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 蘇東坡(소동파)

청남

 

 

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蘇東坡(소동파)

 

楚山固多猿(초산고다원靑者黠而壽(청자힐이수)

化爲狂道士(화위광도사山谷姿騰蹂(산곡자등유)

誤入華陽洞(오입화양동竊飮茅君酒(절음모군주)

君命囚巖間(군명수암간巖石爲械杻(암석위계뉴)

松根絡其足(송근락기족藤蔓縛其肘(등만박기주)

蒼苔眯其目(창태미기목叢棘哽其口(총극경기구)

三年化爲石(삼년화위석堅瘦敵瓊玖(견수적경구)

無復號雲聲(무부호운성空餘舞杯手(공여무배수)

樵夫見之笑(초부견지소抱賣易升斗(포매역승두)

楊公海中仙(양공해중선世俗那得友(세속나득우)

海邊逢姑射(해변봉고사一笑微俛首(일소미면수)

胡不載之歸(호부재지귀用此頑且醜(용차완차추)

求詩紀其異(구시기기리本末得細剖(본말득세부)

吾言豈妄云(오언개망운得之亡是叟(득지망시수)

 

 

楊康功(양강공)에게 돌이 있는데 모양이 취한 도사 같아 이시를 지음.

 

楚山(초산)에는 원래 원숭이가 많은데

검푸른 놈이 교활하고 수명도 길다.

한 마리가 광기 있는 도사로 변해

산과 계곡을 마음대로 누비다가

실수로 華陽洞(화양동)에 들어가

茅君(모군)의 술을 훔쳐 먹었다.

 

모군의 명령으로 바위틈에 갇히어

암석이 벌을 받는 형틀이 되었다.

소나무 뿌리가 그 발을 감고

등 칡덩굴이 그 팔을 묶었으며

푸른 이끼가 그 눈을 막고

무성한 가시덩굴이 그 입을 막았다.

 

삼년 만에 돌로 변해

단단하고 아름다운 옥이 되어.

다시는 구름까지 닿는 울음소리 없어지고

잔을 들고 춤추는 손 모양이 겨우 남았는데

나무꾼 이를 보고 웃으며

안고 와 팔아서 한 말 술을 샀다..

 

楊公(양공)은 바다 속의 신선

세속 사람과 어찌 벗을 하랴

해변에서 선인 姑射(고사)를 만나

웃으면서 고개 숙이고 말하기를

이것을 갖고 가셔서 써보시게

이 완고하고 추악한 돌

 

이런 본말을 자세히 알아냈는데

내가 말을 어찌 거짓말을 하랴

이 이야기 亡是叟(망시수)에게 들었다네.

 

楊康功(양강공) 華陰(화음) 사람. 揚州(양주) ()로 있다가 죽었다.

() 狡猾(교활)하다.

() 뜻과 언동이 큰 것.

騰蹂(등유) 짓밟고 으로다.

華陽洞(화양동) 도교의 仙經(선경)에 의하면 36洞天(동천)가운데 제8동천이며 大茅君(대모군) 다스리는 곳.

茅君(모군) ()茅盈(모영)은 동생인 茅衷(모충), 茅固(모고)와 함께 茅山(모산)에 가서 살았는데 그들은 三茅君(삼모군)이라 하였다.

械杻(계뉴) 형틀.

() 잘 보이지 않는 것.

() 음식물이 목에 걸려 넘어가지 않는 것.

三年化爲石(삼년화위석) 莊子(장자) 外物篇(외물편)萇弘(장홍)의 피를 3년간 저장해 두었더니 (벽옥)이 되었다고 한다.

堅瘦(견수) 돌이 굳게 굳은 모양.

() 匹敵(필적)하다.

瓊玖(경구) 옥의 아름다운 색

楊公海中仙(양공해중선) 楊景略(양경략)이 고려에 사자로 갔다가 온 일이 있었음으로 이렇게 부른다.

姑射(고사) 신선이 사는 산.

俛首(면수) 고개를 구부리고

() 완고한 모양

() 열다. 분석하다.

亡是叟(망시수) 司馬相如(사마상여)子虛賦(자허부)烏有(오유) 선생과 亡是公(망시공)의 대 화가 있다. 烏有(오유)어디에 있나.”, 亡是(망시)이는 없다.”라는 뜻으로 虛構(허구)의 인물임을 그 이름으로 재미있게 표시하였다.

 

解說

한 개의 水石(수석)을 보고, 상상으로 그 돌에 얽힌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蘇軾(소식)의 풍부한 상상력에 다만 감탄 할 따름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5
612 오동7 사본.jpg 逢吳秀才復歸江上(봉오수재부귀강상)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5 9
611 오동2.JPG 栁(추栁)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5 6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21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1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7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2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8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1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1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0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2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9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7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4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4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