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唐詩(당시)聞笛(문적) 張巡(장순)

청남

 

 

唐詩(당시)聞笛(문적) 張巡(장순)

岧堯試一臨(초요시일임)虜騎附城陰(노기부성음)不辨風塵色(불변풍진색)

安知天地心(안지천지심)門開邊月近(문개변월근)戰苦陣雲深(전고진운심)

旦夕更樓上(단석갱루상)遙聞橫笛音(요문횡적음)

높은 성벽에 올라 시험삼아 한번 내려다보니

蠻族(만족)의 기병 성벽 그늘에 붙어 있네.

 

풍진은 끝이 없어 이를 다 말할수 없고

그들의 만행을 보니 천지 신령의 마음 알길이 없네

문을 여니 변경의 달이 가까이 들어오고

고전은 계속되어 진영 깊이 암담한 구름 깊게 깔리네

아침저녁 시각을 알리는 누각 위

멀리서 들리는 橫笛(횡적) 소리.

聞笛(문적)....... 安祿山(안록산)의 반란으로 睢陽城(수양성)을 사수하여 반란군의 저항과 싸 우던 때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張巡(장순: 709757)... 河東(하동) 사람. 넓게 群書(군서)에 통하고 戰陣(전진)에 밝았다. (개원)24년 진사. 太子通事舍人(태자통사사인), 淸河令(청하령)을 거처 源令(진원 )이 되었다. 天寶(천보) 15년 정월, 安祿山(안록산)의 장수 通晤(장통오)宋曹 (송조) 등의 ()를 함락하고 다가왔을 때, 譙郡( )의 태수 楊萬石(양만석)은 적에게 투항하고 張巡(장순)에게 협박하여 (장사)로 삼고, 서쪽의 적군을 맞이했다. 장순은 부하관리들을 인솔하여 (현원)황제 사당에 곡하고, 군사를 일으켜 적을 칠 것을 결심했다. 처음에 천 여명이 그에게 응했다. 그로부터 수만 명의 기병과 악전고투를 반복했다. 그 뒤 삼천의 군사를 거느리고 睢陽城(수양성)에 가서 태수 許遠(허원)과 만 姚闣(요당), 雷萬春(뢰만춘), 南霽雲(남제운) 등의 장수와 힘을 합쳐 (선전) 孤軍奮鬪(고군분투)해서 잘 성곽을 지켜나갔다. 상석인 許遠(허원) 張巡(장순)의 용법능력을 인정하고 스스로 총지휘관을 위임하고 그 휘하 에 들어갔다. 至德(지덕)2, 安祿山(안록산)이 암살되고 그의 아들 慶緖( )가 장수 尹子琦(윤자기)를 시켜 10만의 대군으로 睢陽城(수양성)을 포위 하고 맹공을 가했다. 그해 10, 드디어 힘이 모자라 성은 함락되고 () 은 전사했다. 그때 나이 49. 대소 400(), 적장을 배기를 300, 적병을 죽이기 10여만, ()()을 재생시킨 공은 그가 제1이라고 일컫는다.

岧堯(초요)....... 높은 솟은 모양.

虜騎(노기)....... 蠻族(만족)騎兵(기병).

 

不辨風塵色(불변풍진색)... 풍진 즉 병란의 성질을 잘 말할 수 없다면 어찌 천지의 바른 마음을 이 해할 수 있겠는가

旦夕(단석)...... 朝夕(조석)

更樓(갱루)....... 성안에 있으며 북이나 종으로 시각을 알리는 누각.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648 唐詩(당시) 解題(해제) 청남 18-12-20 1501
647 주산지가을1.jpg 金笠(김입) 霽後回頭詩(비온 뒤의 경치) 청남 18-12-11 1504
646 주산지가을2.jpg 金笠(김입) 卽吟(즉흥) 청남 18-12-11 1420
645 주산지가을3.jpg 金笠(김입) 川獵(천렵) 청남 18-12-11 1609
644 주산지만추1.jpg 金笠(김입) 祝文詩(욕으로된 축문) 청남 18-12-11 1700
643 주산지1.jpg 唐詩(당시) 船下虁州郭宿雨濕不得上岸別王十二判官(선하기주곽숙우습불득상안별왕십이판관) 杜甫 청남 18-12-11 1362
642 주산지2.jpg 唐詩(당시) 登岳陽樓(등악양루) 杜甫(두보) 청남 18-12-11 1617
641 주산지3.jpg 唐詩(당시) 次北固山下(차북고산하) 王灣(왕만) 청남 18-12-11 1721
640 주산지4.jpg 唐詩(당시) 江南旅情(강남여정) 祖詠(조영) 청남 18-12-11 1693
639 주산지5.jpg 唐詩(당시) 蘇氏別業(소씨별업) 祖詠(조영) 청남 18-12-11 1659
638 주산지6.jpg 唐詩(당시) 望秦川(망진천) 李頎(이기) 청남 18-12-11 1544
637 주산지7.jpg 唐詩(당시) 宿龍興寺(숙용흥사) 綦母潛(기모잠) 청남 18-12-11 1478
636 주산지8.jpg 唐詩(당시) 胡笳曲(호가곡) 王昌齡(왕창령) 청남 18-12-11 1790
635 주산지9.jpg 唐詩(당시)同王徵君洞庭有懷(동왕징군동정유회) 張謂(장위) 청남 18-12-11 1576
634 주산지10.jpg 唐詩(당시)破山寺后禪院(파산사후선원) 常建(상건) 청남 18-12-11 1644
633 唐詩(당시)渡揚子江(도양자강) 丁仙芝(정선지) 청남 18-12-11 1543
唐詩(당시)聞笛(문적) 張巡(장순) 청남 18-12-11 1576
631 唐詩(당시)岳陽晩景(악양만경) 張均(장균) 청남 18-12-11 1411
630 唐詩(당시)穆陵關北逢人歸漁陽(목릉관북봉인귀어양) 劉長卿(유장경) 청남 18-12-11 1500
629 唐詩(당시)題松汀驛(제송정역) 張祜(장호) 청남 18-12-11 147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