懶翁和尙(나옹화상) 世辭詩(세사시)
靑山見我無言以生(청산견아무언이생)
蒼空見我無塵以生(창공견아무진이생)
解脫貪慾解脫嗔怒(해탈탐욕해탈진노)
如水如風生涯以去(여수여풍생애이거)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탐욕도 벗어 놓고 성냄도 벗어 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注】 解脫(해탈)............. 모든 번뇌 망상에서 풀려나다.
嗔怒(진노)............ 어리석음에서 오는 노여움.
懶翁(나옹 1320∼1376) 고려시대의 승려. 이름은 元惠(원혜), 호는 나옹, 법명은 惠 勤(혜근). 속성은 牙(아), 당호는 江月軒(강월헌)이다.
寧海(영해) 사람. 고려 공민왕 때의 왕사.
20세 때 이웃 동무가 죽는 것을 보고, “죽으면 어디로 가느냐”고 어른들에 게 물었으나 아는 사람이 없어, 비통한 생각을 품고, 곡덕산 묘적암에 들어 가서 了然(요연)에게 승려가 되었다. 요연이 나옹에게 “여기 온 것이 무슨 물건인가?” 나옹이 대답하데 “말하고 듣고 하는 것이 왔거니와 보려 해도 볼 수 없고, 찾으려 해도 찾을 수 없습니다.” 여연은 “나도 너와 같아서 알 수 없으니 다른 스님에게 가서 물어라.” 하였다. 스님은 그 곳을 떠나 여러 곳을 다니다가, 화엄사에서 4년 동안 좌선하여 깨달은 바가 있었고, 중국 원나라에게서 指空(지공) 선사를 친견하고 깨달은 바 있었다. 그리하여 지 공의 법의와 불자를 전해 받았다.
귀국하여 고려 공민왕의 왕사가 되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