逍遙禪師(소요선사) 臨終偈(임종게)
解脫非解脫 (해탈비해탈) 涅槃豈故鄕 (열반기고향)
吹毛光爍爍 (취모광삭삭) 口舌犯鋒鋩 (구설범봉망)
|
해탈이라고 할 때 벌써 해탈은 아니로다
열반인들 어찌 고향이랴
취모검 번득이는 빛에
입대지 말라 혀 잘릴라
[註] 解脫(해탈)........... 속세의 모든 고난과 번뇌를 벗어나서 편안한 심경에 이 르는 것
涅槃(열반)......... 불도를 완성하여 번뇌를 해탈한 최고의 경지
豈...................... 어찌 기
吹毛(취모)........... 취모검(날카로운 칼)
爍.......................... 빛날 삭
鋒...................... 칼끝 봉
鋩......................... 칼날 망
逍遙(소요)..... 太能(1562 - 1649) 조선시대의 승려. 호는 逍遙. 속성은 吳. 전라도 潭陽(담양) 사람. 15 살 때 백양산에서 출가하다.
浮休(부휴)선사에게 장경을 배우고, 서산대사에게 나아가 禪旨(선지)를 깨달 았다.
淸虛(청허)의 법통을 이은 큰스님의 한 분이라는 것 이외에 그의 행적에 대 해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조선 인조 27년에 88세로 입적하였다. 연대사에 비가 있고, 보개산 심원사, 지리산 연곡사, 두륜산 대둔사에 부도가 있다.
.JPG)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