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 蘇東坡(소동파)

청남

 

 

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蘇東坡(소동파)

 

楚山固多猿(초산고다원靑者黠而壽(청자힐이수)

化爲狂道士(화위광도사山谷姿騰蹂(산곡자등유)

誤入華陽洞(오입화양동竊飮茅君酒(절음모군주)

君命囚巖間(군명수암간巖石爲械杻(암석위계뉴)

松根絡其足(송근락기족藤蔓縛其肘(등만박기주)

蒼苔眯其目(창태미기목叢棘哽其口(총극경기구)

三年化爲石(삼년화위석堅瘦敵瓊玖(견수적경구)

無復號雲聲(무부호운성空餘舞杯手(공여무배수)

樵夫見之笑(초부견지소抱賣易升斗(포매역승두)

楊公海中仙(양공해중선世俗那得友(세속나득우)

海邊逢姑射(해변봉고사一笑微俛首(일소미면수)

胡不載之歸(호부재지귀用此頑且醜(용차완차추)

求詩紀其異(구시기기리本末得細剖(본말득세부)

吾言豈妄云(오언개망운得之亡是叟(득지망시수)

 

 

楊康功(양강공)에게 돌이 있는데 모양이 취한 도사 같아 이시를 지음.

 

楚山(초산)에는 원래 원숭이가 많은데

검푸른 놈이 교활하고 수명도 길다.

한 마리가 광기 있는 도사로 변해

산과 계곡을 마음대로 누비다가

실수로 華陽洞(화양동)에 들어가

茅君(모군)의 술을 훔쳐 먹었다.

 

모군의 명령으로 바위틈에 갇히어

암석이 벌을 받는 형틀이 되었다.

소나무 뿌리가 그 발을 감고

등 칡덩굴이 그 팔을 묶었으며

푸른 이끼가 그 눈을 막고

무성한 가시덩굴이 그 입을 막았다.

 

삼년 만에 돌로 변해

단단하고 아름다운 옥이 되어.

다시는 구름까지 닿는 울음소리 없어지고

잔을 들고 춤추는 손 모양이 겨우 남았는데

나무꾼 이를 보고 웃으며

안고 와 팔아서 한 말 술을 샀다..

 

楊公(양공)은 바다 속의 신선

세속 사람과 어찌 벗을 하랴

해변에서 선인 姑射(고사)를 만나

웃으면서 고개 숙이고 말하기를

이것을 갖고 가셔서 써보시게

이 완고하고 추악한 돌

 

이런 본말을 자세히 알아냈는데

내가 말을 어찌 거짓말을 하랴

이 이야기 亡是叟(망시수)에게 들었다네.

 

楊康功(양강공) 華陰(화음) 사람. 揚州(양주) ()로 있다가 죽었다.

() 狡猾(교활)하다.

() 뜻과 언동이 큰 것.

騰蹂(등유) 짓밟고 으로다.

華陽洞(화양동) 도교의 仙經(선경)에 의하면 36洞天(동천)가운데 제8동천이며 大茅君(대모군) 다스리는 곳.

茅君(모군) ()茅盈(모영)은 동생인 茅衷(모충), 茅固(모고)와 함께 茅山(모산)에 가서 살았는데 그들은 三茅君(삼모군)이라 하였다.

械杻(계뉴) 형틀.

() 잘 보이지 않는 것.

() 음식물이 목에 걸려 넘어가지 않는 것.

三年化爲石(삼년화위석) 莊子(장자) 外物篇(외물편)萇弘(장홍)의 피를 3년간 저장해 두었더니 (벽옥)이 되었다고 한다.

堅瘦(견수) 돌이 굳게 굳은 모양.

() 匹敵(필적)하다.

瓊玖(경구) 옥의 아름다운 색

楊公海中仙(양공해중선) 楊景略(양경략)이 고려에 사자로 갔다가 온 일이 있었음으로 이렇게 부른다.

姑射(고사) 신선이 사는 산.

俛首(면수) 고개를 구부리고

() 완고한 모양

() 열다. 분석하다.

亡是叟(망시수) 司馬相如(사마상여)子虛賦(자허부)烏有(오유) 선생과 亡是公(망시공)의 대 화가 있다. 烏有(오유)어디에 있나.”, 亡是(망시)이는 없다.”라는 뜻으로 虛構(허구)의 인물임을 그 이름으로 재미있게 표시하였다.

 

解說

한 개의 水石(수석)을 보고, 상상으로 그 돌에 얽힌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蘇軾(소식)의 풍부한 상상력에 다만 감탄 할 따름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127
422 돌나물 (1).JPG 臨城道中作(임성도중작)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11
421 도토리n3.jpg 南海篇(남해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6
420 도토리n2.jpg 三月二十日多葉杏盛開(삼월이십일다섭행성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7
419 도꼬로마3.JPG 書丹元子所示李太白眞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7 14
418 도꼬로마2.JPG 東府雨中別子由(동부우중별자유)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7 13
417 도꼬로마1.JPG 七年九月 自廣陵召還 復館於浴室東堂 八年六月 乞會稽 將去 汶公乞詩 乃復用前韻 三首 (칠년구월 자광능소환 부관어욕실동당 팔년륙월 걸회계 장거 문공걸시 내부용전운 삼수) - 청남 24-09-27 11
416 대나무 식물 (1).JPG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20
415 대나무 사본7.jpg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15
414 대극5.JPG 軾在潁州 與趙德麟同治西湖 未成 改揚州 三月十六日湖成 德麟有詩 見懷 次其韻(식재영주 여조덕린동치서호 미성 개양주 삼월십륙 일호성 덕린유시견회 차기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15
413 당귀1.JPG 淮上早發(회상조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27
412 담쟁이덩굴7.JPG 送運判朱朝奉入蜀(송운판주조봉입촉)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14
411 담쟁이덩굴6.JPG 聚星堂雪(취성당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16
410 단풍 (14).JPG 泛潁(범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22
409 단풍 (13).JPG 放魚(방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17
408 단풍 (12).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3-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15
407 다육 24.3  (60).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2-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23
406 다육 24.3  (59).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1-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19
405 다육 24.3  (58).JPG 再和楊公濟梅花十絶(재화양공제매화십절)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18
404 다육 24.3  (57).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8-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16
403 느티나무 (1).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