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부석사의 의상을 사랑한 선묘

청남

 

 

부석사의 의상을 사랑한 선묘

 

소재지: 경북 영주시 보석면 북지리 鳳凰山(봉황산) 에 있는 절.

 

어느 사찰을 막론하고 고찰이 우리들에게 주는 편안과 안정은 다 가추고 있다고 하지만 부석사만큼 큰 평안을 가슴에 안겨 주는 사찰은 다시없을 것이다.

주차장에서 멀리 비탈길을 오른 다음 돌계단을 하나하나 밟아 오르면 울창한 주변 산세(山勢) 속에 부각(浮刻)한 듯 커다란 안양루가 보이는데, 그렇게 아름다운 건축물은 다른데서 다시 보기 어려울 것이다.

공중으로 날라 갈 듯 한 날렵함 속에서도 기풍을 잃지 않는 정교함이 있고, 그 뒤에 무량수전과 어울려 말 그대로 극락의 신비를 연상하게 한다.

 

부석사에는 많은 문화제가 있고 유명한 유적이 많지만 석벽(石壁)도 또한 볼만하다. 불국사 석벽이 유명하다 하지만 부서사의 석벽역시 크고 작은 자연석이 잘 어울려 한 폭의 아름다운 무늬의 그림을 연출하고 있다. 기하학적 황금불활의 지식이 그 벽을 쌀을 때 있었는지 알 수 는 없지만, 우리 선조들의 감각적 審美感(심미감)이 이런 걸작을 만들었다고 본다.

그래서 나는 부석사를 찾을 때 꼭 땀을 식히며 조화로운 석벽에도 눈길을 준다.

 

 

의상(義湘)을 사랑한 선묘(善妙)

 

의상(義湘)은 출가하여 입산한지 8년 만에 큰 뜻을 품고 더 깊은 불교의 진리를 탐구하고자 당나라로 갔는데, 그만 양주에서 병을 얻어 성()守衛長(수위장) 집에 병이 낳을 때 까지 며칠 묵게 되었다. 그런데 그 집에 선묘(善妙)라는 아리따운 딸이 있었는데, 잘 생긴 젊은 의상(義湘)을 보자 그만 한 눈에 반해 가슴에 깊은 연정(戀情)을 품게 되었다. 그래서 의상이 완쾌되어 떠나던 날 선묘(善妙)는 간절한 마음을 달리 표현 할 수 없으나 다시 한 번이라도 더 보고 싶어, 귀국할 때 꼭 다시 들러달라고 부탁하였다.

 

()나라에 도착한 의상(義湘)은 지상사에서 지엄대사 밑에서 수학하다가 당나라가 신라를 침범하려는 것을 알고, 그 급한 일을 아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급히 서둘러 귀국하게 되었다.

귀국하는 도중에 약속대로 선묘(善妙)의 집에 들렀으나 마침 선묘가 출타중이어서 만나지 못하고 그대로 귀국길에 올랐다. 뒤늦게 이를 안 선묘가 울면서 의상을 뒤 쫓아와 바다 저 멀리 사라지는 배를 보고, 의상(義湘)에게 주려고 만들어두었던 옷을 던지며 무사히 잘 가라고 축원(祝願)하니 해풍이 일어 의상에게 날라다 주었다고 한다.

 

의상(義湘)을 향한 그리움에 가슴이 타는 선묘(善妙)는 이어 용()이 되어 의상의 귀국을 돕게 해달라며 바다에 몸을 던져버렸다. 옥황상제는 이 가련한 선묘의 청을 받아들여 선묘를 용이 되게 하였다.

 

용이 된 선묘는 의상(義湘)이 탄 배를 호위하니 배는 험한 파도를 가르며 바다를 달려 무사히 귀국 할 수가 있었다.

