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가로수

청남

 

 

가로수

가로수를 심은 아소카 왕

 

역사상 가로수를 누가 제일 먼저 심었는가 하는 것은 확실하지 않으나 지금으로부터 약 2,00여 년 전, 인도의 아소카왕이 가로수를 심었다는 기록이 있다.

아소카왕은 인도 마우라 왕조 제3대 왕이며 성질이 포악하여 집권 초년에는 많은 전쟁을 하였고 무수한 살생을 하였다고 한다 .

카리카를 정복했을 때는 포로 15만 명, 살육 10만 명, 무려 25만 명의 큰 살육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그때의 참혹한 광경을 보고 아소카왕은 크게 뉘우친 바가 있어서, 다시는 전쟁을 하지 않았겠다고 다짐했으며 곧 불교에 귀의하여 과거 살생을 속죄하는 뜻으로 좋은 일을 많이 하였다고 한다.

 

도로를 건설하고, 우물을 파고, 여행자들이 쉬어 갈 수 있는 집을 짓고, 병원을 짓고, 도로마다 행인들이 쉬어 갈 수 있게 가로수를 많이 심었다고 한다.

 

그때부터 도로(道路)가에 가로수를 심게 된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지금도 북인도 지방에는 아소카왕이 세운 것으로 알려진 석주(石柱)가 많이있는데, 이것을 Asoka왕의 석주라고 하며, 돌을 둥근 기둥 모양으로 만들었고 표면을 아름답게 다듬는 것으로써 높이 10m 가 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701
614 오이풀n1.jpg 梅花(매화)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9 11
613 오스태오스퍼멈2024.5.15 (11).JPG 錦帆涇(금범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9 8
612 오동7 사본.jpg 逢吳秀才復歸江上(봉오수재부귀강상)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5 23
611 오동2.JPG 栁(추栁)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5 13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26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7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23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2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7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0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33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6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6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3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70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52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96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61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9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