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北齊詩(북제시) 古意(고의) 顔之推(안지추)

청남

 

北齊詩(북제시) 古意(고의) 顔之推(안지추)

 

十五好詩書(십오호시서)二十彈冠仕(이십탄관사)楚王賜顔色(초왕사안색)

出入章華裏(출입장화리)作賦凌屈原(작부릉굴원)讀書誇左史(독서과좌사)

數從明月讌(수종명월연)或侍朝雲祀(혹시조운사)登山摘紫芝(등산적자지)

泛江採綠芷(범강채록지)歌舞未終曲(가무미종곡)風塵暗天起(풍진암천기)

吳師破九龍(오사파구룡)秦兵割千里(진병할천리)狐免穴宗廟(호토혈종묘)

霜露霑朝市(상로점조시)璧入邯鄲宮(벽입감단궁)劍去襄城水(검거양성수)

未獲殉陵墓(미획순릉묘)獨生良足恥(독생량족치)憫憫思舊都(민민사구도)

惻惻懷君子(측측회군자)白髮窺明鏡(백발규명경)憂傷沒餘齒(우상몰여치)

 

 

나는 열 다섯 살에 시경과 서경 등 학문을 좋아했고

20살에 ()의 먼지를 터고 임관을 했다.

楚王(초왕)은 웃는 얼굴로 대해주었고,

덕택에 章華宮(장화궁)에 출입하는 고관의 몸이 되었다.

()를 지으면 옛날 楚辭(초사)를 지은 屈原(굴원)을 능가하고

책을 읽으면 박식한 左史(좌사) 倚相(의상)에게 자랑할 정도였다.

자주 謝莊(사장)月賦(월부)에 읊은 것과 같은 明月宴(명월연)에 나갔고

陽臺(양대)에 나타났다는 巫山(무산)神女(신녀)

朝雲廟(조운묘) 제사에도 시중을 들었다.

산에 올라서는 商山四皓(상산사호)를 기리며 芝草(지초)를 캐고

長江(장강)에 가서는 향기로운 香草(향초)를 땄다.

이러한 풍류 속에 사는데, 歌舞曲(가무곡)이 미처 끝나기도 전에

風塵(풍진)이 일어나 하늘을 어둡게 덮고

동쪽에는 ()나라 군대가 처 들어와 옛날 闔閭(합려)

九龍(구룡)을 조각한 종을 깨트리며 폭행을 하듯 난동을 부리고

서북에는 秦兵(진병)에게 천리 영토를 빼앗기는 참혹한 지경에 이르렀다.

나라는 망하고 宗廟(종묘)는 여우와 토끼의 소굴이 되었으며

조정과 시장의 사람들은 모두 서리와 이슬에 젖는 고통을 밭게 되었다.

<내가 섬기는 湘東王(상동왕)侯景(후경)의 난을 만나고,

또한 西魏(서위)에게 격파되어 종묘와 국가는 모두 망한 것이다.>

경척연성이라던 和氏(화씨)璧玉(벽옥)邯鄲宮(감단궁)에 들어가고

張華(장화)孔章(공장)이 땅속에서 얻은 명검은

襄城(양성) 물속에 가라앉아, 오래도록 楚國(초국)에 머물지 아니했다.

그와 같이 江陵(강능)의 왕조는 외침되어 보물도 잃고 망하고 말았는데

나는 아직도 武帝(무제), 簡文帝(간문제), 元帝(원제) 등의 능에서

殉死(순사)하지도 못한 채, ()의 녹을 먹으며 홀로 살고 있으니

너무나도 부끄러운 일이며 지조가 없는 일이다.

오직 마음으로 슬퍼하며 망해버린 舊都(구도) 江陵(강능)을 그리워 하며

가슴아프게 죽어간 군주를 그리워 할 뿐이다.

그라나 나도 나이를 먹어 거울 속에 백발을 보이고 몸도 노쇠하였으니

이대로 내 몸과 조국의 불운을 상심하며 내 여생을 끝마칠 것이다.

 

顔之推(안지추)... 529591. 자는 (). 山東省(산동성) 사람. ()元帝(원제)에게 등 용되어 騎馬侍郞(기마시랑)이 되었으나 江陵(강릉)이 함몰되자 ()로 가 黃門侍郞(황문시랑), 平原(평원)太守(태수)累進(누진)되었다가 뒤에 ()로 들어가 御史上士(어사상사)가 되었다. ()開皇(개황) 중에 초빙되어 文學(문학)이 되고 병으로 일생을 마쳤다. 그가 남긴 수필 안씨가 3권은 명저이다.

古意(고의)....... 元帝(원제)를 추모하고 슬퍼하는 노래.

彈冠(탄관)....... 관의 먼지를 털고 出使(출사).

楚王(초왕)........ 江陵(강릉)에 도음을 정한 元帝(원제)를 말한다.

賜顔色(사안색)... 호의를 배풀어 주었다.

章華(장화)........ ()宮臺(궁대)의 이름. 湖北省(호북성) 監利縣(감리현) 서북쪽에 있다.

屈原(굴원)....... ()懷王(회왕)左徒(좌도)가 되었으나, 참언으로 추방당했다. 楚辭 (초사) 離騷(이소)()를 지었다. 懷王(회왕)의 아들인 頃襄王(겨양 )도 또한 참언을 믿고 호남으로 보냈다. 굴원은 九章(구장)의 시름의 마음 을 담아 九歌(구가), 天問(천문), 漁父(어부) 등 여러 작품을 남기고, 湘水 (상수)에 몸을 던져 자살하고 말았다.

