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書丹元子所示李太白眞 蘇東坡(소동파)

청남

 

 

書丹元子所示李太白眞 蘇東坡(소동파)

 

天人幾何同一漚(천인기하동일구謫仙非謫乃其游(적선비적내기유)

麾斥八極隘九州(휘척팔극애구주化爲兩鳥鳴相酬(화위량조명상수)

一鳴一止三千秋(일명일지삼천추開元有道爲少留(개원유도위소류)

縻之不可矧肯求(미지부가신긍구西望太白橫峨岷(서망태백횡아민)

眼高四海空無人(안고사해공무인大兒汾陽中令君(대아분양중령군)

小兒天台坐忘身(소아천태좌망신平生不識高將軍(평생부식고장군)

手汙吾足乃敢瞋(수오오족내감진作詩一笑君應聞(작시일소군응문)

 

丹元子(단원자)가 가리키는 李太白(리태백)의 초상화에 부침.

 

천인은 얼마나 물거품 같은 우리 인생과 함께 하리

李謫仙(이적선)은 귀양 온 것 아니고 유람 왔다네.

구주를 좁다하며 세상 八極(팔극)까지 돌아다니며

두 마리 새가 되어 서로 마주 울어대는데

한번 울고 한번 그치는데 그것이 삼천년

開元(개원)에는 ()가 있어 잠시 머물었는데

그때 잡아두지 못 했으니 찾아도 찾을 수 없네.

 

서쪽 바라보니 태백산과 민산 아미산 솟아있고

눈이 높아 사해를 봐도 눈에 차는 사람이 없는데

그래도 연장자로 汾陽(분양)의 중령군 郭子儀(곽자의)

연소자로는 천태에 坐忘(좌망)하는 몸인 司馬子微(사마자미)

평소 고장군 高力士(고력사)를 알지 못했기에

그의 손이 내 발을 더럽혀도 성낼지 말 것을

시를 지어 한바탕 웃으니 그대도 들어 보게.

 

丹元子(단원자) 姚丹元(요단원). 京師(경사) 부호 ()씨의 아들. 方術(방술)을 이루어 丹藥( )을 만들어 王繹(왕역) 혹은 王元誠(왕원성)이라 하였다. 요술을 써서 徽宗( )의 신임을 받던 도사 林靈素(임영소)를 적극 배격한 탓으로 宣和(선화) 말경 독살 당했다.

一漚(일구) 하나의 물거품. 덧없는 인생을 말 한다.

麾斥(휘척)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

隘九州(애구주) 九州(구주)를 좁다고 여기는 것.

太白(태백) 太白山(태백산)

汾陽中令君(분양중령군) ()郭子儀(곽자의). 법에 저촉되었을 때 蘇軾(소식)의 도움으로 구제 받고, 安祿山(안록산)의 난을 평정하는 공을 세워 中書令(중서령)이 되어 汾陽王 (분양왕)에 봉해졌다.

天台坐忘身(천태좌망신) 司馬子微(사마자미). 坐忘論(좌망론)을 저술하였다. 좌망이란 자연스럽게 (물아)의 구별을 잊는 것.

高將軍(고장군) 高力士(고력사). 驃騎(표기)대장군.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29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1 7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5-07-01 4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6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1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7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19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0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49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1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5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6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3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592 안개꽃3.JPG 晩坐南齋寫懷(만좌남재사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73
591 안개꽃3 사본.jpg 與劉將軍杜文學晩登西城(여유장군두문학만등서성)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6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