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送運判朱朝奉入蜀(송운판주조봉입촉) 蘇東坡(소동파)

청남

 

 

送運判朱朝奉入蜀(송운판주조봉입촉) 蘇東坡(소동파)

 

靄靄靑城雲(애애청성운娟娟峨眉月(연연아미월)

隨我西北來(수아서배내照我光不滅(조아광부멸)

我在塵土中(아재진토중白雲呼我歸(백운호아귀)

我游江湖上(아유강호상明月溼我衣(명월습아의)

岷峨天一方(민아천일방雲月在我側(운월재아측)

謂是山中人(위시산중인相望了不隔(상망료부격)

夢尋西南路(몽심서남노黙數長短亭(묵삭장단정)

似聞嘉陵江(사문가능강跳波吹枕屛(도파취침병)

送君無一物(송군무일물淸江飮君馬(청강음군마)

路穿慈竹林(노천자죽림父老拜馬下(부노배마하)

不用驚走藏(부용경주장使者我友生(사자아우생)

聽訟如家人(청송여가인細說爲汝評(세설위여평)

若逢山中友(야봉산중우問我歸何日(문아귀하일)

爲話腰脚輕(위화요각경猶堪踏泉石(유감답천석)

 

 

運判(운판) () 조봉이 촉으로 가는 것을 보내다.

 

자욱한 靑城山(청성산)의 구름

아름다운 峨眉山(아미산)의 달

나를 따라 서북에서 와

나를 비춰 빛 꺼지지 않네.

 

나는 진토에 묻혀 있고

백운은 나를 불러 돌아가라 하는데

내가 강호에서 노니

밝은 달은 내 옷을 촉촉이 적시네.

 

민산과 아미산 하늘 한 쪽에 있고

구름과 달 바로 내 곁에 있으니

일컬어 나는 산속에 사는 사람

달과 구름 서로 바라보며 격이 없다네.

 

꿈에 서남쪽 길을 찾아 가며

말없이 長亭(장정) 短亭(단정)의 수 헤아리니

마치 嘉陵江(가능강) 소리 들리는 듯.

뛰는 파도 병풍 가 베개에 띠고

 

그대 보내는데 아무것도 없어서

그대 말에게 맑은 강물 마시게 하고

慈竹林(자죽림)을 뚫고 나가면

지방 늙은 분이 말에서 내리기 기다리리라.

 

놀라서 숨을 일 없으며

使者(사자)는 나의 벗이니

송사를 듣는 것 일가친척 같이 해

자세히 그대 위해 평을 해주리.

 

만일 그대가 산중에 벗을 만나

나 돌아가는 날 언지냐고 물으면

말해주게, 허리와 다리 가벼워

아직도 山水(산수) 밟을 힘 있다고.

 

運判(운판) 소금을 관리하는 관리.

朝奉(주조) 관직의 이름. 諫官(간관).

靄靄(애애) 구름이 모여드는 모양.

靑城(청성) 산 이름. 岷山(민산)의 한 봉우리.

娟娟(연연) 조용한 모양.

白雲(백운) 仙鄕(선향)의 구름.

江湖(강호) 천하. 온 세상.

天一方(천일방) 하늘의 한 구석.

夢尋(몽심) 六國(육국) 시대, 張敏(장민)은 친구인 高惠(고혜)생각을 어무한 나머지, 꿈에 그 를 찾아가는 꿈을 꾸었는데, 도중에서 길을 알지 못해 돌아왔다는 꿈이야기.

長短亭(장단정) 십리 마다 세운 정자를 長亭(장정), 오리마다 세운 정자를 短亭(단정).

嘉陵江(가능강) 陜西省(협서성) 鳳縣(봉현) 嘉陵谷(가능곡)에서 발원해서 四川省(사천성)을 지나 重慶(중경)에서 長江(장강)에 들어가는 강.

慈竹林(자죽림) 眉山(미산) 彭山縣(팽산현)本竹觀(본죽관)이라는 道觀(도관)이 있는데, 여기에 黃帝(황제)기 손수 심었다는 대나무가 있어 그 곳을 말 한다. 慈竹(자죽)은 대나 무의 일종으로 특히 많이 叢生(총생) 한다.

使者(사자) 主命(주명)을 받고 외부로 심부름 가는 사람.

聽訟(청송) 송사를 듣는 것.

家人(가인) 주역 64괘 가운데 하나. 일가의 내외가 中正(중정)을 얻은 괘상.

泉石(천석) 山水(산수)를 말 함.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29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1 7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1 4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6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1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7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19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0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49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1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5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6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3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592 안개꽃3.JPG 晩坐南齋寫懷(만좌남재사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73
591 안개꽃3 사본.jpg 與劉將軍杜文學晩登西城(여유장군두문학만등서성)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6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