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미술


[일반 ] 대장경의 이송봉안

청남

 

 

*대장경의 이송봉안

 

고려 고종 23년(1236) 몽고병의 침입을 국민의 단합된 힘과 부처님의 가호로 물리치기 위해 당시의 천도지(遷都地)인 강화도에 대장도감(大藏都監) 본사(本司)를 두고 진주, 남해에 분사(分司)를 두어 대장경판을 새기는데 전 국력을 쏟아 고종 38년(1251)까지 16년간에 걸쳐 완성하여 강화도에 판당(板堂)을 짓고 봉안하였다가 다시 강화읍 남쪽에 있는 선원사(禪源寺)에 옮겨 모셨던 팔만대장경판은 언제 어떠한 경위를 거쳐서 강화도에서 해인사까지 옮겨 모시게 되었을까?


이 문제는 4가지 정도의 사실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가야산 해인사는 대장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각국사 의천이 주석(住錫)하던 인연 깊은 곳이라는 사실,
둘째, 고려말과 이조초의 왜구의 극심한 노략질 앞에 강화도는 이미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
셋째, 해인사가 대장경판을 보관하는데 지리적 조건의 우수성과 가야산이 명산이어서 신령스럽게 믿어진 사실,
넷째, 해인사는 교통이 불편한 심산유곡이어서 안전할 것이라는 생각이 일치되어 조선 태조 7년(1398) 5월에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서 서울의 지천사(支天寺)로 임시로 옮겨 모셨다가 다시 해인사로 옮기게 되었다.


요즈음 8톤 트럭 35대분이 훨씬 넘는 대장경판을 사람의 힘만으로 강화도에서 해인사까지 옮기는 일은 온 국민이 힘을 기울였을 것이다.
운반행렬의 맨 앞에는 동자가 향로를 들고 길을 맑히면 많은 스님들이 독경을 하며 길을 이도하고 그 뒤로는 소중하게 포장한 경판을 소달구지에도 싣고 지게에도 졌는가하면 부녀자들은 머리에 이고 팔만대장경판의 정대(頂戴) 공덕과 부처님의 은혜를 다시 한번 되새기면서 서울에서 해인사까지 팔만대장경판의 운반 행렬은 끝없이 이어졌다.
(일설에는 서울에서 한강에 배를 띄워 대장경판을 싣고 해로(海路)를 통해 낙동강 줄기인 지금의 고령군 개진면 개포마을에 배를 대고 해인사까지 운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래서 개포마을의 예전이름이 경(經)을 풀었다는 의미에서 개경포(開經浦)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태조 7년 (1398) 5월에 시작된 경판의 대이동은 이듬해 정종 원년(1399) 정월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해인사에 옮겨 모셔져, 70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습기나 좀이 생기지 않고 뒤틀리지도 않았는데, 사용한 목재는 강화도에 좋은 나무가 없어 남해지방의 거제도, 완도, 제주도 등지에서 많이 생산되는 자작나무(白樺木) 원목을 베어 바닷물에 3년간 담갔다가 꺼내어 판을 짜서 다시 소금물에 삶아서 그늘에 3년간 말린 후 양면에 구양순(歐陽詢)의 해서체로 양각하고 방충을 위하여 옻칠을 하였다.


경판은 모두 81,340판인데 양변에 새겨져 있어 162,680연으로 한 면에 글자가 322자 씩이나 글자 수만 해도 52,382,960자로 원고지로 치면 30만장쯤의 분량이 된다.
경판 1창당 평균 무게는 약 3.5kg이며 걸이는 67cm, 너비 23 cm, 두께 3cm로 사각이 뒤틀리지 않도록 각목(角木)으로 마구리를 달고 그 이음새는 동제(鋼製)로 장식하였다.


해인사에 봉안되어있는 팔만대장경판은 부수(部數)로는 1,516부요 책으로 엮으면 6,815권으로 하루 1권씩 읽는다고 해도 18년이상 걸리는 방대한 양이다.
여기서 또한 특기할 것은 온 국토가 몽고병에 짓밟히고 강화도에 피난한 상태에서 대장경판을 새기기 위해 원고를 수집하고 사본을 정리하면서 교정하고 조판하는 일도 짧은 시일에 이뤄질 수 없거니와 판목(板木)을 다듬고 경을 쓰고 글자를 새기는 이 모든 일이 16년의 세월에 이루어 졌다는 것은 불가사의라 할 수 있겠다.


또한 팔만대장경판을 새기는 불사(佛寺)에는 조정대신과 전국민의 일심단합된 협조 아래 몇 백명의 명필과 수천명의 조각사가 동원되었으리라 상상하지만 경판의 글자가 오자(誤字)나 탈자(脫字)없이 정자로 쓰여지고 꼭 한 사람의 필적같이 분담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데서 우리는 다시 한 번 경탄하는 바이다.
특히 지금까지 세계에 남아 있는 30여종의 대장경판 중에서도 고려대장경만큼 체제가 광범위하고 부수가 완비하며 교정이 엄밀한 것은 그 유를 찾아볼 수 없다.


