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龍頭山 龍壽寺 普賢菩薩記文

청남

 

 

龍頭山 龍壽寺 普賢菩薩記文

 

記文(기문)龍壽寺(용수사)에서 普賢菩薩(보현보살)을 모실 때 靑南(청남) 權寧漢(권영한)이 주지스님의 요청으로 한지에 붓으로 글을 써서 부처님 품속에 伏藏(복장)한 내용임.

記文(기문)의 양식은 매우 소중한 자료이므로 앞으로 새로 부처님을 모시려는 경우 참고로 하기 바란다.

 

 

龍頭山 龍壽寺 普賢菩薩記文

龍壽寺 寺記에 의하면 이 절은 高麗時代誠源大師가 창건한 古刹로서 創建當時寺勢는 매우 繁昌하였으며 安東地方中心寺刹이 었다.

當時寺勢를 나타내는 記錄에는 創建當時事情을 잘 알수 있는 다음과 같은 內容의 글이 적혀 있었다.

 

龍壽寺安東縣 北方 二十二里 龍頭山에 있으며, 高麗時代誠源大師하여 創建되었다.

高麗 毅宗釋胤和尙에게 龍壽寺賜額하고 崔詵에게 碑文을 쓰게하여 절 안에 碑石을 세우게 했다.

이 절은 巨大寺刹이었기 때문에 首僧으로 하여금 그 일을 맞게하여 三寶住持케 하였다.

法堂名稱圓通寶殿이며 東便別室이며 東便에는 地藏殿이 있고 西便에는 祖堂, 左便에는 禪堂右便에는 內僧堂이 있다.

前方에는 樓閣이 있으니 鐘樓, 西便樓閣水月樓이며 또한 層階房이 있으니 圓通藏師客室이다.

東便樓閣三寶房이다.

法堂 뒤에 두 殿閣極樂殿羅漢殿으로 各處에 크고 작은 幀畵들이 걸려 있다.

 

龍壽寺創建하게된 動機는 늘 外侵이 잦은 것을 念慮毅宗, 外侵히 물리칠수 있는 훌륭한 人材가 많이 나기를 祈願하는 뜻으로 風水地理學에 밝은 사람을 시켜 名山을 찾아 절을 짓게 하였는데, 그 절이 바로 이 龍頭山 龍壽寺었다.

地理學上으로 龍頭山安東主山이고, 龍頭山 중턱에 龍壽寺를 지으면 地氣衝天하고 陰陽和合하여 틀림 없이 國家必要로 하는 훌륭한 人材가 많이 나게되리라한다.

그래서 그런지 龍壽寺를 지은 以後 安東에는 많은 人材가 났고 李朝 500하여 閔妃를 비롯, 여러분의 王妃安東에서 났다.

王妃揀擇되려면 蛾眉山峰이 보여야 하는데, 龍壽寺에서는 蛾眉峰의 두 봉우리가 바로 마주보인다.

그런데 李朝 排佛政策으로 寺刹頹落되자 李退溪龍壽寺祉書院開設하여 龍壽寺弊寺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그 625 事變이 일어나자 書院으로 변한 龍壽寺祉마저 完全燒失되고, 龍壽寺痕迹조차 없어졌다.

龍壽寺弊寺가 되자 安東에는 人材도 옛 처럼 많이 나지 않게 되었다.

 

事實을 안 願行大師龍壽寺 옛 터에, 새로 龍壽寺復元하기로 을 세웠다.

鳳巖寺 住持所任을 맡아 어려운 가운데도 鳳巖寺 大佛事完遂願行大師는 또다시 龍壽寺 復元佛事始作하여 佛紀 2536, 寺地 2萬坪買入하고, 佛紀 2538堂宇를 세우게 되었다.

처음 세운 堂宇大雄殿 44, 療舍 2棟 各各 98을 세우고, 佛紀 2540年 法堂普賢菩薩奉安하게 되었다.

앞으로 未備堂宇增築하여 龍壽寺의 옛 모습이 完全復元되기를 하며 이 記錄를 남긴다.

 

佛紀 2540年 九月 二九日(陰曆)

十一月 九 日(陽曆)

 

 

 

山中帙

證明: 西庵, 月下, 淸霞

禪德: 香果, 信行

首座: 願行

閑住: 法光

持殿: 黙助 妙法

侍者: 何有, 閑守, 梵友, 浪林, 龍聲, 龍珠

佛母: 靑苑, 覺苑

金魚: 林石煥

供司: 李起粉, 蓮池華, 普賢心, 大乘心, 朱敏勅

采供: 黃孝女

負木: 鄭基鳳

都木手: 金範植

都片手: 金應漢, 白永睦

石工: 卓熙烈

瓦工: 金殷東

書記: 權寧漢

事務: 金振燮, 申鉉煜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2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5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9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7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2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7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1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1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0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1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8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6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2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3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592 안개꽃3.JPG 晩坐南齋寫懷(만좌남재사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73
591 안개꽃3 사본.jpg 與劉將軍杜文學晩登西城(여유장군두문학만등서성)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6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