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書林逋詩後(서림포시후) 蘇東坡(소동파)

청남

 

 

書林逋詩後(서림포시후) 蘇東坡(소동파)

 

吳儂生長湖山曲(오농생장호산곡呼吸湖光飮山綠(호흡호광음산녹)

不論世外隱君子(부논세외은군자傭奴販婦皆冰玉(용노판부개빙옥)

先生可是絶俗人(선생가시절속인神淸骨冷無由俗(신청골냉무유속)

我不識君曾夢見(아부식군증몽견瞳子瞭然光可燭(동자료연광가촉)

遺篇妙字處處有(유편묘자처처유步遶西湖看不足(보요서호간부족)

詩如東野不言寒(시여동야부언한書似西臺差少肉(서사서대차소육)

平生高節已難繼(평생고절이난계將死微言猶可錄(장사미언유가녹)

自言不作封禪書(자언부작봉선서更肯悲吟白頭曲(갱긍비음백두곡)

我笑吳人不好事(아소오인부호사好作祠堂傍修竹(호작사당방수죽)

不然配食水仙王(부연배식수선왕一盞寒泉薦秋菊(일잔한천천추국)

 

 

林逋(림포)의 시 뒤에 씀

 

오나라 사람은 西湖(서호)를 둘러싼 산 밑에 살며

호수 빛을 호흡하고 산의 푸름을 마시고 산다.

세상 버린 은군자는 말이 없고(임포선생)

품팔이꾼과 도부상 부인들도 모두 백옥 같은 마음.

 

선생은 세속과 인연 끊고 산 사람은 아니나

정신 맑고 골격 높아 속세와 인연 없는 사람

나는 그대와 면식 없으나 꿈에 본 그대는

눈동자 밝아 촛불같이 빛이 나네.

 

묘한 글자로 남긴 시 곳곳에 있으나

두루 서호를 다녀도 다 보지 못할 정도로 남아 있네.

시는 東野(동야)같이 飢寒(기한)을 말하지 않고

글씨는 西臺(서대) 같으나 좀 더 살이 적네.

 

평생의 높은 절게 누구도 이어가기 힘 드는데

죽음에 임해 남긴 微言(미언) 기록에 남겨도 좋은데.

그가 말하기를 封禪書(봉선서) 미리 써놓지 않는다고

그리고 다시 슬픈 白頭曲(백두곡)을 남기지 않았다네.

 

나는 오나라 사람들 호기심 없는 것 웃는데

내가 사당지어 옆에 대나무 심어주고

아니면 水仙王(수선왕)과 함께 제불 채려

한 잔의 찬물과 국화 영전에 바치리라.

 

林逋(림포) 자는 君復(군복). 杭州(항주) 錢塘(전당) 사람. 어려서 부모를 여이고 평생 홀로 살며 杭州(항주)로 돌아와 西湖(서호) 孤山(고산)에 초막을 짓고 20년간 시내에 발을 들어 넣는 일이 없었다. 두 마리의 학을 기르고, 손님이 오면 이 학을 날려 보내, 서호에서 배를 타고 있는 주인에게 알렸다. 시를 잘 지어 300여 편의 시를 남겼다.

吳儂(오농) () 지방의 사람. ()은 일인칭 및 삼인칭 대명사로 쓰임.

隱君子(은군자) 老子(노자)

傭奴(용노) 공용된 하인

販婦(판부) 행상을 하는 부인

可是(가시) 어찌~이렇게

瞭然(료연) 마음이 맑으면 눈동자도 맑다.

看不足(간부족) 아무리 보아도 더 보고 싶은 것.

東野(동야) () 孟郊(맹교)의 자.그의 시는 困窮(곤궁) 飢寒(기한)의 처절한 경계를 묘사 한 것이 많다.

西臺(서대) () 초기의 서예가, 李建中(이건중). () ()의 오랜 서법을 전하여, 시의 사대부는 다투어 그의 서법을 배워서 쓰는 이가 많았다. 林逋(임포)가 평하 기를 글씨가 약만 마른 듯하여 高士(고사)다운 특색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將死(장사) 사람이 막 죽으려 하는 것.

白頭曲(백두곡) 前漢(전한) 司馬相如(사마상여)의 처 卓文君(탁문군)의 작품이라 전한다. 상여가 茂陵(무릉)의 여자를 첩실로 맞으려하니 탁문군은 이 시를 지어, 백발이 될 때 까 情誼(정의)가 계속 되지 않는 것을 슬퍼 했다. 그 시를 보고 사마상여는 생각 을 고쳤다.

修竹(수죽) 길게 자란 대나무

好事(호사) 호기심이 많은 것.

配食(배식) 여러 신을 함께 제사하며 올리는 제물.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126
422 돌나물 (1).JPG 臨城道中作(임성도중작)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10
421 도토리n3.jpg 南海篇(남해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6
420 도토리n2.jpg 三月二十日多葉杏盛開(삼월이십일다섭행성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7
419 도꼬로마3.JPG 書丹元子所示李太白眞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7 14
418 도꼬로마2.JPG 東府雨中別子由(동부우중별자유)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7 13
417 도꼬로마1.JPG 七年九月 自廣陵召還 復館於浴室東堂 八年六月 乞會稽 將去 汶公乞詩 乃復用前韻 三首 (칠년구월 자광능소환 부관어욕실동당 팔년륙월 걸회계 장거 문공걸시 내부용전운 삼수) - 청남 24-09-27 11
416 대나무 식물 (1).JPG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20
415 대나무 사본7.jpg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15
414 대극5.JPG 軾在潁州 與趙德麟同治西湖 未成 改揚州 三月十六日湖成 德麟有詩 見懷 次其韻(식재영주 여조덕린동치서호 미성 개양주 삼월십륙 일호성 덕린유시견회 차기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15
413 당귀1.JPG 淮上早發(회상조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27
412 담쟁이덩굴7.JPG 送運判朱朝奉入蜀(송운판주조봉입촉)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14
411 담쟁이덩굴6.JPG 聚星堂雪(취성당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16
410 단풍 (14).JPG 泛潁(범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22
409 단풍 (13).JPG 放魚(방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17
408 단풍 (12).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3-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15
407 다육 24.3  (60).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2-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23
406 다육 24.3  (59).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1-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19
405 다육 24.3  (58).JPG 再和楊公濟梅花十絶(재화양공제매화십절)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18
404 다육 24.3  (57).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8-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16
403 느티나무 (1).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