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吾謫海南 子由雷州 被命卽行 了不相知 至梧 乃聞尙在藤也 旦夕當追及 作此詩示之 (오적해남 자유뇌주 피명즉항 료부상지 지오 내문상재등야 단석당추급 작차시시지) 蘇東坡(소

청남

 

 

吾謫海南 子由雷州 被命卽行 了不相知 至梧 乃聞尙在藤也 旦夕當追及

 

作此詩示之

 

(오적해남 자유뇌주 피명즉항 료부상지 지오 내문상재등야 단석당추급

 

작차시시지) 蘇東坡(소동파)

 

九疑聯綿屬衡湘(구의련면속형상蒼梧獨在天一方(창오독재천일방)

孤城吹角煙樹裏(고성취각연수리落月未落江蒼茫(낙월미낙강창망)

幽人拊枕坐歎息(유인부침좌탄식我行忽至舜所藏(아항홀지순소장)

江邊父老能說子(강변부노능설자白須紅頰如君長(백수홍협여군장)

莫嫌瓊雷隔雲海(막혐경뇌격운해聖恩尙許遙相望(성은상허요상망)

平生學道眞實意(평생학도진실의豈與窮達俱存亡(개여궁달구존망)

天其以我爲箕子(천기이아위기자要使此意留要荒(요사차의류요황)

他年誰作輿地志(타년수작여지지海南萬里眞吾鄕(해남만리진오향)

 

 

나는 해남으로 자유는 뇌주로 유배되었는데 명을 받자 즉시 가서 서로 어찌 된지 모르는데 ()에 와서 동생은 ()에 있다는 것을 들었다. 다만 저녁에 딸아 붙을 수 있을 것 같아 이시를 지어 보낸다.

 

구의산 봉우리 뻗어 형산과 상수와 연결되고

蒼梧(창오)는 홀로 하늘 한 쪽에 있네.

외로운 성에서는 안개 낀 나무 부근에서 뿔피리소리 들리고

달은 아직 지지 않고 강가를 창망하게 비추고 있는데.

잡혀온 몸 비개 어루만지다 일어나 앉아서 탄식하니

내 여로 홀연 ()이 죽어 매장한 곳 까지 이르렀네.

 

강변의 노인들 그에 관해 잘 설명해 주는데

흰머리에 붉은 얼굴 꼭 나와 같다하네.

瓊州(경주) 雷州(뇌주)로 바다 건너 해어저서 살아도 원망 말고

성은은 아직도 서로 바라보고 살 수 있도록 허락하시지 않나

평생 동안 도를 배운 것은 진실한 뜻 얻고자 함이니

어찌 궁달에 좌우되어 存亡(존망)에 사로잡혀서야 되겠는가.

 

하늘은 나를 箕子(기자)와 같이 하여

이 진실한 뜻을 蠻夷(만이) 땅에 머물게 하려는 거네.

후일 누가 이 지방의 地誌(지지)를 편찬하게 될까.

해남 만 리 땅이 진실로 내 고향임을 잊지 말지어다.

 

海南(해남) 海南島(해남도)

子由雷州(자유뇌주) 蘇軾(소식)의 동생 蘇轍(소철)雷州(뇌주)로 유배되었다.

卽行(즉항) 즉시 여행길에 오름.

了不相知(료부상지) 알 수가 없다.

九疑(구의) 九疑山(구의산)

聯綿(련면) 연결되다.

() ().

衡湘(형상) 五嶽(오악)의 하나인 衡山(형산)湘水(상수). 모두 湖南省(호남성)의 명승지.

蒼梧(창오) ()이 죽었다고 하는 蒼梧(창오)의 들.

幽人(유인) 隱者(은자).

() 쓰다듬다.

所藏(소장) 시신을 장사지낸 곳.

() 그대.

() 그대

瓊雷(경뇌) 瓊州(경주)雷州(뇌주).

箕子(기자) ()武王(무왕). ()의 귀족이며 朝鮮(조선)에 봉해졌다. 기자는 禮義( ) 양잠과 농업을 가리치고 八條(팔조)의 가르침으로 백성은 도벽이 없이 지고 부인은 정절을 지키며 평화를 지키는 백성이 되었다.

要荒(요황) 야만인의 지방.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62
612 오동7 사본.jpg 逢吳秀才復歸江上(봉오수재부귀강상)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5 10
611 오동2.JPG 栁(추栁)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5 6
610 연산홍23. (1).jpg 黃氏延綠軒(황씨연록헌)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23
609 연산홍17.JPG 尋胡隱君(심호은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7-01 13
608 연산홍.2024.5.2 (2).JPG 梅花九首(매화구수) 9.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9
607 연산홍.2024.5.2 (1).JPG 梅花九首(매화구수) 8.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7 11
606 연산홍 (10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7.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23
605 연산홍 (106).jpg 梅花九首(매화구수) 6.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23 15
604 연산홍 (60).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5. 청남 25-06-19 30
603 연산홍 (58).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4. 청남 25-06-19 23
602 연꽃 (25).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3. 청남 25-06-13 63
601 연꽃 (23).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2. 청남 25-06-13 52
600 연4.JPG 梅花九首(매화구수) 高靑邱(고청구) 1. 청남 25-06-09 64
599 연3.JPG 送前進士夏尙之歸宜春(송전진사하상지귀의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9 51
598 엄나무 (4).JPG 兵後出郭(병후출곽)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91
597 엄나무 (3).JPG 紛紛謝人役(분분사인역)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5 60
596 양란.24.봄 (2).JPG 移家到渚濱(이가도저빈)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6
595 양란.24.봄 (1).JPG 郊野雜賦十六首(교야잡부십육首)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6-01 61
594 앵두2024.5.23.JPG 送謝恭(송사공)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76
593 앵두2.JPG 報恩寺逢蔣主簿就送還如臯(보은사봉장주부취송환여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5-27 6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