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和陶止酒(화도지주) 蘇東坡(소동파)

청남

 

 

和陶止酒(화도지주) 蘇東坡(소동파)

 

時來與物逝(시내여물서路窮非我止(노궁비아지)

與子各意行(여자각의항同落百蠻裏(동낙백만리)

蕭然兩別駕(소연량별가各攜一穉子(각휴일치자)

子室有孟光(자실유맹광我室惟法喜(아실유법희)

相逢山谷間(상봉산곡간一月同臥起(일월동와기)

茫茫海南北(망망해남배粗亦足生理(조역족생리)

勸我師淵明(권아사연명力薄且爲已(력박차위이)

微疴坐杯酌(미아좌배작止酒則瘳矣(지주칙추의)

望道雖未濟(망도수미제隱約見津涘(은약견진사)

從今東坡室(종금동파실不立杜康祀(부립두강사)

 

도연명의 술을 끊음에 화답.

 

시간은 흘러와 모든 사물을 대리고 가버리는데

그 속에서 길이 막혀 내 뜻이 안임에도 멈춰 있네.

그대와는 각각의 뜻대로 가고 있지만

모두 다 百蠻(백만)의 땅에 떨어지고 말았구나.

 

두 사람이 이별하는 가마는 처량하고

각자 하나 씩 어린 자식 데리고 가는데

그대 내실은 孟光(맹광)같이 어질고

내 아내는 오직 位牌(위패)만 있을 뿐.

 

山谷(산곡) 마을에서 서로 만나

한 달이나 함께 기거를 했는데

지금부터는 바다 남북으로 아득히 해어져

아무튼 험난해도 살아 갈수는 있겠지.

 

내게 도연명을 스승 삼으라고 권하며

힘이 들어도 잠시 자신을 위해서 금주해야 하고

병은 모두 술로 인한 것이니

술을 끊으면 병도 났게 된다 하네.

 

갈 길을 바라보며 아직 건너가지 않았는데

아마도 나루터인 듯 한 곳 보이니

지금부터 東坡(동파)의 방에는

酒神(주신)杜康(두강)은 모시지 않으리라.

 

和陶止酒(화도지주) 陶淵明(도연명)止酒詩(지주시)

呻吟(신음) 병으로 아파서 앓은 소리를 냄.

意行(의항) 생각나는 대로 감.

百蠻(백만) 福建(복건) 廣東(광동) 廣西(광서) 지방의 소수민족을 모두 합해서 百越(백월) 百蠻(백만)이라고 한다.

別駕(별가) () 刺史(자사)輔佐官(보좌관).

穉子(치자) 어린 자식.

孟光(맹광) 梁鴻(양홍)().

法喜(법희) 불가에서 법을 듣고 마음에 환희심이 생기는 것.

海南北(해남배) 廣東省(광동성) 雷州(뇌주)海南島(해남도)()과의 위치관계.

力薄(력박) 지구력이 부족한 것.

() 바로 지금과 같은 처지

爲已(위이) 나를 의하여

() 병이 치유되는 것

隱約(은약) 확실하지 않는 상태.

津涘(진사) 나루터

杜康(두강) 술을 잘 담구는 명인.

 

解說

丁丑歲 予謫海南 子由亦貶雷溪 五月十一日 相遇于藤 同行至雷六月十一日 相別渡海 余時病痔呻吟 子由亦終夕不寐 因誦淵明詩 勸余止酒 乃和原韻 因以贈別 庶幾眞止矣

 

丁丑年(정축년) 나는 海南島(해남도)로 동생 子由(자유)역시 雷州(뇌주)로 유배되었다. 511藤州(등주)에서 만나 함게 여해하여 雷州(뇌주) 까지 왔다. 611子由(자유)와 이별하고 바다를 건넜다.

나는 그때 持病(지병)으로 신음했다. 그랬더니 子由(자유)는 밤새도록 자지 않고 陶淵明(도연명)의 시를 읽어주며 내게 술을 금할 것을 권하였다. 그래서 도연명의 原詩(원시)和韻(화운)하여 이별의 증표로 하였는데 이마 이것으로서 진실로 술을 금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507
477 무궁화.2024.7 (39).JPG 隴頭水(롱두수)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4-12-11 7
476 무궁화.2024.7 (37).JPG 巫山髙(무산고)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4-12-11 5
475 무궁화.2024.7 (36).JPG 薊門行(계문행) 高靑邱(고청구) 새글 청남 24-12-11 6
474 무궁화.2024.7 (12).JPG 蒿里歌(호리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11
473 무궁화.2024.7 (11).JPG 雉子班(치자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8
472 무궁화.2024.7 (10).JPG 王明君(왕명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11
471 목련17 (20).JPG 將進酒(장진주)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30 23
470 목련17 (19).JPG 箜篌引若(공후인약)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30 14
469 목련17 (18).JPG 塞下曲(새하곡) 高靑邱(고청구) 日落五原塞(일락오원새) 蕭條亭堠空(소조정후공) 漢家討狂虜(한가토광로) 籍役滿山東(적역만산동) 去年出飛狐(거년출비호) 今年出雲中 청남 24-11-30 13
468 목련3.3.29 (4).JPG 白馬篇(백마편)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24 25
467 목련3.3.29 (3).JPG 短歌行(단가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24 16
466 목련3.3.29 (2).JPG 芷秀葯華(지수약화) 高靑邱 청남 24-11-24 15
465 목련.4.4.3 (19).JPG 玉波冷雙蓮(옥파냉쌍련)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21 44
464 목련.4.4.3 (18).JPG 南山有鳥(남산유조)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21 35
463 목련.4.4.3 (17).JPG 李婦人歌(이부인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21 38
462 목단1.JPG 君子有所思行(군자유소사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18 36
461 목단 (7).JPG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18 34
460 목단 (6).JPG 次韻江晦叔(차운강회숙)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8 34
459 목단 (5).JPG 過嶺(과령)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8 31
458 모과나무 (5).jpg 贈嶺上老人(증령상노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4 44
게시물 검색