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北周詩(북주시) 喜晴應詔敕自疏韻(희청응조칙자소운) 庾信(유신)

청남

 

 

北周詩(북주시) 喜晴應詔敕自疏韻(희청응조칙자소운) 庾信(유신)

 

御辯誠膺錄(어변성응록)維皇稱有建(유황칭유건)雷澤昔經漁(뇌택석경어)

負夏時從販(부하시종판)柏梁驂駟馬(백양참사마)高陵馳六傳(고릉치육전)

有序屬賓連(유서속빈련)無私表平憲(무사표평헌)河堤崩故柳(하제붕고류)

秋水高新堰(추수고신언)心齌愍昏塾(심제민혼숙)樂徹憐胥怨(낙철련서원)

禪河秉高論(선하병고론)法輪開勝辯(법륜개승변)王城水鬫息(왕성수함식)

洛浦河圖獻(낙포하도헌)伏泉還習坎(복천환습감)歸風已回巽(귀풍이회손)

桐枝長舊圍(동지장구위)蒲節抽新寸(포절추신촌)山藪欣藏疾(산수흔장질)

幽棲得無悶(유서득무민)有慶兆民同(유경조민동)論年天子萬(논년천자만)

 

六氣(육기)正理(정리)로 천하를 다스려 天錄(천녹)으로 명을 받으니

우리 황제야 말로 만물이 따를 도를 세울 적합한 분이다.

옛날 () 임금은 雷澤(뇌택)에서 고기를 잡았고

負夏(부하)에서는 물건을 파는 일에 종사하였다.

漢武帝(한무제)柏梁(백양)에 대를 짓고 詩宴(시연)을 열었을 때

()孝王(효왕)은 사두마차를 타고 양에서 왔고

漢文帝(한문제)의 즉위 때는 張武(장무) 6명에게 명해서 傳車(전차)를 태워

長安(장안)에 보내 高陵(고능)에서 長安(장안)으로 들어갔다.

<우리 ()皇帝(황제) 즉위식도 이들과 비교된다.>

이재 長幼(장유)高下(고하)의 순서대로 衆客(중객)을 맞아

私心(사심)없이 공평한 法度(법도)를 밝게 하셨다.

근래 홍수 때문에 黃河(황하) 제방의 늙은 버들이 넘어지고

가을 물이 불어나 새로 만든 높은 뚝 가득 흐르고 있다.

천자는 백성이 수해로 어려움 당하는 것을 진심으로 걱정하며

음악의 연주를 중지하고 많은 사람의 재난을 불쌍이 여겼다.

禪宗(선종)의 높고 깊은 이론을 취해서

佛法(불법)의 훌륭한 辨說(변설)를 넓혀 供養(공양)을 하였다.

그래서 王城(왕성)에 두 강물이 넘쳐흐르는 것이 終熄(종식)되고

洛水(낙수)의 포구는 河圖(하도)가 나온 伏羲(복희)씨 때와 같이

땅 속에 숨어있는 샘은 주역의 坎卦(감괘)를 뜻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바람도 이미 자고 조용해져서 巽卦(손괘)를 나타낸다.

오동나무 가지는 둘래가 더 커지고, 부들은 새로운 눈이 움튼 것이다.

산과 숲은 여러 가지 해독이 있는 것을 기꺼히 감추니

세속을 떠나 幽居(유거)하는 자에게 근심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천자에게 경사가 있으면 모든 백성에게도 경사가 있으며

천자의 나이를 논하면 만민도 또한 장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喜晴(희청)....... 장마로 고생하다가 비가 그치고 수해가 없어진 기쁨을 노래하는 시.

自疏韻(자소운)... 자기가 운자를 골라 시를 지음.

御辯(어변)....... 莊子(장자)가 말하는 () () () () () () 六氣( )의 변하를 타는 것.

膺錄(응록)....... 圖籙(도록). 하늘이 주는 圖符(도부)()이라 한다. 군주가 천하를 보 전하는 것을 응록이라 한다.

