書林逋詩後(서림포시후) 蘇東坡(소동파)
吳儂生長湖山曲(오농생장호산곡) 呼吸湖光飮山綠(호흡호광음산녹)
不論世外隱君子(부논세외은군자) 傭奴販婦皆冰玉(용노판부개빙옥)
先生可是絶俗人(선생가시절속인) 神淸骨冷無由俗(신청골냉무유속)
我不識君曾夢見(아부식군증몽견) 瞳子瞭然光可燭(동자료연광가촉)
遺篇妙字處處有(유편묘자처처유) 步遶西湖看不足(보요서호간부족)
詩如東野不言寒(시여동야부언한) 書似西臺差少肉(서사서대차소육)
平生高節已難繼(평생고절이난계) 將死微言猶可錄(장사미언유가녹)
自言不作封禪書(자언부작봉선서) 更肯悲吟白頭曲(갱긍비음백두곡)
我笑吳人不好事(아소오인부호사) 好作祠堂傍修竹(호작사당방수죽)
不然配食水仙王(부연배식수선왕) 一盞寒泉薦秋菊(일잔한천천추국)
|
林逋(림포)의 시 뒤에 씀
오나라 사람은 西湖(서호)를 둘러싼 산 밑에 살며
호수 빛을 호흡하고 산의 푸름을 마시고 산다.
세상 버린 은군자는 말이 없고(임포선생)
품팔이꾼과 도부상 부인들도 모두 백옥 같은 마음.
선생은 세속과 인연 끊고 산 사람은 아니나
정신 맑고 골격 높아 속세와 인연 없는 사람
나는 그대와 면식 없으나 꿈에 본 그대는
눈동자 밝아 촛불같이 빛이 나네.
묘한 글자로 남긴 시 곳곳에 있으나
두루 서호를 다녀도 다 보지 못할 정도로 남아 있네.
시는 東野(동야)같이 飢寒(기한)을 말하지 않고
글씨는 西臺(서대) 같으나 좀 더 살이 적네.
평생의 높은 절게 누구도 이어가기 힘 드는데
죽음에 임해 남긴 微言(미언) 기록에 남겨도 좋은데.
그가 말하기를 封禪書(봉선서) 미리 써놓지 않는다고
그리고 다시 슬픈 白頭曲(백두곡)을 남기지 않았다네.
나는 오나라 사람들 호기심 없는 것 웃는데
내가 사당지어 옆에 대나무 심어주고
아니면 水仙王(수선왕)과 함께 제불 채려
한 잔의 찬물과 국화 영전에 바치리라.
【註】
林逋(림포) 자는 君復(군복). 杭州(항주) 錢塘(전당) 사람. 어려서 부모를 여이고 평생 홀로 살며 杭州(항주)로 돌아와 西湖(서호) 孤山(고산)에 초막을 짓고 20년간 시내에 발을 들어 넣는 일이 없었다. 두 마리의 학을 기르고, 손님이 오면 이 학을 날려 보내, 서호에서 배를 타고 있는 주인에게 알렸다. 시를 잘 지어 300여 편의 시를 남겼다.
吳儂(오농) 吳(오) 지방의 사람. 儂(농)은 일인칭 및 삼인칭 대명사로 쓰임.
隱君子(은군자) 老子(노자)
傭奴(용노) 공용된 하인
販婦(판부) 행상을 하는 부인
可是(가시) 어찌~이렇게
瞭然(료연) 마음이 맑으면 눈동자도 맑다.
看不足(간부족) 아무리 보아도 더 보고 싶은 것.
東野(동야) 唐(당) 孟郊(맹교)의 자.그의 시는 困窮(곤궁) 飢寒(기한)의 처절한 경계를 묘사 한 것이 많다.
西臺(서대) 宋(송) 초기의 서예가, 李建中(이건중). 晋(진) 唐(당)의 오랜 서법을 전하여, 당 시의 사대부는 다투어 그의 서법을 배워서 쓰는 이가 많았다. 林逋(임포)가 평하 기를 글씨가 약만 마른 듯하여 高士(고사)다운 특색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將死(장사) 사람이 막 죽으려 하는 것.
白頭曲(백두곡) 前漢(전한) 司馬相如(사마상여)의 처 卓文君(탁문군)의 작품이라 전한다. 상여가 茂陵(무릉)의 여자를 첩실로 맞으려하니 탁문군은 이 시를 지어, 백발이 될 때 까 지 情誼(정의)가 계속 되지 않는 것을 슬퍼 했다. 그 시를 보고 사마상여는 생각 을 고쳤다.
修竹(수죽) 길게 자란 대나무
好事(호사) 호기심이 많은 것.
配食(배식) 여러 신을 함께 제사하며 올리는 제물.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