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고전의 향기 우리의 강산 한시와 명문 한문원전
>> 유교문화 > 한시와 명문


[공지사항 ] 梁詩(양시) 贈張徐州謖(증장서주속) 范雲(범운)

청남

 

 

梁詩(양시) 贈張徐州謖(증장서주속) 范雲(범운)

 

 

田家樵採去(전가초채거)薄暮方來歸(박모방래귀)還聞穉子說(환문치자설)

有客款柴扉(유객관시비)儐從皆珠玳(빈종개주대)裘馬悉輕肥(구마실경비)

軒蓋照墟落(헌개조허락)傳瑞生光輝(전서생광휘)疑是徐方牧(의시서방목)

旣是復疑非(기시복의비)思舊昔言有(사구석언유)此道今已微(차도금이미)

物情棄疵賤(물정기자천)何獨顧衡闈(하독고형위)恨不具雞黍(한불구계서)

得與故人揮(득여고인휘)懷情徒草草(회정도초초)淚下空霏霏(누하공비비)

寄書雲間雁(기서운간안)爲我西北飛(위아서북비)                                       

 

시골집에 땔나무를 하러가서, 저물 무렵 돌아왔네.

돌아와서 어린 자식 하는 말을 들으니, 손이 우리 집 사립문을 방문했다고 하네

시중드는 사람들도 모두 구슬을 몸에 감고,

皮革(피혁)과 말도 모두 가볍고 따뜻한 옷이고 말도 살이 진 좋은 말이고

차 덮개도 또한 마을에 아름답게 빛을 냈으며

태수의 표적인 깃발과 창의 구슬 ()은 빛나게 번쩍였다고 하네.

나는 그 말을 듣고 徐州(서주) 태수가 아닌가 생각했네.

그렇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렇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네.

출세를 하고서도 옛친구를 잊지 않는 다는 말은 논어에 있지만

이러한 도덕은 지금세상에 모두 살아저 버렸기 때문이라네.

세상물정은 허물이 있고 결점이 있는 천한 자를 버리는 것이 보통이데,

어찌 홀로 그대만은 천한 사람의 사립문을 방문해 주셨는가.

유감인 것은 내가 없어서 옛날 子路(자로)를 접대한 노인처럼

닭을 잡고 수수밥을 지어 조잡한 밥이라도 올리고

함께 술잔을 들수 없었던 것이라네.

나는 감격의 정을 안고 그저 마음을 쓸 따름이며

허망하게 눈물을 방울방울 흘릴 뿐이네

그래서 이 마음을 편지에 적어 구름 높이 나르는 기러기에게 부치니

나를 위해 서북으로 날라 그대 곁에 전해주게.

 

贈張徐州謖(증장서주속)... 장 서주 속에게 보냄. 張謖(장속)이 왔는데도 만날수 없었기에 시로서 사과한다.

()............. 두드리다.

()............ 행차 앞에 서서 잡인을 쫓는 삼람.

()........... 수행하는 사람.

裘馬悉輕肥(구마실경비)... 살찐 말에 마차를 끌리고, 가볍고 따뜻한 옷을 입고있는 귀한 사람들뿐 .

珠玳(주대)...... 진주와 玳瑁(대모). 이들 아름다운 옥으로 장식한 옷.

墟落(허락)....... ()(). ()區劃(구획)된 장소. 村落(촌락).

傳瑞(전서)...... 태수의 ().

方牧(방목)...... 方伯(방백)과 같음. 地方官(지방관).

思舊(사구)...... 舊友(구우)를 짖지 아니한다. 論語(논어) 泰伯篇(태백편)에 있다.

物情(물정)...... 일반 사람들의 마음.

()........... 過失(과실). 작가가 당시 관직을 면직 당했으므로 疵賤(자천)이라 했다.

衡闈(형위)...... 冠木門(관목문). 시경 衡門篇(형문편) 毛傳(모전), 衡門(형문)은 나무를 옆으로 걸쳐서 문으로 삼음,이라 있다.

雞黍(계서)...... 논어 微子篇(미자편)子路(자로)를 쫓아 늦지 아니했다. 닭을 잡고 수수 밥을 지어 그에게 대접하고, 그의 두 아들을 보였다.라고 있다.

()........... 술잔을 드는 것. 도연명의 時運詩(시운시)一觴(일상)()하며 陶然(도연)自樂(자락)이라 있다.

草草(초초)....... 마음을 쓰는 모양.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068 02사찰18.jpg 梁詩(양시) 旦發漁浦潭(단발어포담) 邱遲(구지) 청남 23-12-23 105
1067 00은행2.jpg 梁詩(양시) 侍宴樂遊苑送張徐州應詔(시연락유원송장서주응조) 邱遲(구지) 청남 23-12-23 113
1066 00올리브3.jpg 梁詩(양시) 出郡傳舍哭范僕射(출군전사곡범복사) 任昉(임방) 청남 23-12-23 128
1065 하늘 (1).jpg 梁詩(양시) 別蕭諮議衍(별소자의연) 任昉(임방) 청남 23-12-22 123
1064 풍경섯3.jpg 梁詩(양시) 贈徐徵君(증서징군) 任昉(임방) 청남 23-12-22 115
1063 풍경섯3 (2).jpg 梁詩(양시) 贈郭桐廬出溪口見候余旣未至郭仍進村維舟久之郭生乃至 (증곽동려출계구견후여기미지곽잉진촌유주구지곽생내지) 任昉(임방) 청남 23-12-22 103
1062 풍경섯2 (2).jpg 梁詩(양시) 別詩(별시) 范雲(범운) 청남 23-12-22 102
1061 비석 (4).JPG 梁詩(양시) 之零陵郡次新亭(지령릉군차신정) 范雲(범운) 청남 23-12-21 95
1060 비석 (2).JPG 梁詩(양시) 送沈記室夜別(송침기실야별) 范雲(범운) 청남 23-12-21 97
비석 (1).JPG 梁詩(양시) 贈張徐州謖(증장서주속) 范雲(범운) 청남 23-12-21 72
1058 분묘1.jpg 梁詩(양시) 有所思(유소사) 范雲(범운) 청남 23-12-21 101
1057 바다14.JPG 梁詩(양시) 效阮公詩(효원공시) 5. 江淹(강엄) 청남 23-12-20 96
1056 바다13.JPG 梁詩(양시) 效阮公詩(효원공시) 4. 江淹(강엄) 청남 23-12-20 91
1055 바다11.JPG 梁詩(양시) 效阮公詩(효원공시) 3. 江淹(강엄) 청남 23-12-20 84
1054 바다10.JPG 梁詩(양시) 效阮公詩(효원공시) 2. 江淹(강엄) 청남 23-12-20 106
1053 바다8.JPG 梁詩(양시) 效阮公詩(효원공시) 1. 江淹(강엄) 청남 23-12-20 90
1052 민속박물관박물20 (26).jpg 梁詩(양시) 休上人怨別(휴상인원별) 江淹(강엄) 청남 23-12-19 100
1051 민속박물관박물20 (25).JPG 梁詩(양시) 陶徵君潛田居(도징군잠전거) 江淹(강엄) 청남 23-12-19 90
1050 민속박물관박물20 (23).jpg 梁詩(양시) 劉太尉琨傷亂(유태위곤상란) 江淹(강엄 청남 23-12-19 118
1049 민속박물관박물20 (22).jpg 梁詩(양시) 班婕妤詠扇(반첩여영선) 江淹(강엄) 청남 23-12-19 12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