사 (11).jpg 北周詩(북주시) 同慮記室從軍(동려기실종군) 庾信(유신) 청남 24-02-07 70
1172 갑사 (6).jpg 北周詩(북주시) 奉和泛江(봉화범강) 庾信(유신) 청남 24-02-07 64
1171 갑사 (5).jpg 北周詩(북주시) 對酒歌(대주가) 庾信(유신) 청남 24-02-07 82
1170 호수1.jpg 北周詩(북주시) 烏夜啼(오야제) 庾信(유신) 청남 24-02-05 70
현우경치 (57).JPG 北周詩(북주시) 商調曲(상조곡) 其二(기이) 庾信(유신) 청남 24-02-05 5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