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書林逋詩後(서림포시후) 蘇東坡(소동파)

청남

 

 

書林逋詩後(서림포시후) 蘇東坡(소동파)

 

吳儂生長湖山曲(오농생장호산곡呼吸湖光飮山綠(호흡호광음산녹)

不論世外隱君子(부논세외은군자傭奴販婦皆冰玉(용노판부개빙옥)

先生可是絶俗人(선생가시절속인神淸骨冷無由俗(신청골냉무유속)

我不識君曾夢見(아부식군증몽견瞳子瞭然光可燭(동자료연광가촉)

遺篇妙字處處有(유편묘자처처유步遶西湖看不足(보요서호간부족)

詩如東野不言寒(시여동야부언한書似西臺差少肉(서사서대차소육)

平生高節已難繼(평생고절이난계將死微言猶可錄(장사미언유가녹)

自言不作封禪書(자언부작봉선서更肯悲吟白頭曲(갱긍비음백두곡)

我笑吳人不好事(아소오인부호사好作祠堂傍修竹(호작사당방수죽)

不然配食水仙王(부연배식수선왕一盞寒泉薦秋菊(일잔한천천추국)

 

 

林逋(림포)의 시 뒤에 씀

 

오나라 사람은 西湖(서호)를 둘러싼 산 밑에 살며

호수 빛을 호흡하고 산의 푸름을 마시고 산다.

세상 버린 은군자는 말이 없고(임포선생)

품팔이꾼과 도부상 부인들도 모두 백옥 같은 마음.

 

선생은 세속과 인연 끊고 산 사람은 아니나

정신 맑고 골격 높아 속세와 인연 없는 사람

나는 그대와 면식 없으나 꿈에 본 그대는

눈동자 밝아 촛불같이 빛이 나네.

 

묘한 글자로 남긴 시 곳곳에 있으나

두루 서호를 다녀도 다 보지 못할 정도로 남아 있네.

시는 東野(동야)같이 飢寒(기한)을 말하지 않고

글씨는 西臺(서대) 같으나 좀 더 살이 적네.

 

평생의 높은 절게 누구도 이어가기 힘 드는데

죽음에 임해 남긴 微言(미언) 기록에 남겨도 좋은데.

그가 말하기를 封禪書(봉선서) 미리 써놓지 않는다고

그리고 다시 슬픈 白頭曲(백두곡)을 남기지 않았다네.

 

나는 오나라 사람들 호기심 없는 것 웃는데

내가 사당지어 옆에 대나무 심어주고

아니면 水仙王(수선왕)과 함께 제불 채려

한 잔의 찬물과 국화 영전에 바치리라.

 

林逋(림포) 자는 君復(군복). 杭州(항주) 錢塘(전당) 사람. 어려서 부모를 여이고 평생 홀로 살며 杭州(항주)로 돌아와 西湖(서호) 孤山(고산)에 초막을 짓고 20년간 시내에 발을 들어 넣는 일이 없었다. 두 마리의 학을 기르고, 손님이 오면 이 학을 날려 보내, 서호에서 배를 타고 있는 주인에게 알렸다. 시를 잘 지어 300여 편의 시를 남겼다.

吳儂(오농) () 지방의 사람. ()은 일인칭 및 삼인칭 대명사로 쓰임.

隱君子(은군자) 老子(노자)

傭奴(용노) 공용된 하인

販婦(판부) 행상을 하는 부인

可是(가시) 어찌~이렇게

瞭然(료연) 마음이 맑으면 눈동자도 맑다.

看不足(간부족) 아무리 보아도 더 보고 싶은 것.

東野(동야) () 孟郊(맹교)의 자.그의 시는 困窮(곤궁) 飢寒(기한)의 처절한 경계를 묘사 한 것이 많다.

西臺(서대) () 초기의 서예가, 李建中(이건중). () ()의 오랜 서법을 전하여, 시의 사대부는 다투어 그의 서법을 배워서 쓰는 이가 많았다. 林逋(임포)가 평하 기를 글씨가 약만 마른 듯하여 高士(고사)다운 특색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將死(장사) 사람이 막 죽으려 하는 것.

白頭曲(백두곡) 前漢(전한) 司馬相如(사마상여)의 처 卓文君(탁문군)의 작품이라 전한다. 상여가 茂陵(무릉)의 여자를 첩실로 맞으려하니 탁문군은 이 시를 지어, 백발이 될 때 까 情誼(정의)가 계속 되지 않는 것을 슬퍼 했다. 그 시를 보고 사마상여는 생각 을 고쳤다.

修竹(수죽) 길게 자란 대나무

好事(호사) 호기심이 많은 것.

配食(배식) 여러 신을 함께 제사하며 올리는 제물.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3
612 오동7 사본.jpg 逢吳秀才復歸江上(봉오수재부귀강상)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5 8
611 오동2.JPG 栁(추栁)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5 5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20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1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7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2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8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1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1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0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2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9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7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4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4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