 

귀국한 의상은 당나라의 침략 의도를 조정에 알리고 그 침략을 방비하게 하였다. 그 뒤 사찰을 건립하라는 왕명을 받고 鳳凰山(봉황산)에 터를 잡으려 했으나 먼저 자리를 잡고 세를 누리던 도적 때 때문에 뜻을 잘 이룰 수가 없었다.

이 때 용이 나타나 큰 바위를 세 차례나 공중에 들어 올렸다 놓으니, 도적들이 겁을 먹고 의상(義湘)에게 굴복하였다. 그리하여 그 자리에 건립한 것이 바로 浮石寺(부석사)이다.

 

그리고 그때, 용이 들어 올린 큰 바위는 무량수전 서편 암벽 밑에 자리 잡고 있다. 善妙龍(선묘룡)은 부석사의 수호신으로 안좌(安坐)했는데 무량수전 주불 밑에서 석등까지 뻗쳐 있어 비늘 모습까지 아련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4848
359 감5 (2).jpg 雨晴後步至四望亭下魚池上遂自乾明寺前東岡上歸 (우청후보지사망정하어지상수자건명사전동강상귀)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23 17
358 감1.JPG 雨晴後步至四望亭下魚池上遂自乾明寺前東岡上歸 (우청후보지사망정하어지상수자건명사전동강상귀)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23 8
357 감 (8).JPG 寓居定惠院之東 雜花滿山 有棠一株 土人不知貴也 (우거정혜원지동 잡화만산 유당일주 토인부지귀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23 10
356 접시꽃. 2024.7 (1).JPG 安國寺尋春(안국사심춘)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21 15
355 백년초2024.7 (3).JPG 卜算子(복산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21 10
354 백년초2024.7 (2).JPG 定惠院寓居月夜偶出(정혜원우거월야우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21 10
353 무궁화.2024.7 (48).JPG 陳季常所蓄朱陳村嫁娶圖(진계상소축주진촌가취도)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8 19
352 무궁화.2024.7 (47).JPG 初到黃州(초도황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8 6
351 무궁화.2024.7 (46).JPG 過淮(과회)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8 13
350 무궁화.2024.7 (15).JPG 蘇東坡(소동파) 海棠篇(해당편) 1080~1084 청남 24-07-15 24
349 무궁화.2024.7 (14).JPG 十二月二十八日蒙恩 責授檢校水部員外郎黃州團練副使 復用前韻 二首 (십이월이십팔일몽은 책수검교수부원외낭황주단련부사 부용전운 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5 11
348 무궁화.2024.7 (13).JPG 予以事繫御史臺獄 獄吏稍見侵 自度不能堪 死獄中不得一別子由 故作二詩 授獄卒梁成 以遺子由 (여이사계어사대옥 옥리초견침 자도부능감 사옥중부득일 별자유 고작이시 수옥졸량성 청남 24-07-15 14
347 하와이무궁화2024.5.9 (1).JPG 與王郎昆仲及兒子邁遶城觀荷花 登峴山亭 晩入飛英寺 分韻得月明星稀 (與王郎昆仲及兒子邁遶城觀荷花 등현산정 만입비영사 분운득월명성희) ​ 四首(사수) -4-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2 22
346 하와이무궁화.24.시. (3).JPG 舟中夜起(주중야기)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2 13
345 하와이무궁화.24.시. (2).JPG 罷徐州往南京馬上走筆寄子由(파서주왕남경마상주필기자유) ​五首(오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2 13
344 하와이무궁화.24.시. (1).JPG 月夜與客飮杏花下(월야여객음행화하)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12 34
343 테트라코나달맞이2024.6.5 (5).JPG 百步洪(백보홍)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9 24
342 테트라코나달맞이2024.6.5 (4).JPG 仲秋月(중추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9 16
341 테트라코나달맞이2024.6.5 (3).JPG 續麗人行(속려인항)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9 17
340 찔래꽃2024.5.17 (29).JPG 韓幹馬十四匹(한간마십사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7 1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