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미술


[일반 ] 두 글자를 깨치지 못하는 沙彌(사미)

청남

 

두 글자를 깨치지 못하는 沙彌(사미)

 

옛날 중국 () 나라 때 東寺(동사)라는 절에 한 스님이 있었다.

그 스님은 제자인 한 沙彌(사미)에게 법화경을 가르쳐 주었는데 제자는 총명해서 스님의 강설을 잘 이해하고 매우 깊게 통달하였다.

그런데 다만 藥草喩品(약초유품)에 나오는 瞹彩(애채, 뭉개 구름이라는 뜻)라는 두 글자만은 아무리 가르쳐 주어도 잊어버리고, 열 번을 가르쳐도 백 번을 가르쳐도 알지를 못하였다.

화가 난 스님은 너는 법화경을 환히 통달하였는데도 어찌하여 이 두 글자만은 그렇게도 깨닫지 못하느냐!하고 몹시 꾸짖었다.

그런데 그날밤 꿈에 한 스님이 나타나서

그대는 사미를 너무 나무라지 마시오. 그 사미는 전생에 절 동쪽 마을에서 살던 한 여자인데 법화경을 열심히 독송하며 살다가 일생을 마친 사람이오.

그 법화경 약초품에 애체두 글자가 좀이 쏠라 알아볼 수 없었으므로, 이제 다시 태어나서 새로 배우게 되어도 다른 것은 잘 깨치지만 그 두 글자만은 잘 모르는 것이오.

지금도 그 집 다락에는 그때의 법화경이 있으니 내말을 못믿겠거던 어서 가서 알아보시오.하고 하였다.

다음 날 스님은 그 마을을 찾아가서 그 집을 찾아갔다.

그리고 주인에게 댁에 무슨 경이 있습니까?하고 물으니 주인은

, 법화경이 한 권 있습니다.하고 책을 내어다가 스님에게 보여 주며

이 경책은 죽은 큰 며느리가 살아 있을 때 늘 독송하던 경책인데, 며느리가 죽은지 벌써 17년이나 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스님이 법화경을 받아 펼쳐보니 과연 藥草喩品(약초유품)에 나오는 瞹彩(애채)라는 글자가 좀이 쏠아 보이지가 않았다.

스님은 여러가지로 그 며느리가 사랐을 때의 일들을 물어 보았다.

그리고 그 집 며느리가 죽은 달과 사미가 잉태한 달을 맞추어 보니 날짜가 틀림이 없었다.

사미는 그 며느리의 환생이 틀립이 없었다.

그 뒤 그 사미가 어떻게 세상을 살았는지 또는 어디로 가버렸는지 아는 이가 아무도 없다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 대표사진 多子塔前 半分座(다자탑전 반분좌)

    多子塔前 半分座(다자탑전 반분좌) 불교 경전에는, 여러 사람의 동명이인인 「가섭존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에서 말하는 「가섭」은 「마하가섭」 즉 「대가섭」을 말한다는 것을...

    18.06.26 /청남 /2658

  • 대표사진 佛道(불도)를 닦는 神仙(신선)들

    佛道(불도)를 닦는 神仙(신선)들 늙지 않고 오래오래 살며 마음대로 변화를 일으키는 신통한 능력을 지닌 신선이 되는 것은 고대인들의 이상이 였다. 복잡한 속세를 떠나 仙界(선계)에...

    18.06.26 /청남 /6373

  • 대표사진 무인도에 버려진 형제

    무인도에 버려진 형제 오랜 아승지겁 옛날에 남인도 「마열바질」 나라에 長那(장나)라는 장자가 있었다. 그는 「마나사라」라는 아름다운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여 사이좋게 잘 살았는데, ...

    18.06.26 /청남 /1863

  • 대표사진 九品上生圖(구품상생도)

    九品上生圖(구품상생도) 극락세계에는 9가지 단계가 있다. 중생들은 사후에, 이 세상에서 지은 善業(선업)의 정도에 따라 9가지 단계로 구분되어있는 극락 어느 한 곳에 왕생하게 되는...

    18.06.19 /청남 /2347

  • 대표사진 스님과 신선의 바둑시합

    스님과 신선의 바둑시합 옛날 어떤 스님이 신선들이 노는 곳으로 가서 신선들에게 佛道(불도)를 닦으라고 포교를 하였다. 바둑을 두며 한가로이 놀던 신선들은 스님의 말을 귀담아 들으려...

    18.06.19 /청남 /2082

  • 대표사진 불공을 드리고 얻은 자식

    불공을 드리고 얻은 자식 고려 때 일이다. 전라도 임실 땅에 풍산 심씨 부부가 살고 있었다. 그들은 마음씨도 착하고 재산도 넉넉해서 늘 불쌍한 이웃을 도우며 살았으므로 많은 사람들...

    18.06.19 /청남 /2263

  • 대표사진 佛道(불도)를 닦는 白鬚公(백수공)

    佛道(불도)를 닦는 白鬚公(백수공) 白鬚公(백수공)은 옛날,중국 北齊(북제)에 살았던 崔白謙(최백겸)의 별명이다. 그는 풍채가 고상하고 성품이 온유하여 항상 사람들을 덕으로 다스리...

    18.06.19 /청남 /2091

  • 대표사진 용국에서 온 강아지

    용국에서 온 강아지 옛날 옛날 가야산 깊은 골짝에 80이 넘는 나이 많은 부부가 외롭게 살고 있었다. 산이 깊어서 아무도 찾아오는 사람이 없으므로 그들은 화전을 일구고 나무열매를 ...

    18.06.19 /청남 /1852

  • 대표사진 두 글자를 깨치지 못하는 沙彌(사미)

    두 글자를 깨치지 못하는 沙彌(사미) 옛날 중국 秦(진) 나라 때 東寺(동사)라는 절에 한 스님이 있었다. 그 스님은 제자인 한 沙彌(사미)에게 법화경을 가르쳐 주었는데 제자는 총...

    18.06.14 /청남 /1935

  • 대표사진 木神(목신) 이야기

    木神(목신) 이야기 인도 사람들의 복업은 훌륭한 수행자에게 자기가 갖은 가장 소중한 것을 공양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은 마음은 있어도 형편이 되지 않아 공양을 마음껏 ...

    18.06.14 /청남 /190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