()............ 우리 황제.

有建(유건)....... 皇極(황극)을 세우는 것. ()은 만물이 따를 최고의 표준.

雷澤(뇌택)........ 山東省(산동성)에 있는 지명. 史記(사기)()歷山(역산)에서 밭을 갈고 雷澤(뇌택)에서 고기를 잡다.라고 있다.

負夏(부하)....... 河南省(하남성)에 있는 지명.

柏梁(백양)........ 漢武帝(한무제)가 세운 ()의 이름. 군신을 모아 七言詩(칠언시)를 바치 게 했다.

驂駟馬(참사마)... 四頭馬車(사두마차)

屬賓連(속빈련)... 빈객을 모으다.

平憲(평헌)........ 공평한 법칙.

()............. 堤防(제방).

昏塾(혼숙)........ 수해로 마음이 괴로워, 다른 것은 아무 것도 모름.

樂徹(낙철)....... 음악을 중지하다.

胥怨(서원)....... 많은 사람들의 원한과 슬픔.

法輪(법륜)....... 佛法(불법)車輪(차륜)에 비유.

水鬫(수함)........ 물이 몹씨 격하게 흐름.

習坎(습감)........ 重水(중수) 坎卦(감괘). (). ()()가 겹친 모양. 홍수의 위험.

()............ ()을 뜻함. 順風(순풍).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188 국화1.jpg 北周詩(북주시) 梅花(매화) 庾信(유신) 청남 24-02-20 81
1187 국화 (25).jpg 北周詩(북주시) ​詠畫屛風詩(영화병풍시) - 2. 庾信(유신) 청남 24-02-20 40
1186 고추나물2.jpg 北周詩(북주시) ​詠畫屛風詩(영화병풍시) 庾信(유신) 청남 24-02-16 36
1185 고추4.jpg 北周詩(북주시) 奉和永豐殿下言志(봉화영풍전하언지) ​庾信(유신) 청남 24-02-16 48
1184 고추3.jpg 北周詩(북주시) 和王少保遙傷周處士(화왕소보요상주처사) 庾信(유신) 청남 24-02-16 58
고추2.jpg 北周詩(북주시) 喜晴應詔敕自疏韻(희청응조칙자소운) 庾信(유신) 청남 24-02-16 67
1182 개똥쑥 (3).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8. 庾信(유신) 청남 24-02-13 54
1181 개똥쑥 (2).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7. 庾信(유신) 청남 24-02-13 35
1180 개똥쑥 (1).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6. 庾信(유신) 청남 24-02-13 31
1179 개구리밥풀n.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5. 庾信(유신) 청남 24-02-11 59
1178 감7.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4. 庾信(유신) 청남 24-02-11 47
1177 감5 (2)-2.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3. 庾信(유신) 청남 24-02-11 42
1176 감5 (2)-1.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2. 庾信(유신) 청남 24-02-11 90
1175 감5 (2).jpg 北周詩(북주시) 擬詠懷(의영회) -1. 庾信(유신) 청남 24-02-11 57
1174 갑사 (12).jpg 北周詩(북주시) 至老子廟應詔(지노자묘응조) 庾信(유신) 청남 24-02-07 40
1173 갑사 (11).jpg 北周詩(북주시) 同慮記室從軍(동려기실종군) 庾信(유신) 청남 24-02-07 70
1172 갑사 (6).jpg 北周詩(북주시) 奉和泛江(봉화범강) 庾信(유신) 청남 24-02-07 64
1171 갑사 (5).jpg 北周詩(북주시) 對酒歌(대주가) 庾信(유신) 청남 24-02-07 83
1170 호수1.jpg 北周詩(북주시) 烏夜啼(오야제) 庾信(유신) 청남 24-02-05 71
1169 현우경치 (57).JPG 北周詩(북주시) 商調曲(상조곡) 其二(기이) 庾信(유신) 청남 24-02-05 5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