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기본교리


[일반 ] 경덕선등록(景德傳燈錄) 제5권(중국편) ④ 편담산扁擔山) 효료선사(曉了禪師)

청남

 

 

경덕선등록(景德傳燈錄) 5(중국편)

편담산扁擔山) 효료선사(曉了禪師)

 

스님의 전기는 전하지 않으나 오직 북종()의 문인인 홀뇌징(忽雷澄)이 지은 비명(碑銘)만이 세상에 성대히 유행되고 있으니, 대략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대사는 변첨산에 살았으니, 호는 효료이며, 6조의 맏 제자이다. 대사는 마음없는 마음을 얻었고 형상없는 형상을 깨달았으니, 형상 없음이라 함은 삼라만상이 눈에 어지러움이요, 마음 없음이라 함은 분별이 불꽃 같이 번거로움이다.

 

한 마디의도 없어서, 메아리를 전할 수 없거늘 전해서 행했고, 말로 궁구할 수 없으므로 궁구하면 그르다. 대사는 스스로가 없음이 없는 없음을 없앴으나 없음을 없애지는 않고, 나는 이제 있음이 있는 있음으로 있음을 있게 하려 하지 않는다. 있지 않는 있음은 가고 옴에는 더하지 않고, 없음이 아닌 없음은 열반에 줄지 않는다. . 대사께서 세상에 계시니, 조계가 밝았고, 대사께서 열반에 드시니, 법의 나룻배가 기울었다. 대사께서 말없는 설법을 하시니, 천지에 가득했고, 대사께서 미혹한 무리에게 길을 가리키시니, 요의()의 대승이로다. 변첨산 빛은 여전히 옛 빛을 드리우는데 빈 골짜기에 효료의 이름만이 남았네.

출전: 불교통신대학 경덕전등록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의 기본교리와 경전의 해석등을 소개하고 있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45891
1858 오동4 사본.jpg 학가산 애련암. 청남 25-07-04 12
1857 오동3.JPG 죽령재 넘으며 청남 25-07-04 7
1856 연산홍12.jpg 학가산에서 명상 청남 25-06-30 19
1855 연산홍11.jpg 가을의 흥취 청남 25-06-30 12
1854 연산홍(집)2024.4.19 (14).JPG 달개약수. 청남 25-06-26 19
1853 연산홍(집)2024.4.19 (13).JPG 남고 싶네. 청남 25-06-26 13
1852 연산홍 (100).jpg 홀로 여행 청남 25-06-22 23
1851 연산홍 (98).jpg 친구 생각나서 청남 25-06-22 13
1850 연산홍 (52).JPG 부산 친구에게 청남 25-06-18 32
1849 연산홍 (50).JPG 가을 보내며 청남 25-06-18 20
1848 연꽃 (20).JPG 가을밤 나들이 청남 25-06-12 30
1847 연꽃 (19).JPG 가을 풍경 청남 25-06-12 18
1846 여우꼬리풀..JPG 가을밤에 청남 25-06-08 29
1845 여뀌1.jpg 부산에 양 교장 청남 25-06-08 22
1844 얼레지1 사본.jpg 강 위에 물거품 청남 25-06-04 33
1843 얼레지.JPG 교단의 회상 청남 25-06-04 28
1842 양란.24.3 (3).JPG 가는 세월 청남 25-05-31 31
1841 양란.24.3 (2).JPG 소중한 이웃. 청남 25-05-31 27
1840 앵두1.JPG 맑은 가을의 달밤 청남 25-05-27 43
1839 앵도9 사본.jpg 옛 선비들 생각하며 청남 25-05-27 2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