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十一月二十六日松風亭下梅花盛開 (십일월이십륙일송풍정하매화성개) 蘇東坡(소동파)

청남

 

 

十一月二十六日松風亭下梅花盛開

 

(십일월이십륙일송풍정하매화성개) 蘇東坡(소동파)

 

春風嶺上淮南村(춘풍령상회남촌昔年梅花曾斷魂(석년매화증단혼)

豈知流落復相見(개지류낙부상견蠻風蜑雨愁黃昏(만풍단우수황혼)

長條半落荔支浦(장조반낙려지포臥樹獨秀桄榔園(와수독수광랑원)

豈惟幽光留夜色(개유유광류야색直恐冷豔排冬溫(직공냉염배동온)

松風亭下荊棘裏(송풍정하형극리兩株玉蕊明朝暾(량주옥예명조돈)

海南仙雲嬌墮砌(해남선운교타체月下縞衣來叩門(월하호의내고문)

酒醒夢覺起繞樹(주성몽각기요수妙意有在終無言(묘의유재종무언)

先生獨飮勿歎息(선생독음물탄식幸有落月窺淸尊(행유낙월규청존)

 

1126松風亭(송풍정) 아래 매화가 활짝 핌.

 

春風嶺(춘풍령) 淮南村(회남촌)에서

옛날 넋을 잃고 보던 매화

어찌 알았으랴 유랑의 몸이 되어 다시 볼 줄

오랑캐 지방 비바람 치는 황혼에 시름안고 보고 있네.

 

긴 가지 타래붓꽃 밀생한 포구 가에 반만큼 흩어지고

기우뚱한 줄기는 야자나무 숲에서 홀로 빼어나는데

어찌 알랴 그윽한 빛 밤의 기운 머물게 해

이 싸늘한 아름다움이 온난한 겨울의 기를 밀치지나 않을까.

 

松風亭(송풍정) 아래 가시 숲 속에

두 그루의 매화는 옥과 같이 고운 자태 아침햇살에 들어내고

海南(해남)仙雲(선운)이 아리다운 그림자 섬돌위에 던지는 밤

달 아래 흰 옷 입은 여인이 와서 문을 두드리네.

 

술이 깨고 꿈에서 깨 나무 밑을 두루 돌 때

오묘한 생각 있으나 끝내 말을 할 수 없는데

東坡(동파) 선생 홀로 마시며 탄식을 하지 말게

다행이 지는 달이 맑은 술잔 엿보고 있지 않나.

 

松風亭(송풍정) 惠州(혜주) 嘉祐寺(가우사) 가까운 산 웨에 있었던 정자.

春風嶺(춘풍령) 河南省(하남성) 新息縣(신식현)을 나와 淮水(회수)를 남으로 건너 光州(광주)를 거쳐 湖北省(호북성) 麻城縣(마성현)까지 峻嶺(준령)이 많은데 그 가운데 한 준령.

蠻風蜑雨(만풍단우) ()은 남방의 야만인, ()福建省(복건성) 廣東省(광동성)에 사는 종족. 배를 집으로 삼고 어업으로 살아 간다.

荔支(려지) 타래붓꽃. 廣東(광동), 福建(복건)에서 생산되는 상록 소 교목의 과수.

桄榔(광랑) 야자과의 식물.

直恐(직공) 주의가 그쪽으로 쏠리다.

冷豔(냉염) 냉철한 아름다움.

玉蕊(옥예) 백매화의 아름다움.

朝暾(조돈) 아침 해

() 교태로운 아름다움.

 

月下縞衣(월하호의) ()柳宗元(유종원)龍城錄(용성록)에 보이는 이야기. ()開皇( ) , 趙師雄(조사웅)羅浮山(나부산)에 놀다가, 추운 날 저녁 松林(송림) 이 주점에 쉬고 있으니, 엷은 화장에 흰 옷을 입은 미녀의 초빙되었다. 殘雪( )은 달빛아래 빛나고 사방에 향기가 가득하였다. 그 미녀와 tf집 문을 두드려 함께 술을 마시는 가운데 綠衣(녹의)의 동자가 歌舞(가무)를 하였다. 취해서 잠을 자던 師雄(사웅)은 동쪽 하늘이 희게 동트는 줄 알고 눈을 떴다. 그랬더니 커다란 매화나무 아래 있었으며, 나무 위에는 물총새가 울오 달은 지고 오리온 좌 별이 빛나고 있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63
612 오동7 사본.jpg 逢吳秀才復歸江上(봉오수재부귀강상)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5 10
611 오동2.JPG 栁(추栁)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5 6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23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3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9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1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3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5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30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3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3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2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5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51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91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60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6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1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6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6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