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고승의 자취


[일반 ] 佛敎偈頌(불교게송) 禮本折慢幡(예본절만번)

청남

 

佛敎偈頌(불교게송) 禮本折慢幡(예본절만번)

 

 

禮本折慢幡 예본절만번          頭奚不至地 두해부지지

有我罪卽生 유아죄즉생          亡功福無比 망공복무비

.전등록(6)

 

절은 본래 아만 심을 꺾자고 하는 것

어찌하여 머리가 땅에 닿지 않는가

라는 생각 가지면 죄가 생기고

공명심 버리면 복이 한량없네.

 

만번(慢幡)........ 아만(我慢). ()은 오만하다, ()은 나무끼다,

지지(至地)....... 땅에 대다. 머리를 땅에 대는 오체투지의 절을 말함.

망공(亡功)....... ()은 죽아다, 없애다. ()은 공명심.

 

절은 상대를 존중하고 공경하는 뜻으로 취하는 신체적 행동입니다. 그르므로 공손한 태도와 순수한 마음으로 예절에 맞게 해야 합니다.

편협한 아만심을 버리지 못하면 죄에 빠지기 쉽고, 부질없는 공명심을 다 버리면 한량없는 복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 불교 게송 "예본절만번"은 절의 깊은 의미와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게송은 절이 단순히 신체적 행동이 아닌, 내면의 오만과 자아 중심성을 꺾는 데 그 근본적인 목적이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는 불교에서 자아의 해체와 무아(無我)의 실현을 통해 진정한 해탈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임을 시사합니다.

 

첫 번째 구절, "예본절만번",에서 '예본'은 절을 본래의 목적으로, '만번'은 오만을 꺾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절이 단순한 예의나 형식적인 행위를 넘어서 자기 중심적인 마음을 극복하는 수행의 한 방법임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 구절 "두해부지지"는 머리가 왜 땅에 닿지 않는지를 묻는데, 이는 자만심과 자아가 여전히 존재하여 완전한 겸손과 헌신의 자세를 취하지 못함을 지적합니다.

 

세 번째 구절, "유아죄즉생",''라는 개념을 가질 때 자연스럽게 죄가 생기게 된다고 말합니다. 이는 불교에서 말하는 '아타(我執)', 즉 자아에 대한 집착이 고통의 원인이 됨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마지막 구절, "망공복무비",에서는 공명심, 즉 자신의 명예나 성취를 과시하려는 마음을 버리면 끝없는 복이 따르게 된다고 말합니다. 이는 겸손과 자기 부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신적인 보상과 궁극적인 평화를 의미합니다.

 

이 게송은 불교의 핵심 교리인 무아와 인과응보를 명확히 표현하면서, 진정한 절의 수행이 가져야 할 심오한 내적 변화와 그 변화가 가져오는 깊은 영적 결과를 강조합니다. 절이 단순히 외형적인 행위가 아니라, 깊은 내적 수련과 자기 성찰의 과정임을 통해 우리는 자아를 초월하고 진정한 해탈을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특이하고 재미있는 고승들의 일화를 통해 불교를 쉽게 이해하길 바랍니다. 관리자 05-01-03 25408
975 꽃양귀비2024.5.17 (8).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師初得道 사초득도 청남 24-05-18 9
974 꽃양귀비2024.5.17 (6).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摧殘枯木依寒林 최잔고목의한림 청남 24-05-18 8
973 꽃양귀비2024.5.17 (4).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慧能沒技倆 혜능몰기량 청남 24-05-18 7
972 가을 무술년 (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臥輪有技倆 와륜유기량 청남 24-05-15 16
971 가을 무술년 (1).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湘之南潭水之北 상지남담수지북 청남 24-05-15 13
970 가을 18 (14).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視生如在夢 시생여재몽 청남 24-05-15 10
969 14단풍-19.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善旣從心生 선기종심생 청남 24-05-12 17
968 14단풍-17.JPG 佛敎偈頌(불교게송) 推眞眞無相 추진진무상 청남 24-05-12 14
967 14단풍-16.JPG 佛敎偈頌(불교게송) 體道本無修 체도본무수 청남 24-05-12 10
966 무량사 (5).jpeg 佛敎偈頌(불교게송) 見道方修道 견도방수도 청남 24-05-09 15
965 무량사 (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見聞覺知無障礙 견문각지무장애 청남 24-05-09 16
964 만어사 (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四大無主復如水 사대무주부여수 청남 24-05-09 12
963 하늘매발톱2024.4.20 (2).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心地隨時說 심지수시설 청남 24-05-07 15
962 하늘매발톱2024.4.20 (1).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心地含諸種 심지함제종 청남 24-05-07 11
961 풍란.24.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劫火燒海底 겁화소해저 청남 24-05-07 10
960 참꽃4.3.30 (5).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平等如夢幻 평등여몽환 청남 24-05-04 22
959 참꽃4.3.30 (4).JPG 佛敎偈頌(불교게송) 妄立虛假名 망입허가명 청남 24-05-04 16
958 참꽃4.3.30 (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無上大涅槃 무상대열반 청남 24-05-04 15
957 냉이2024.52 (5).JPG 佛敎偈頌(불교게송) 無端起知解 무단기지해 청남 24-05-02 24
956 냉이2024.52 (3).JPG 佛敎偈頌(불교게송) 不見一法存無見 불견일법존무견 청남 24-05-02 1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