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미술


[일반 ] 木鐸(목탁)

청남

 

木鐸(목탁)

 

등에 나무가 난 물고기

 

 

옛날 중국 동정호 가까이에 공부가 하늘에 까지 닿은 道僧(도승) 한 분이 있었다.

중국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에서까지도 스님의 높은 가르침을 받으려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 들어, 스님 밑에는 많은 제자들이 있었다.

그런데 그 중 한 제자가 공부를 하려는 뜻을 세워 스님의 제자가 되기는 하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점점 게으름이 나서 하라는 공부는 하지 않고 장난만 일 삼았다.

스님은 여러번 좋게 타일렀으나 게으른 제자는 스님의 말씀을 듣지 않고 계속 방종한 길로만 흘러갔다.

 

 

할수 없이 스님은 그 제자에게 벌을 주기로 결심하고, 신통력을 부려 그를 물고기로 만들어 동정호 속에 던지고 말았다.

그리고 반성을 하면 다시 사람으로 되돌려 주겠으니, 참회하고 근신하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물고기가 된 제자는 반성은 커녕 물속을 마음대로 해염처 다니면서, 지금까지 보지도 못한 휘황찬란한 물속 경치를 구경하면서 더 재미있게 놀기만 하였다.

이를 안 스님은 물고기에게 더 무거운 벌을 주기로 결심하였다.

그리하여 물고기의 등에 커다란 나무를 한 그루 심어 버렸다.

 

 

<木魚(목어)는 물고기 등에 있든 나무로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

 

등에 나무가 생기자 물고기는 해염을 칠수도 없고 먹이를 잡아 먹을 수도 없었다.

뿐만 아니고 풍랑이 칠때마다 등에 있는 나무가 흔들려 등의 살이 찢어지고 피를 흘려 뼈를 깍는듯한 고통을 겪었다.

그때부터 그는 후회와 참회의 눈물을 흘리면서 고달픈 세월을 하루 하루 살아 갔다.

 

몇년이 지난 다음, 마침 스승인 스님이 배를 타고 동정호를 지나게 되었다.

물고기는 이를 알고 스님에게 다가가서 참회의 눈믈을 흘리면서 간절이 용서를 빌고 살려달라고 애원 하였다.

스님께서는 제자가 충분히 반성한 것을 보시고 水陸齊(수륙제)를 베풀어 그를 다시 사람으로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물고기 등에 있던 나무로 木魚(목어)를 만들어서 절에 걸어 두고 아침 저녁으로 사람을 모을 때 치면서 많은 제자들에게 경계심을 불러일으키도록 했다고 한다.

木魚(목어)를 더욱 작게 만들어서 늘 몸에 지닐수 있게 한 것이 바로 목탁인 것이다.

여러가지 괘목으로 만든 목탁은 모양도 예쁘고 소리도 청아해서 빼놓을 수 없이 귀중한 佛具(불구)이다.

 

 

 

<木魚(목어)를 축소한 것이 목탁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 대표사진 기생으로 大顚(태전)선사를 시험한 韓愈(한유)

    기생으로 大顚(태전)선사를 시험한 韓愈(한유) 大顚(대전)은 당나라의 고승으로 石頭(석두)에게 법을 배워 크게 깨우친 사람이다. 어느 날 석두가 대전에게 묻기를 「무엇이 그대의 마...

    18.05.30 /청남 /2256

  • 대표사진 贊汁大師(찬즙대사)와 관음바위

    贊汁大師(찬즙대사)와 관음바위 영조대왕 24년(1748), 지금의 연세대학교 자리에 있던 奉願寺(봉원사)에, 절터를 나라에서 쓸 일이 있으니 절을 비우라는 어명이 내렸다. 청천벼락...

    18.05.30 /청남 /1861

  • 대표사진 학을 탄 王喬(왕교)

    학을 탄 王喬(왕교) 王喬(왕교)는 중국 後漢(후한) 때의 사람이다. 신통력을 갖고 있어서 늘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고 한다. 그는 매월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에는 조정에 들려서 임...

    18.05.30 /청남 /2360

  • 대표사진 홀로 도를 깨친 那畔尊者(나반존자)

    홀로 도를 깨친 那畔尊者(나반존자) 공부를 하는 사람이나 도를 닦는 사람이나 모두 꼭 스승은 있기 마련이다. 스승 없이 홀로 도나 학문을 이룬다고 하는 것은 너무나 힘이 들고 성취...

    18.05.30 /청남 /2092

  • 대표사진 여의주를 얻은 義湘祖師(의상조사)

    여의주를 얻은 義湘祖師(의상조사) 新羅(신라) 때의 高僧(고승) 義湘祖師(의상조사)께서 당나라에서 공부를 마치고 돌아와서, 관세음보살의 眞身(진신)이 해변가 어는 굴속에 산다는 말...

    18.05.30 /청남 /1946

  • 대표사진 寒山(한산)과 拾得(습득)

    寒山(한산)과 拾得(습득) 寒山(한산)과 拾得(습득) 豊干(풍간)은 모두 중국 당나라 때 스님이다. 豊干(풍간)이 어느 날 길을 가다가 버려진 남자 아기를 하나 주서서 절에 맡겼다...

    18.05.29 /청남 /2034

  • 대표사진 布袋和尙(포대화상)

    布袋和尙(포대화상) 「포대화상」은 중국의 승려인데, 이름은 契此(계차)이고 明州(명주) 봉화현 사람이었다. 몸집이 뚱뚱하고, 이마는 늘 찡그리며 깊은 주름이 잡혀있고, 커다란 배는...

    18.05.29 /청남 /2520

  • 대표사진 浮雪居士(부설거사)

    浮雪居士(부설거사) 浮雪居士(부설거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태어난 사람이며 성은 陣(진)씨, 이름은 光世(광세) 였다. 어려서 출가하여 경주 불국사에서 圓淨(원정)의 제자가 되었다...

    18.05.23 /청남 /2104

  • 대표사진 순교자 異次頓(이차돈)의 죽음

    순교자 異次頓(이차돈)의 죽음 신라 법흥왕 15년(서기528) 「아도화상」이 불교를 신라에 전파하려오자, 왕이 불교를 받아들이려 하였다. 그러나 여러 신하들이 완강히 반대함으로 왕...

    18.05.23 /청남 /2637

  • 대표사진 元曉大師(원효대사)와 해골

    元曉大師(원효대사)와 해골 신라 말기의 고승인 원효대사(617~686)는 많은 일화를 남긴 한국불교의 거성이다. 대사께서 34세 때, 가장 친한 벗인 義湘大師(의상대사)와 함께 불...

    18.05.23 /청남 /290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