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기본교리


[일반 ]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기신론의 근본사상 입의분(立義分) 法과 義

청남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기신론의 근본사상 입의분(立義分)

 

 

已說因緣分 次說立義分 摩訶衍者 總說有二種云何爲二一者法 二者義

 

앞에서 인연분을 설명 하였으니 다음은( 立義分) 입의분을 설하고자 한다.마하연(摩訶衍)에는 모두 설해서 2종이 있다.

어떤것을 말한것이냐 하면 하나는 법() 이요. 다른 하나는 의()이다.

(해 설)

이미 앞에서 인연분을 설하였으니 다음에는 본론의 근본에 입각하여 입의분을 설명하는것이다.

마하연(大乘)이란 무었인가 한마디 말한다면 이것은 법과 의()의 두가지 뜻으로 풀이한다.

법에는 敎法(교법理法(이법行法(행법果法(과법)등으로 구별한다.

이에 대승이란 그것등의 체()를 말한것이다. 그것은 다음에 설명되는 중생심을 말한다.

다음에 중생심이란것이 왜 대승이라 하는것인가 하는뜻을 설명한것이 의()이다.

대승의 의()에는 다시 체대(体大상대(相大용대(用大)3대로 설명한다.

대승의 법 즉 중생심은 心眞如文(심진여문)心生滅門(심생멸문)2문으로 설명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생심은 ()의 의미를 있음을 주시 해야 한다. 본론에서는 3대의 설명 다음에 모든 부처님들의 승()한바가 보살의 승한바임을 승이라고 설명 하고 있는것이다.

()란 뜻은 대(). (). ()등의 세가지 뜻이 있으며 승은 실고 간다 태우고 간다등의 뜻이 있으며 소승에 대한 대승은 자리(自利)에 대한 이타(利他)의 뜻으로 보통 해석 하고 있으나 기신론 에서는 이와 같은 해석을 하지 아니 하고 있다.

기신론에서 대승은 대승 소승을 포함한 대이며 상대적 비교를 끊어 버린 대의 입장으로 이것을 전수문 (全收門)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사상은 법화경의 일승(一乘) 사상에서 유래 한것으로 법화경 에서는 성문승(聲聞 乘) 연각승(緣覺乘)에 대한 대립으로 보살승을 설한것이 아니라 성문 연각 보살의 삼승 모두 성불 하는길 곧 일불승을 말하고 있다.

이와같은 일승의 사상이 승만경등을 통하여 기신론이 이어 받어 계승 하고 있는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대승의 체()를 가르치기 위해 중생심을 나타내어 중생심이 삼대로 설명 되어진바와 같이 그것은 법신 여래장(如來藏)이라 하는것이다.

이처럼 법신 여래장을 대승이라 부른 사상은 승만경섭수 정법장등에서 보인것으로 이와 같은 여래장 사상을 계승하고 있는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상의 근윈은 화엄경의 마음과 부처님과 중생은 차별이 없다 하는 설명에서 연유 되고 있다.

법장 대승 기신론의기는 윈효의 분과와 어구 해석을 기초로 하여 저술 되어 화엄교학의 법계연기의 종의를 해석 하고 있다.

기신론에 대힌 중국 한국의 찬술된 현존 문헌 들은 송나라때 까지 대체로 다음과 같이 18 종이 있다.

 

一心二門大意.................. 1................ 梁智愷 .........續藏經第71

大乘起信論疏............... 2................. 隋曇延......... 上卷現存

大乘起信論義疏(海東疏) 2..................· 隋慧遠......... 大藏經44

大乘起信論疏(海東蔬) 2.................. 新羅元曉..... 大正經藏44

大乘起信論別記........... 2.................. 新羅元曉.... 上同

大乘起信論義記............. 2................... 唐法藏........ 上同

大乘起信論別記............ 1................... 唐法藏...... 上同

釋摩訶衍論 ................... 10................. 未詳............ 大正藏經32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1................... 新羅太賢 上同 44

釋摩訶論.......................... 10................... 未詳............. 上同 32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1..................... 新羅太賢..... 上同 44

大乘起信論同異略集 2................... 新羅見登補 續藏經第71

大乘起信論略述.......... 2................ 唐曇曠 大正藏經 85

大乘起信論廣釋............ 5................... 唐曇曠 3·4·5卷刊

大正藏經85

起信論略述補註............. 斷簡................... 亡名 大正藏經 85

大乘起信論疏(注疏).... 4................. 唐宗密 縮刷藏經,論疏部

起信論疏筆削記......... 20................ 宋子璿 大正藏經 44

起信論疏科文.............. 1................. 宋子璿 淸續法 筆刷記會閱

天台敎與起信論融會章 1................... 宋智礼 四明敎行錄第2所載

大乘起信論私記........ 1................. 宋仁岳 朝鮮佛敎叢書刊行 豫定書目

 

 

기신론의 윈본은 진제역.실차난타역 등이 신수장경 귄 32. 축세장경 10.만속장경 22-5에 수록 되었다.

