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天竺寺(천축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天竺寺(천축사) 蘇東坡(소동파)

 

香山居士留遺跡(향산거사류유적天竺禪師有故家(천축선사유고가)

空詠連珠吟疊璧(공영련주음첩벽已亡飛鳥失驚蛇(이망비조실경사)

林深野桂寒無子(림심야계한무자雨浥山薑病有花(우읍산강병유화)

四十七年眞一夢(사십칠년진일몽天涯流落淚橫斜(천애류낙누횡사)

 

天竺寺(천축사)

 

천축사엔 향산거사가 남은 유적이 있고

천축선사의 고가도 있네.

연주체 아름다운 시를 읊어보는데

이미 새 날고 뱀 놀랄만한 필적은 사라져 없네.

 

숲이 깊어 야생 계수나무는 그늘로 열매 맺지 않고

비에 젖은 생각은 죽어가며 겨우 꽃이 피었는데

사십칠 년은 진실로 한바탕 꿈과 같고

하늘 끝으로 유랑하는 몸 눈물 한 없이 흐르네.

 

天竺寺(천축사) 虔州(건주) 성 밖 40貢水(공수) 동쪽에 있는 절.

香山居士(향산거사) 白居易(백거이)河南(하남) ()으로 있을 때 香山寺(향산사) 승려와 친하게 지냈는데 그 때 향산거사라고 불렀다.

連珠(련주) 聯珠體(연주체)의 시를 말 한다. 白居易(백거이)의 시와 같이 고의로 같은 글자를 많이 쓰는 것.

疊璧(첩벽) 白居易(백거이)의 시에서 疊用(첩용)되는 구절.

飛鳥失驚蛇(비조실경사) 여기서는 白居易(백거이)의 뛰어난 墨跡(묵적)을 말 함.

山薑(산강) 생강

 

解說

予年十二 先君自虔州歸 爲予言 近城山中天竺寺 有樂天親書詩云

一山門作兩山門 兩寺原從一寺分 東澗水流西澗水 南山雲起北山雲 前臺花發後臺見 上界鐘聲下界聞 遙想吾師行道處 天香桂子落紛紛

筆勢奇逸 墨跡如新 今四十七年矣 予來訪之 則詩已亡 有石刻存耳 感涕不已 而作是詩

 

紹聖(소성) 원년(1094), 惠州(혜주)로 가는 도중 虔州(건주)에서 지은 시이다. 47년 전 여행에서 돌아온 아버지로부터 건주 천축사에 백락천의 자필 시가 있다는 말을 들은 東坡(동파), 지금 惠州(혜주)로 가는 도중, 천축사에 들러 보니 詩稿(시고)는 이미 없어졌고, 그 시가 돌에 조각되어 있었다. 필적이 기이하고 묵적은 바로 지금 쓴 것과 같았는데, 지금 47년 뒤 방문해 보니 감회가 깊어 눈물이 나 이시를 지어서 남기로 했다. 백락천의 시는 다음과 같았다.

 

一山門作兩山門(일산문작량산문)

兩寺原從一寺分(량사원종일사분)

東澗水流西澗水(동간수류서간수)

南山雲起北山雲(남산운기배산운)

前臺花發後臺見(전대화발후대견)

上界鐘聲下界聞(상계종성하계문)

遙想吾師行道處(요상오사항도처)

天香桂子落紛紛(천향계자낙분분)

 

한 산의 문은 두 산의 문이 되고

두 절은 원래 한 절에서 갈라졌네.

동쪽 계곡의 물을 흘러 서쪽 계곡 물이 되고

남산에 구름 일어 북산의 구름 되네.

 

앞에 누대에 꽃피니 뒤 누대서 볼 수 있고

상계의 종소리 하계에서도 들리는데

아득히 생각하기를 우리 스승 가신 곳

하늘의 향기와 계수나무 열매 떨어져 분분한 곳이리.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36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1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7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7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9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1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2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27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0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1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0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1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49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87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56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1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59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3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59
592 안개꽃3.JPG 晩坐南齋寫懷(만좌남재사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73
591 안개꽃3 사본.jpg 與劉將軍杜文學晩登西城(여유장군두문학만등서성)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4 6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