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三月二十日多葉杏盛開(삼월이십일다섭행성개) 蘇東坡(소동파)

청남

 

 

三月二十日多葉杏盛開(삼월이십일다섭행성개) 蘇東坡(소동파)

 

零露泫月蕊(령노현월예溫風散晴葩(온풍산청파)

春工了不睡(춘공료부수連夜開此花(련야개차화)

芳心誰剪刻(방심수전각天質自淸華(천질자청화)

惱客香有無(뇌객향유무弄粧影橫斜(농장영횡사)

中山古戰國(중산고전국殺氣浮高牙(살기부고아)

叢臺餘袨服(총대여현복易水雄悲笳(역수웅비가)

自從此花開(자종차화개玉肌洗塵沙(옥기세진사)

坐令游俠窟(좌령유협굴化作溫柔家(화작온유가)

我老念江海(아노념강해不飮空咨嗟(부음공자차)

劉郎歸何日(류낭귀하일紅桃爍殘霞(홍도삭잔하)

明年花開時(명년화개시擧酒望三巴(거주망삼파)

 

320일 겹 앵두 활짝 피다.

 

달빛아래 조용히 내린 이슬 꽃술에 빛나고

따듯한 바람은 맑은 날에 핀 꽃잎 흩날리는데

봄의 신 밤새 자지 않고

밤을 새워 이 꽃을 피게 했네.

 

이 아름다운 꽃 누가 만들었나.

하늘이 준 자질 스스로 맑고 아름다워

나그네 괴롭히는 향 있거나 없거나

단장한 고운가지 옆으로 빗겨 있네.

 

中山(중산)은 옛 전국시대의 땅

높은 牙旗(아기)엔 살기 넘쳤는데

叢臺(총대) 아래엔 성시를 이루었고

易水(이수) 에는 슬픈 피리소리 울려 펴졌네.

 

이 꽃이 피게 된 것은

塵沙(진사)를 씻고 옥 같은 살결 들어난 듯

그로부터 游俠(유협)의 굴도

온유한 집과 같이 되었다네.

 

나는 늙어 자연을 생각하며

술도 마시지 않고 탄식만 하는데

劉郎(류낭)은 어느 날에 돌아오려나.

홍도는 저녁노을에 빛나고 있는데.

 

명년에 꽃이 필 때

술잔 들고 三巴(삼파)를 바라보리.

 

多葉杏(다섭행) 겹 살구

() 꽃술.

() 꽃잎

春工(춘공) 봄을 과장하는 신.

連夜(련야) ()測天武后(측천무후)上苑(상원)에 놀려고 관리자에게 통첩을 했다. 새 불을 피워서라도 꽃을 피게 하라고 하였다.

中山(중산) 戰國時代(전국시대) 定州(정주) 부근에 있었던 나라의 이름. ()() 중산 땅에는 질이 나쁜 사람들이 살며, 살인, 도굴 등이 자행되는 난폭한 곳이라 했다.

() 牙旗(아기). 천자 또는 장군의 깃발. 깃대 끝에 상아 장식이 달려 있다.

叢臺(총대) 지금의 邯鄲縣(감단현) 성 동북에 ()武靈王(무영왕)이 만든 대인데 그 부 근에 여러 개 있었다고 한다.

袨服(현복) 성장할 때 입는 좋은 옷.

易水(역수) 定州(정주) 북쪽을 흐르는 강.

劉郎(류낭) ()劉禹錫(유우석).

三巴(삼파) 三巴(삼파). 巴郡(파군), 巴東(파동), 巴西(파서).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2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5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9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7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2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7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1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1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0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1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8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6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2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3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592 안개꽃3.JPG 晩坐南齋寫懷(만좌남재사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73
591 안개꽃3 사본.jpg 與劉將軍杜文學晩登西城(여유장군두문학만등서성)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6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