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蘇東坡(소동파)
楚山固多猿(초산고다원) 靑者黠而壽(청자힐이수)
化爲狂道士(화위광도사) 山谷姿騰蹂(산곡자등유)
誤入華陽洞(오입화양동) 竊飮茅君酒(절음모군주)
君命囚巖間(군명수암간) 巖石爲械杻(암석위계뉴)
松根絡其足(송근락기족) 藤蔓縛其肘(등만박기주)
蒼苔眯其目(창태미기목) 叢棘哽其口(총극경기구)
三年化爲石(삼년화위석) 堅瘦敵瓊玖(견수적경구)
無復號雲聲(무부호운성) 空餘舞杯手(공여무배수)
樵夫見之笑(초부견지소) 抱賣易升斗(포매역승두)
楊公海中仙(양공해중선) 世俗那得友(세속나득우)
海邊逢姑射(해변봉고사) 一笑微俛首(일소미면수)
胡不載之歸(호부재지귀) 用此頑且醜(용차완차추)
求詩紀其異(구시기기리) 本末得細剖(본말득세부)
吾言豈妄云(오언개망운) 得之亡是叟(득지망시수)
|
楊康功(양강공)에게 돌이 있는데 모양이 취한 도사 같아 이시를 지음.
楚山(초산)에는 원래 원숭이가 많은데
검푸른 놈이 교활하고 수명도 길다.
한 마리가 광기 있는 도사로 변해
산과 계곡을 마음대로 누비다가
실수로 華陽洞(화양동)에 들어가
茅君(모군)의 술을 훔쳐 먹었다.
모군의 명령으로 바위틈에 갇히어
암석이 벌을 받는 형틀이 되었다.
소나무 뿌리가 그 발을 감고
등 칡덩굴이 그 팔을 묶었으며
푸른 이끼가 그 눈을 막고
무성한 가시덩굴이 그 입을 막았다.
삼년 만에 돌로 변해
단단하고 아름다운 옥이 되어.
다시는 구름까지 닿는 울음소리 없어지고
잔을 들고 춤추는 손 모양이 겨우 남았는데
나무꾼 이를 보고 웃으며
안고 와 팔아서 한 말 술을 샀다..
楊公(양공)은 바다 속의 신선
세속 사람과 어찌 벗을 하랴
해변에서 선인 姑射(고사)를 만나
웃으면서 고개 숙이고 말하기를
이것을 갖고 가셔서 써보시게
이 완고하고 추악한 돌
이런 본말을 자세히 알아냈는데
내가 말을 어찌 거짓말을 하랴
이 이야기 亡是叟(망시수)에게 들었다네.
【註】
楊康功(양강공) 華陰(화음) 사람. 揚州(양주) 知(지)로 있다가 죽었다.
黠(힐) 狡猾(교활)하다.
狂(광) 뜻과 언동이 큰 것.
騰蹂(등유) 짓밟고 으로다.
華陽洞(화양동) 도교의 仙經(선경)에 의하면 36洞天(동천)가운데 제8동천이며 大茅君(대모군)이 다스리는 곳.
茅君(모군) 漢(한)의 茅盈(모영)은 동생인 茅衷(모충), 茅固(모고)와 함께 茅山(모산)에 가서 살았는데 그들은 三茅君(삼모군)이라 하였다.
械杻(계뉴) 형틀.
眯(미) 잘 보이지 않는 것.
哽(경) 음식물이 목에 걸려 넘어가지 않는 것.
三年化爲石(삼년화위석) 莊子(장자) 外物篇(외물편)에 萇弘(장홍)의 피를 3년간 저장해 두었더니 碧 玉(벽옥)이 되었다고 한다.
堅瘦(견수) 돌이 굳게 굳은 모양.
敵(적) 匹敵(필적)하다.
瓊玖(경구) 옥의 아름다운 색
楊公海中仙(양공해중선) 楊景略(양경략)이 고려에 사자로 갔다가 온 일이 있었음으로 이렇게 부른다.
姑射(고사) 신선이 사는 산.
俛首(면수) 고개를 구부리고
頑(완) 완고한 모양
剖(부) 열다. 분석하다.
亡是叟(망시수) 司馬相如(사마상여)의 子虛賦(자허부)에 烏有(오유) 선생과 亡是公(망시공)의 대 화가 있다. 烏有(오유)란 “어디에 있나.”, 亡是(망시)란 “이는 없다.”라는 뜻으로 虛構(허구)의 인물임을 그 이름으로 재미있게 표시하였다.
【解說】
한 개의 水石(수석)을 보고, 상상으로 그 돌에 얽힌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蘇軾(소식)의 풍부한 상상력에 다만 감탄 할 따름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