左史(좌사)....... 左傳(좌전)左史(좌사) 倚相(의상)이 뛰어서 지나간다. 왕이 말하기를 그 ()(), 五典(오전), 八索(팔색), 九丘(구구) 등을 잘 읽는다라고 있다.

明月讌(명월연)... 달을 玩賞(완상)하는 연회.

朝雲祀(조운사)... 巫山(무산)의 여신을 제사지내는 廟祭(묘제). ()宋玉(송옥)이 지은 高唐賦(고당부)() 高唐(고당)에 놈. 피곤해서 낮잠을 자는데 꿈에 한 여인을 봄. 말하기를 첩은 巫山(무산)의 여자이다.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소낙비가 된다. 朝朝(조조)暮暮(모모) 陽臺下(양대하)라 했다. 침에 보니 과연 그러했다. 그래서 묘를 지어 朝雲(조운)이라 이름하였다 고 있다.

紫芝(자지)....... 자색의 芝草(지초). 漢初(한초), 은사 東園公(동원공), 綺里季(기리계), 夏黃 (하황공), 甪里(녹리) 선생등이 商山(상산)에 들어가서 취했다고 한다.

綠芷(녹지)....... 푸른 香草(향초). 紫芝(자지)를 따고 綠芷(녹지)를 따는 것은 ()의 녹 을 먹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吳師破九龍(오사파구룡)... 동방 ()의 군대가 침입한 것. 淮南子(회남자)오왕 闔閭(합려) ()를 치고 九龍(구룡)鐘臺(종대)를 깨트리다라고 있다. 九龍( )은 대에 조각한 장식.

璧入邯鄲宮(벽입감단궁)... ()和氏(화씨)(). 邯鄲(감단)은 조나라 땅. () ()을 지키지 못하고, ()에게 빼았겼다.

劍去襄城水(검거양성수)... 雷次宗(뢰차종)豫章記(예장기)孔章(공장) 두 검을 얻어 이것을 張華(장화)에게 주었다. 뒤에 장화가 해를 입게된다. 그때 이 칼을 차고 (양성)의 물 속으로 뛰어 든다.라고 있다. 襄城(양성)襄陽(양양)이라 고 하다면 ()나라 땅이니, 검이 초를 떠났다.

君子(군자)....... ()君王(군왕).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168 현우경치 (56).JPG 北周詩(북주시) 商調曲(상조곡) 其一(기일) 庾信(유신) 청남 24-02-05 76
1167 현우경치 (55).JPG 齊詩(북제시) 童謠(동요) 無名氏(무명씨) 청남 24-02-05 81
1166 현우경치 (54).JPG 齊詩(북제시) 敕勒歌(칙륵가) 斛律金(곡율금) 청남 24-02-05 71
1165 현우경치 (53).JPG 齊詩(북제시) 感琵琶絃(감비파현) 馮淑妃(풍숙비) 청남 24-02-05 70
1164 현우경치 (15).JPG 北齊詩(북제시) ​ 從周入齊夜度砥柱(종주입제야도지주) 顔之推(안지추) 청남 24-02-02 68
현우경치 (14).JPG 北齊詩(북제시) 古意(고의) 顔之推(안지추) 청남 24-02-02 76
1162 현우경치 (13) 사본2.JPG 北齊詩(북제시) 秋思(추사) 蕭慤(소각) 청남 24-02-02 53
1161 현우경치 (13) 사본.jpg 北齊詩(북제시) 和崔侍中從駕經山寺(화최시중종가경산사) 蕭慤(소각) 청남 24-02-02 82
1160 현우경치 (12).JPG 北齊詩(북제시) 上之回(상지회) 蕭慤(소각) 청남 24-02-02 67
1159 안동댐(25).jpg 北齊詩(북제시) 送庾羽騎抱(송유우기포) 鄭公超(정공초) 청남 24-01-31 59
1158 안동댐(24).jpg 北齊詩(북제시) 挽歌(만가) 祖珽(조정) 청남 24-01-31 71
1157 안동댐(23).jpg 北齊詩(북제시) 思公子(사공자) 邢邵(형소) 청남 24-01-31 66
1156 안동댐(22).jpg 北魏詩(북위시) 李波小妹歌(이파소매가) 無名氏(무명씨 청남 24-01-31 72
1155 안동댐(21).jpg 北魏詩(북위시) 咸陽王歌(함양왕가) 無名氏(무명씨) 청남 24-01-31 73
1154 안동댐(20).jpg 北魏詩(북위시) 楊白花(양백화) 胡太后(호태후) 청남 24-01-31 54
1153 세벽(댐) (4).jpg 北魏詩(북위시) 示陳伯達(시진백달) 胡叟(호수) 청남 24-01-29 68
1152 세벽(댐) (2).jpg 北魏詩(북위시) 擣衣(도의) 溫子昇(온자승) 청남 24-01-29 85
1151 세벽(댐) (1).jpg 北魏詩(북위시) 從駕幸金墉城(종가행금용성) 溫子昇(온자승) 청남 24-01-29 92
1150 섷경 (19).jpg 北魏詩(북위시) 揚雄(양웅) 司馬相如(사마상여) 청남 24-01-29 61
1149 섷경 (18).jpg 北魏詩(북위시) 嚴君平(엄군평) 司馬相如(사마상여) 청남 24-01-29 6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