대승 기신론을 연구하는데는 윈효 대사의 기신론소와 별기를 택스트로 하여 연구함이 가장 바람직 할것이다.

현재 기신론에 대한 영역본은 4종이 있다.

 

1) Teitaro Suzuki: Asvaghosha's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Chicaga, The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00

2) Rev.Timothy Richard: The Awakening of Faith inthe Mahayana Doctrine - the New Buddhism, 1907

3) Bhikshu Wai Tao: Awakening of Fath, included as a section "A Buddhist Bisli" ed. by Dwight Goddard, Beacon Press, Boston,1938.

4) Yosito S Hakeda: The Awakening of Fath,Attributed to Asvaghosha, transated with commentray,New York and Londaon, Columbia Univ. Press, 1967.(cf. Kenneth K Inada: Book Review to The The Awakening of Fath,Attributed to Asvaghosha, by Yoshito S hakeda,"Philosophy East and West", Vol. 19. No.2, 1969; Rudolf G. Wagner: ZDMO 120-2, 1970

 

앞에서도 잠간 거론 된 바도 있지만 대승 기신론을 중국인의 찬술이라 한 것은 근기가 미약한 이설이고 기신론 본론 속에 설명되어 지고 있는 진여 여래장 사상은 중국에서 진제 삼장이 기신론을 번역할 때 당시의 사정으로 보아 결코 중국에서는 그같은 사상이 아직 성립되지 아니 할 때였다.

그러므로 기신론은 인도의 마명이 찬술한 것이 확실하며 보성론이나 능가경보다 조금 후에 인도의 대승 불교도들에 의해 찬술되고 펼쳐졌음이 사실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의 기본교리와 경전의 해석등을 소개하고 있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39955
1562 14단풍44.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良由取捨所以不如 양유취사소이불여 청남 23-12-24 57
1561 14단풍4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楊柳稍頭甘露灑 양류초두감로쇄 청남 23-12-24 69
1560 14단풍42.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諸惡莫作 제악막작 청남 23-12-24 59
1559 14단풍40.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若人欲了知 약인욕요지 청남 23-12-24 60
1558 00장승1.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我有一布袋 아유일포대 청남 23-12-23 67
1557 00은행2.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我昔所造諸惡業 아석소조제악업 청남 23-12-23 57
1556 00은행1.jpg 佛敎偈頌(불교게송) 阿彌陀佛在何方 아미타불재하방 청남 23-12-23 57
1555 00올리브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深入普賢毛孔裡 심입보현모공리 청남 23-12-23 60
1554 풍경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露胸跣足入廛來 노흉선족입전래 청남 23-12-21 65
1553 풍경2.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返本還源己費功 반본환원기비공 청남 23-12-21 65
1552 풍경1.jpg 佛敎偈頌(불교게송) 騎牛己得到家山 기우기득도가산 청남 23-12-21 62
1551 산천14.jpg 佛敎偈頌(불교게송) 騎牛迤邐欲還家 기우이리욕환가 청남 23-12-21 55
1550 산천13.jpg 敎偈頌(불교게송) 鞭索時時不離身편삭시시불이신 청남 23-12-21 56
1549 부체_30일_(3)[1].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기신론의 근본사상 정종분 청남 23-12-21 92
1548 부체포도1.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기신론의 근본사상 입의분(立義分) 귀경서 청남 23-12-21 47
부체 포도 5.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기신론의 근본사상 입의분(立義分) 法과 義 청남 23-12-21 67
1546 부체 달마1.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대승 기신론의 특색 청남 23-12-21 57
1545 부체 (8).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기신론을 설한 인연 발기서 청남 23-12-21 71
1544 부체 (5).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정종분 청남 23-12-21 54
1543 부체 (4).jpg 大乘起信論(대승 기신론) 제1장 귀경서 청남 23-12-21 10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