세계적인 문화유산이요, 우리 조상들의 호국의 얼이 깃든 팔만대장경판은 나라의 보배(國寶)일 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한 법보(法寶)이다.
오늘날의 세계에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야말로 사람답게 살고자하는 모든 이웃들에게 지혜롭과 자비롭게 살아가는 길을 제시해주는 문헌이라는 사실을 생각할 때 가장 풍부한 불전(佛典)의 원판(原板)이 소장된 해인사야말로 한국의 법보사찰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모든 인류의 성지(聖地)가 될 것임을 굳게 믿는 바이다.

 

- 출전: 해인사 주련-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 대표사진 毒蛇地獄(독사지옥)

    *毒蛇地獄(독사지옥) 굶주린 뱀들이 우굴거리는 침침하고 어두운 곳으로 지옥의 옥졸이 무자비하게도 죄인을 떠밀어 넣는다. 비명을 지르며 밑으로 떨어지는 여인과, 옥졸의 발에 매달려 ...

    17.01.22 /청남 /4157

  • 대표사진 鉅解地獄(거해지옥)

    *鉅解地獄(거해지옥) 鉅解(거해)란 말은 톱으로 썰어서 분해한다는 뜻이다. 거해지옥에서는 톱으로 죄인의 몸을 자른다. 산체로 몸을 잘리는 고통을 겪는 지옥이 거해지옥인데, 날카로운...

    17.01.22 /청남 /3720

  • 대표사진 釘鐵地獄(정철지옥)

    *釘鐵地獄(정철지옥) 죄인의 몸에 쇠못을 박는 지옥을 정철지옥이라고 한다. 지옥 형벌의 하나로 죄인의 머리나 몸의 모든 곳에 커다란 못을 막 박음으로서 죄인에게 참기 어려운 고통을...

    17.01.22 /청남 /2867

  • 대표사진 刀山地獄(도산지옥)

    *刀山地獄(도산지옥) 온 산에 뾰족뾰족한 날카로운 칼날이 빈틈없이 꽂혀있는 능선을 무기를 든 지옥의 옥졸들이 죄인들을 끌고 막 지나간다. 발등까지 날카로운 칼날이 파고들어 죄인들은...

    17.01.22 /청남 /6122

  • 대표사진 火湯地獄(화탕지옥)

    *火湯地獄(화탕지옥) 활활 타오르는 불길 위에 무쇠 솥을 걸고 그 속에 쇠물을 펄펄 끓인다. 1000도 2000도나 되는 뜨거운 가마솥 속에 지옥의 옥졸들이 죄인을 잡아 장대로 꿰...

    17.01.22 /청남 /4213

  • 대표사진 拔舌地獄(발설지옥)

    *拔舌地獄(발설지옥) 거짓말을 하거나 , 남을 비방하거나 욕설을 하는 등 口業(구업)을 많이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가는 지옥이 발설지옥이다. 報業(보업)으로 혀를 가는 고통을 받는 ...

    17.01.22 /청남 /4991

  • 대표사진 지옥의 獄卒(옥졸)

    지옥의 獄卒(옥졸) 지옥에서 죄인을 다루는 염라국의 옥졸은 잔인하고 인정미 없으며, 죄인이 아무리 신음하고 애원해도 조금도 사정을 두지 않고 염라대왕의 명대로 형을 집행한다. 지옥...

    17.01.22 /청남 /3747

  • 대표사진 대장경의 이송봉안

    *대장경의 이송봉안 고려 고종 23년(1236) 몽고병의 침입을 국민의 단합된 힘과 부처님의 가호로 물리치기 위해 당시의 천도지(遷都地)인 강화도에 대장도감(大藏都監) 본사(本司)...

    17.01.17 /청남 /2749

  • 대표사진 해인사의 창건 유래

    해인사의 창건 유래 중국 양무제 때 지공화상께서 임종에 동국답산기라는 책을 제자들에게 건네주면서 「내가 죽은 얼마 후에 신라에서 두 명승이 찾아와 을 구할 터이니 이 책을 전하라」...

    17.01.17 /청남 /3301

  • 대표사진 兜率天(도솔천)에서 온 지장보살

    *兜率天(도솔천)에서 온 지장보살 兜率天(도솔천)이라는 하늘 나라는 須彌山(수미산) 꼭대기에서 약 12만 由旬(유순, 길이의 단위로서 약 6.5Km) 위에 있다고 한다. 그 나라에...

    17.01.14 /청남 /335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